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기특한 누리과정 5.0]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Montessori 교사의 역할

1) 관찰자

 유아를 관찰하는 일은 몬테소리 교사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고 이것은 유아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첫걸음이며 유아의 성장발달에 수단이 되는 작업에 대한 능력을 판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어린이를 관찰한다는 것은 단순히 어린이의 모습을 정신적인 움직임을 파악하는 것인 동시에 각각의 유아를 어떻게 돕고 또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지 등을 식별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는 교구 사용법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하고 관찰자는 매일 유아가 어떤 교구를 선택하여 스스로 작업하는 것을 관찰한다. , 교사는 유아가 독립적으로 교구를 선택하여 작업할 때 어떤 부분을 힘들어하는지, 특별히 강조하고 수정해야 할 사항이 있는지, 다른 제시나 도움이 필요한지,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지 등을 관찰하여 도움을 준다. 교사가 관찰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관찰자가 어린이를 방해하고 있는가?

어린이의 행동이 자유로운가?

조용한 가운데서 열심히 하고 있는가?

교구를 가지고 작업을 할 때 장애는 없는가?

질서를 유지하고 있는가?

작업을 마친 교구는 제자리에 갖다 두는가?

교실은 잘 정돈되었으며 실내의 공기는 쾌적한가?

자발적으로 하고 있는가?

2) 준비된 환경의 제공자

 몬테소리 교육에 있어 준비된 환경의 제공은 교육의 중요한 원리이며 방법이다. 어린이가 자유로이 발달할 수 있는 환경을 준비해야 한다고 하며, 환경을 배려하는 것이 교사의 임무라 한다. 교구는 모두 세심히 정돈되고 아름답게 빛나는 완전한 상태로 보존되어야 한다. 어느 것도 없어서는 안 된다. 그 결과 어린이들에게 그것들이 새롭게 보이게 하고 이용하기 쉽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몬테소리 교사는 유아발달의 정도에 맞고 매력 있고 평화롭고 또 청결하며 질서가 있는 그리고 현실과 유리된 것이나 환상의 것이 아닌 과학적이고 현실적인 학습 환경을 유아들에게 제공해 주어야 한다. 어린이의 정신적 공복을 채우기 위하여 엄청난 양의 지식을 준비하여 유아들이 그들의 요구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준비하여 제공해 주는 것이 그의 임무다.

3) 촉진자

 ‘촉진자로서 교사의 역할은 유아에게 몬테소리 활동을 실제적으로 시범 보이는데 있어서 세 가지 책임을 지게 된다.

  첫째, 교실 내의 교구의 배치에 대해서 알아야 하고 그 교구는 각 유아의 발달단계에 맞추어 활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아의 지적, 신체적 능력 발달을 가져올 수 있도록 교구의 바른 제시 방법과 교구의 순서를 이해하여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시범을 보여야 한다.

  둘째, 시범을 보인 후 유아의 호기심이 자극되었다면 교사는 도와주는 것을 억제하고 유아가 교구를 반복해서 탐색하도록 격려해야 하며 유아의 기술부족으로 활동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면 재시범을 보일 수는 있지만 유아가 범한 오류를 직접적으로 정정하진 않아야 한다.

  셋째, 유아가 반복적으로 활동을 하여 수행했을 때 교사는 유아가 자신이 학습한 것이 무엇인가하는 것을 깨닫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4) 보호자

 유아가 편안한 환경에서 독립적이고 능동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보호자로서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교사는 환경이 유아에게 즐거움과 편안함을 주고 있는지 고려하고 유아-교구-질서와 연결시킬 수 있도록 모든 교구와 자료는 지정된 장소나 선반위의 명확한 위치에 두도록 해야 한다.

 유아는 질서감을 익히면서 작업을 끝낸 후 반드시 처음 상태와 같게 정리해야 하고 자신이 하고 싶은 교구를 다른 유아가 하고 있을 경우 제자리에 돌려놓을 때까지 그작업을 뺏을 수 없으며 참고 기다리는 자세를 배워야 한다. 교사는 교구가 없어진 것은 없는지 항상 확인하고 빠진 부분이나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즉각적으로 대처하도록 항상 완벽하게 준비하여야 하며 교구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에 주의해야 한다. 만약 유아들이 어떤 교구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 원인을 찾아 대처해야 한다.

