'쓰레기통 모형'에 해당되는 글 1건


1. 전통적 합리주의 철학을 부정하고 조직을 쓰레기통에 비유한 의사결정 모형.

2. 1970년대 이후 코헨(Michael D. Cohen), 마아치(James G. March), 올센(Johan P. Olsen)등이 제창한 것으로 의사결정의 합리적 형태보다는 실제 조직의 의사결정 양상을 드러내고자 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주로 대학조직에 대한 연구를 통해 발전되어 왔다.

3. 전통적인 의사결정 이론에 따르면 조직의 의사결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구성된다.

첫째, 의사결정이 필요한 문제 상황의 규정

둘째, 의사결정을 위한 대안 추출

셋째, 각 대안별로 예상되는 결과 조사

넷째, 목표에 비추어 결과 평가

다섯째, 이상의 과정을 거쳐 최적의 대안 채택

4. 그러나 쓰레기통 모형에서는 조직 자체를 문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참여자 등이 엉켜진 채로 버려져 있는 쓰레기통으로 상정하며, 자연히 의사결정도 정연한 분석과 평가과정의 산물이 아니라 여러 가지 상호 독립적인 요인의 흐름 속에서 빚어진 결과 혹은 해석이라고 본다. 이 점에서 전통적 의사결정 모형을 규범 모형이라고 한다면 쓰레기통 모형은 기술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5. 쓰레기통 모형에서 관심을 집중하는 요인(streams)으로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① 문제(problems)의 요인 - 문제는 조직 내외 사람들의 관심이다. 생활방식, 가정, 작업 중 좌절, 지위나 작업의 배분 양태, 이데올로기, 대중매체나 이웃에 의해 해석되어 나타나는 사람들의 요구 등이 모두 문제를 일으키는 요소가 될 수 있다.

 

② 해결책(solutions)요인 - 해결책은 조직 내 누군가가 만들어 낸 산물이다. 이 해결책은 한편으로 문제에 대한 해답이면서 또한 적극적으로 질문의 발견이기도 하다. 흔히 문제를 정확히 규명하기 전까지는 해답을 발견할 수 없다는 격언에도 불구하고 때로는 해답을 알기 전까지는 조직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③ 참여자(participants)요인 - 참여자는 문제를 기준으로 볼 때 계속해서 등장하고 또 사라져 간다. 모든 출입구가 한편으로는 출구가 된다. 문제 장면에 누가 참여자로 들어오는가는 주어진 문제와 새로 등장한 문제의 특성 에 따라 달라진다. 한편 의사결정 참여자는 문제의 특성보다는 참여자가 투자할 수 있는 시간에 대한 요구에 따라서도 큰 변화 폭을 보인다.

④ 선택기회(choice opportunities)요인 - 선택기회는 조직이 의사결정 행동을 산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경우를 말한다. 기회는 규칙적으로 발생하며 어떤 조직이든 선택을 위한 기회를 결정짓는 방법을 가지고 있다.

6. 이상 네 가지는 완전히 독립적인 것은 아니지만 각각은 서로 어느 정도 독립적이며 체제 외생적인 성격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어떤 결정이 이루어질 것인지는 이러한 요인들 하나하나가 흘러가는 유형과 그 비율, 또한 각각에 관련된 절차에 의존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