 교사의 관찰자, 준비된 환경의 제공자, 촉진자, 보호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유념해야 할 태도는 다음과 같다(신화식, 2006).

  첫째, 환경을 정비하고 관리한다.

  둘째, 간단명료하고 정확하게 교구사용법을 제시한다.

  셋째, 유아가 환경과 상호작용을 시작할 때까지는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상호작용이 시작된 뒤에는 소극적으로 개입한다.

  넷째, 유아가 교사를 찾을 때는 즉각 반응한다.

  다섯째, 유아가 말할 때에는 주의 깊게 잘 듣는다.

  여섯째, 유아의 작업을 존중하고 도중에 중단시키거나 질문을 하여 방해하지 않는다.

  일곱째, 유아가 범한 오류를 직접적으로 정정하지 않는다.

<몬테소리 교육이론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_박주영(2008)>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성숙이론


성숙이론은 환경이 아동발달에 주도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아동이 지닌 능력 이상으로 아동을 교육하는 것은 아동에게 좌절을 야기시킨다고 주장한다. 성숙이론에 의하면 발달이란 유기체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환경은 행동을 변화시키는 2차적 역할을 한다고 한다. 따라서 아동 자신의 속도에 맞는 발달을 위해 아동중심의 양육환경을 제공할 것을 강조한다.

성숙이론은 ‘학습준비도’ 개념을 이끌어 내었는데, 학습준비도란 유아에게 무엇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유아가 성숙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학습의 시기에 관한 개념이다. 즉, 아동이 배울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여겨지면, 아동이 준비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다. 

Gesell의 성숙이론과 Montessori의 민감기이론을 통해 아동발달의 성숙론적 접근법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1.Gesell의 성숙이론


Arnold Gesell은 1880년 미국 위스콘신 주에서 태어나 일평생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관찰법을 통해 아동발달을 연구한 학자이다. Gesell은 1906년에 클라크 대학에서 G. Stanley Hall의 지도하에 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11년에는 자신이 재직하고 있던 예일 대학에 「아동발달연구소」를 설립하고, 그곳에서 37년간 소장직을 맡으며 아동발달 연구에 전념하였다. 1915년에 의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그때부터 그의 연구소는 의과대학과 연계되어 운영되었다. 그는 이 연구소에서 심리학과 의학을 통합한 정신발달의 실증적 연구에 전념하여 많은 업적을 남겼다. 

특히 『취학전 아동의 지적 성장(Mental Growth of the Preschool Child)』(1925), 『생후 첫 5년(The First Five Years of Life)』(1940), 『영유아와 현대의 문화(Infant and Child in the Culture of Today』(1943) 등의 여러 저서들을 통해, 영유아의 운동기술에 대해 광대하고 세부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1-1 성숙의 개념


Gesell(1945)은 태아가 모체에서 하나의 개체로 자리잡은 후 10개월 동안 외부로부터의 영향(환경)보다는 내적인 힘에 의해 성장한다는 발달의 예정론을 주장하였다. 즉, 이러한 선천적인 메커니즘으로 인해 유기체는 주어진 환경과 관계없이 발달한다는 것이다. Gesell은 유전자가 발달과정을 방향짓는 기제에 대한 일반적인 명칭을 성숙(maturation)이라고 명명하였다.

Gesell은 모든 유기체들이 성장하는 데 있어 이미 성장의 방향이 결정되어 있는 성장모형(growth matrix)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성장모형(成長母型)은 이미 결정되어 있는 유전적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환경적 요인들은 이러한 유전과 서장모형은 단지 지지하거나 약간 수정할 뿐이지, 발달을 유발시키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Gesell이 발달에 미치는 환경의 영향력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그는 성숙 역시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하였다. 예를 들어, 태아발달에 있어서 성숙은 자궁내의 양수온도와 모체로부터 들어오는 산소의 양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다만 Gesell은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 이 두 가지 힘 ㅡ 성숙과 환경 ㅡ 중 특별히 성숙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성숙의 가장 큰 특징은 언제나 정해진 순서의 발달단계를 거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태아발달에서 가장 먼저 기관이 발달하는 곳은 심장이다. 심장이 먼저 생성 ∙ 발달하고 기능한 후에야 비로소 세포들이 빠른 속도로 분화되어 두뇌와 척수 같은 중추신경계가 형성된다. 그러고 나서 팔다리와 같은 다른 기관들이 발달하게 된다. 이 순서는 유전자지도에 의한 것으로 결코 발달순서가 바뀌지 않는다. 출생 이후의 발달도 이와 비슷하다. 예를 들어, 태아 때 팔다리보다 머리가 먼저 발달한 것처럼 신생아도 머리가 먼저 발달한다. 그러고 나서 목, 어깨, 팔, 손, 손가락, 몸통, 다리, 발 등의 순서로 발달한다. 즉, 태내발달과 출생 이후의 발달 모두 머리에서 발끝으로 발달이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영아의 발달에도 정해진 순서가 있다. 영아는 정해진 발달순서에 따라 앉고, 서고, 걷고, 뛰는 것을 학습한다. 그 어떤 아기도 앉기 전에 서거나 걸을 수 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능력들은 이미 유전적으로 결정된 신경성숙 과정과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과 같이 모든 아동들이 정해진 발달단계를 거치지만 발달단계를 거치지만 발달속도에는 개인차가 있다고 Gesell은 생각하였다. 즉, 모든 아기들이 똑같은 나이에서고 걷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Gesell은 이러한 개인차 역시 내적인 유전적 기제에 의한 차이라고 생각하였다.


1-2 발달의 원리


Gesell은 『유아행동의 개체발생』(1954)이라는 책에서 발달의 기본 원리를 상술하였다.


1-2-1 발달방향의 원리

이 원리는 발달이 무작위가 아닌 정돈된 방식에 의해서 진행된다고 가정한다. 발달은 머리에서 발쪽으로 체계적으로 진행된다는 사실이 어떤 시점에 있어서도 발부분보다 머리부분이 먼저 발달한다는 경향의 좋은 예가 된다. 따라서 출생 시 신생아는 다리부분보다 머리부분이 더 빨리 성숙되며, 팔의 협응이 다리의 협응에 선행된다 이러한 경향을 두미(cephalocaudal)발달 경향이라고 부른다.

또 다른 예는 말초보다 신체의 중심이 먼저 발달한다는 것이다. 어깨 동작은 손목과 손가락 동작보다 더 일찍 나타난다. 어깨 동작은 손목과 손가락 동작보다 더 일찍 나타난다. 이 근원(proximodistal)발달 경향은 아동의 잡기행동에서도 나타나는데 20주경에 나타나는 잡기행동은 아주 미숙하고 주로 상박(upper arm)의 움직임에 의존한다. 그러나 28주가 되면 엄지손가락의 섬세한 사용에 듸해 잡기행동은 보다 섬세한 근육운동에 의해 주도된다.

머리에서 발 방향으로와 중심에서 말초로의 경향은 모두 발달에는 방향이 있으며, 이 방향은 기본적으로 미리 계획된 유전적 기제의 기능이라는 Gesell의 주장을 입증해 주고 있다. 


1-2-2 상호적 교류의 원리

이 원리는 영아가 먼저 한 손을 사용하고, 그러고 나서 다른 한 손을 사용하고, 그 다음 양손을 사용하는 등 계속적인 반복과정을 통하여 능숙하게 손을 사용할 수 있게 될 때까지의 발달과정을 의미한다. 영아가 손을 능숙하게 사용하게 될 때까지 왼손과 오른손을 계속해서 사용하는 모습을 뜨개질하는 모습에 비유하여, Gesell은 상호적 교류(reciprocal interweaving)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Gesell은 상호적 교류의 원리가 성격형성 과정에서도 나타난다고 보았다. 인간은 내향적 특성과 외향적 특성이 모두 있는데, 유아의 경우 3세에서 3세 반까지는 약간 소심하며 내향적 성격특성을 나타내고, 4세에는 외향적 특성을 보이다가 5세가 되면 이 두 가지 성격특성이 통합되어 균형을 이룬다고 보았다(Crain, 2000).


1-2-3 기능적 비대칭의 원리

인간의 발달은 앞에서 살펴본 상호적 교류작용을 통하여 균형을 이루어 가지만, 실제 인간발달에서 완벽한 균형이나 조화를 이루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오히려 약간의 불균형이 훨씬 더 기능적이다. 이러한 기능적 불균형은 신생아의 경직성 목 반사(tonic neck reflex)에서도 잘 나타난다. 이 반사는 마치 펜싱하는 자세처럼 유아가 머리를 한쪽 방향으로 돌리고, 한 팔은 머리가 돌려진 방향으로 내밀고, 그쪽 다리는 쭉 핀 상태이며, 다른 쪽 팔은 가슴에 얹고, 같은 쪽 다리는 무릎이 구부러진 자세를 취한다. 이 비대칭적 행동은 아동이 매달려 있는 물체를 잡기 위해서 두 팔을 함께 사용하는 것과 같은 대칭적 발달에 선행한다. 이것은 환경에 익숙해지고, 환경을 이해하려는 아동의 노력에 있어서 중요한 단계가 된다. Gesell은 또한 기능적 비대칭(functional asymmetry)의 원리가 오른손잡이, 왼손잡이와도 관련이 있다고 믿었다.(Salkind, 1985; Crain, 2000).


1-2-4 자기규제의 원리

Gesell은 일련의 신생아 연구에서 부모가 수유와 수면 등의 생리적인 리듬을 영아의 요구대로 따랐더니 영아 스스로 점차적으로 수유시간을 줄이고, 더 오랫동안 깨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과정이 계속 일정하게 진행된 것은 아니고 때로는 뒤로 후퇴할 때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영아는 점차적으로 안정적인 스케줄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유기체의 자기규제(self-regulation) 메커니즘은 영아가 자신의 능력 이상으로 새로운 것을 시도하지 않도록 영아의 행동을 조절한다. 자기규제의 원리는 유아가 너무 빨리, 너무 많이 배우도록 강요 받을 때 유아 내부에서 스스로 저항하는 힘을 의미한다. 즉, 유아 스스로 자신의 수준에 맞도록 성장을 조절하고, 이끌어 가는 능력을 말한다. 예를 들어, 영아가 걸음마를 배울 때 몇 걸음 걷다가 다시 기고, 또 몇 걸음 걸어보다가 기는 것과 같은 발전과 퇴보의 과정을 주기적으로 거친 후에 걷게 되는 것이다.


1-3 발달의 규준


Gesell은 40년간 예일 대학 아동발달 연구소에서 아동발달을 연구하면서 운동행동, 적응행동, 언어행동, 사회적 행동 등의 여러 영역에서 수많은 아동들을 관찰하고 측정하였다. 그는 동료들과 함께 오랜 시간 동안 수많은 사진을 찍고 분석하여 영유아발달을 상세히 서술하였다.

Gesell은 또한 연구에 사용되는 자료의 표준화와 측정도구의 신뢰도 같은 문제에 관심을 보였다. 그는 성장과 발달을 기술하기 위해서 모든 정보를 조직화할 수 있었으며, 이것으로부터 아동이 해당하는 연령집단과 비교함으로써 아동 개인의 발달을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일련의 과업들을 고안하였다. 결과적으로 Gesell의 발달 스케줄이 만들어졌고, 여기에서 발달지수가 산출되었다. Gesell의 발달 스케줄은 유아발달을 평가하는 규준이 되었다. 


2. Montessori의 민감기이론


Maria Montessori는 1870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Montessori는 수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가 교사가 되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Montessori는 자신의 수학적인 재능을 키워 기술자가 되겠다는 생각으로 남자들이 다니는 기술대학에 진학했다. 이 시기에 생물학에 흥미를 갖기 시작하면서 의학을 공부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다. 그러나 그 당시 이탈리아 교육 제도에 의하면 여자는 의과대학에 진학할 수 없게 되어 있었다. Montessori는 여러 차례 의학부에 도전했으나 번번이 거절당하자 대학총장과 교황 레오 13세에게 자신의 의지를 밝혀 1892년에 드디어 의과대학에 입학하게 되고, 26세에는 이탈리아 역사상 최초의 여성의사가 되었다.

Montessori는 졸업 후 약 2년 동안 대학부속 정신병원의 보조의사로 일하면서 장애아동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가지게 된다. 시설에 수용된 정신지체아들을 보면서 이들에게는 물건을 만지고 느끼는 것이 가장 좋은 학습방법임을 깨닫고, 나무로 된 글자 등의 몬테소리 교구를 만들어 결국 이들로 하여금 읽기와 쓰기를 학습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러다가 1901년에 국립장애인 학교를 그만두고, 일반 아동에게 자신의 교육이론을 적용시키는 일에 몰두하였다. 1907년에는 로마의 빈민가에서 방황하는 노동자들의 자녀 50명을 대상으로 어린이집을 설립하였다. Montessori의 ‘어린이집’의 기적적인 교육성과는 그 당시 유럽은 물론이고 미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 지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얻게 되고, 세계 각국에서 이를 참관하려고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그리고 1913년에는 정식으로 국제 몬테소리 교원양성코스가 창설되었다.


2-1. 민감기의 개념


Montessori는 자연주의자였던 루소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예를 들어, 아동은 우리가 만들려고 하는 대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성숙적 자극(maturational promptings)을 통해서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또 루소와 마찬가지로, 아동은 성인과는 다르게 생각하고 배운다고 보았다.

Montessori 이론의 중요 요소는 ‘민감기(sensitice period)’의 개념인데, 이는 결정적 시기와 매우 유사하다. 즉, 민감기는 유전적으로 프로그램된 기간으로서 아동은 특별히 이 기간 동안 어떤 과제를 숙달하고자 노력하고 또 숙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언어를 획득하고 손을 사용하기 시작하는 민감한 시기가 있는데 이 기간 동안에 아동은 이러한 능력들을 숙달시키는 데 전략을 다하게 된다(Crain, 2000, 재인용).


2-1-1 질서에 대한 민감기(The Sensitive Period for Order)

생후 3년 동안에 나타나는 시기로, 이때 유아는 질서에 대한 강한 욕구를 갖는다. 움직일 수 있게 되자 마자 아기들은 물건을 제자리에 놓기를 좋아한다. 만약 책 또는 펜이 제자리에 놓여 있지 않으면 반드시 그것들을 제자리에 갖다 놓는다. 스스로 움직일 수 없을 때조차도 물건이 제자리에 놓여 있지 않으면 동요한다. 이러한 반응이 성인에게는 매우 어리석은 것으로 보인다. 성인에게 있어서 질서는 외부적인 즐거움을 제공해 주는 것이지만, 아동에게 있어서 질서는 본질적인 것이다.


2-1-2 세부에 대한 민감기(The Sensitive Period for Details)

1~2세 사이의 아동은 작고 세부적인 것에 주의를 고정시킨다. 예를 들면, 아동은 우리 눈에 잘 띄지 않는 작은 곤충을 발견한다. 그리고 사진을 보여주면 우리가 중요하게 보는 것은 무시하고 대신 배경에 있는 작은 것에 주의를 기울인다. 이처럼 아주 세세한 것에 대한 아동의 관심은 성인들을 어리둥절하게 만드는데, 이것은 아동의 정신은 성인과는 매우 다르다는 사실에 대한 증거가 된다.


2-1-3 양손 사용에 대한 민감기(The Sensitive Period for the Use of Hands)

세 번째 민감기는 양손의 사용과 관련이 있다. 18개월에서 3세 사이의 유아는 끊임없이 물건을 움켜쥐려고 한다. 그들은 특히 열고 닫고, 그릇 속에 물건을 넣거나 꺼내는 것, 그리고 다시 채우는 것 등을 좋아한다. 그 다음 2년 동안에는 그들의 동작과 촉감을 다듬게 된다. 예를 들어, 4세 유아는 눈을 감고 손으로 물건을 만져서 그것을 알아맞히는 게임을 매우 좋아한다.


2-1-4 걷기에 대한 민감기(The Sensitive Period for Walking)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민감기는 걷기에 대한 것으로 약 1~2세 사이에 나타난다. Montessori는 아이가 걷는 법을 배우는 것은 무력한 존재에서 능동적인 존재로 전이되는 ‘제2의 탄생(second birth)’이라고 말한다. 아기들은 억제할 수 없는 충동에 의해 걷기를 시도하게 되며, 걷는 법을 배움으로써 대단한 자부심을 갖게 된다.


2-1-5 언어에 대한 민감기(The Sensitive Period for Language)

민감기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언어획득과 관련된 것이다. 놀라운 것은 아동이 이같이 복잡한 과정을 학습하는 속도이다. 언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단지 단어와 그것의 의미뿐만 아니라 문법도 익혀야만 한다. 문법에 내재하는 규칙들이 너무 어렵고 추상적이기 때문에 언어학자들도 그것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그러나 아동들은 규칙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지 않고도 그 규칙들을 숙달한다. 두 가지 언어에 동시에 노출된다 하더라도 아동은 두 가지 언어를 모두 숙달하게 될 것이다. 성인들이 외국어를 배울 때 의식적으로 노력하면서 매우 힘들게 배우는 반면에, 아동은 언어를 무의식적으로 흡수한다.

Montessori는 언어획득은 타고난 성숙적 요인에 의해 지배되기 때문에 아동은 어디에서 성장하든지 간에 동일한 단계를 거쳐 언어를 발달시킨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아동은 옹알이 단계에서부터 단어를 말하기 시작하는 단계로 진행해나가며, 그 뒤에는 점점 더 복잡한 문장구조를 숙달하는 시기가 뒤따르게 된다.


2-2 아동중심의 교육환경


Montessori는 아동은 의식적인 노력 없어도 주위 환경으로부터 생활에 필요한 매우 중요한 기술을 습득한다고 믿었다. 따라서 아동으로 하여금 질서를 배울 수 있게끔 아동의 주위환경을 아름답고 질서정연하게 조성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녀는 또한 아동은 감각경험을 통해서 많은 것을 학습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교사는 아동의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등을 자극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아동의 감각경험을 자극할 수 있는 예로 아동의 작은 신체에 적합한 책걸상과 아동의 작은 손에 어울리는 도구를 제공해 주는 것을 들 수 있다. 


2-2-1 실제 사용이 가능한 진짜 도구의 제공

Montessori는 아동의 신체에 적합한 교구의 크기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탈리아에서 몬테소리 학교가 처음 문을 열었을 때 아동에게 맞는 크기의 교구를 구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Montessori는 아동의 신체에 적합한 여러 가지 교구제작에 착수하게 되었다. 심지어 아동의 작은 발에 맞추어 계단도 주문제작을 했다.

비록 크기는 작지만 이 교구들은 아동들이 실제로 사용할 수 있게끔 만들어졌다. 많은 학교에서 아동들이 다치는 것을 염려해서 가위나 칼의 날을 무디게 만들어 사용하게 하는데, 이렇게 하면 가위나 칼이 잘 들지 않아 작업을 어렵게 만들어 아동의 흥미를 잃게 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더 위험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2-2-2 손쉽게 교구를 이용하기

진짜 도구를 사용하게 하는 것 외에 Montessori는 아동들이 도구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선반을 낮게 만들어 아동들로 하여금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은 교사의 도움 없이 스스로 꺼내 사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사들은 때때로 교구들을 아이들 손이 닿는 곳에 두면 아이들이 너무 어질러 놓을 것이라고 우려하는데, 이에 대해 Montessori는 교구가 있어야 할 자리에 사진이나 그림 또는 글씨로 표시를 해두면 아동은 자신이 필요한 교구를 꺼내 쓰고, 사용한 후에는 제자리에 도로 갖다 놓기 때문에 문제가 전혀 없다고 반박한다. 


2-2-3 질서정연하고 아름다운 환경의 조성

성인들은 아동은 주위환경의 아름다움에 관심이 없으며 ‘깨끗하게 치우는 것’보다 ‘어질러 놓는 것’을 더 좋아한다고 믿는다. Montessori는 아동을 위해 아름답고 질서정연한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아름다운 음악을 들려주거나, 예쁘게 핀 라일락꽃을 교탁에 꽂아 두거나, 신선한 공기가 들어오게 창문을 열어 두거나, 아동이 그린 그림을 예쁜 색종이로 테두리를 만들어 벽에 걸어 두는 것은 아름다운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아동의 미적 감각을 자극할 수 있게 만든다.


2-3 몬테소리 학교


아동이 2세 정도가 되면 몬테소리 학교에 들어갈 수 있다. 거기서 6세까지의 아동들과 같은 교실에서 배우게 되는데, 이것은 Montessori가 아동들이 여러 연령층의 아동들과 함께 어울리는 환경을 좋아한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Crain, 2000).


2-3-1 독립성과 집중

Montessori 학교의 교사는 아동들에게 명령하거나, 지시하거나, 훈련하거나, 감독하려 하지 않고 아동에게 독립적으로 숙달할 수 있는 기회를 주려고 노력한다. 만약 학교환경이 적절한 교구들로 구성된다면, 아동은 교사의 지시 없이도 스스로 그 교구들을 조작할 수 있다.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Montessori는 다양한 교구에 대한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 아동들은 매우 극적인 방법으로 자신에게 적합한 교구가 무엇인지를 알려주었다. 즉, 그들은 내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교구를 접하게 되었을 때 놀라울 정도의 집중력을 보여주었다.


2-3-2 자유선택

Montessori는 아동들에게 자유선택을 하라고 하면 그들이 가장 몰두할 수 있는 과제를 선택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예를 들어, 2세 된 아동이 방안을 자유롭게 돌아다니게 되었을 때, 끊임없이 물건들을 똑바로 놓고 순서대로 정리하는 것을 관찰했는데, 이는 질서에 대한 아동의 욕구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그녀는 아동의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환경을 바꾸었다. 즉, 조그마한 세면대를 만들어 아동이 손을 씻을 수 있도록 했고, 작은 책상과 의자를 만들어서 똑바로 정리할 수 있도록 했고, 선반을 낮게 만들어 교구를 제자리에 놓을 수 있도록 했다. 이런 방식으로 일상의 활동이 교과과정의 한 부분이 되었다.


2-3-3 보상과 벌

Montessori 학교에서는 상이나 벌을 사용하지 않는다. 아동이 상이나 벌과 같은 외적인 평가에 지나치게 관심을 가져 잘못된 답을 하거나, 바보처럼 보이는 것을 두려워한 나머지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집중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종종 있다. 압력에 의해 어느 정도의 교구들을 학습하게 될 수도 있지만, 이렇게 하면 학교와 학습과정을 싫어하게 될 수도 있다. 외적인 평가는 또한 아동에게서 독립성을 앗아간다. 


2-3-4 점진적 준비

Montessori는 아동이 한꺼번에 많은 기술을 배울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면, 4세 아동은 독립적이 되려는 자연적인 욕구로 인해 단추를 채우고 구두끈을 묶는 법을 배우기를 원하지만, 이러한 과제들은 그들에게는 너무 어렵다. 그들은 소근육 운동기술이 아직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Montessori는 단계별로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교구를 제작하였다. 


3. 성숙이론에 대한 평가


아동발달에 관한 성숙론적 접근법은 특별히 유아교육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Gesell의 성숙이론은 루소를 비롯한 Gesell 이전의 많은 교육사상가들이 주장했던 아동의 내적인 능력에 대해 과학적인 설명을 부여하였다. 그러나 Gesell은 발달의 전개과정에 있어서 루소나 스승인 Hall과는 다른 입장을 취하였다. 인류의 진화된 역사가 각 개인의 발달에 그대로 재현된다고 주장한 Hall과 달리 Gesell은 유기체 내부에 있는 조절요인들은 한 종(種)이 성공적으로 주위환경에 적응하면서 갖게 된 조상 대대의 유전인자(ancestral gene)라고 보았다. Hall의 연구방법을 더욱 체계화시킨 Gesell의 방법은 당시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아동연구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계 최초로 아동의 행동을 영상촬영기술을 이용하여 관찰 ∙ 기록하였을 뿐만 아니라, 일방경(one-way mirror)을 사용함으로써 아동연구에 새로운 정밀성을 시도하였다. 또한 연령의 변화에 따른 아동의 발달을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종단적 연구의 개척자로도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Gesell은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높이 평가되고 있다.

한편, 오늘날 많은 심리학자들은 Gesell의 성숙이론이 너무 극단적이라고 생각한다. 아동발달에서 성숙요인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환경요인도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Gesell이 연구한 아동들의 대부분이 예일 대학 근처에 살고 있는 중상류층 아동들이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다른 계층의 아동들과 다른 문화권의 아동들에게 일반화시키는 데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Montessori는 아동중심의 교육환경을 강조함으로써 루소나 Gesell 등이 주장한 발달철학을 실제 현장(몬테소리 학교)에서 효과적으로 적용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Montessori는 아동이 민감기에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아동 스스로 연습할 수 있는 교구를 제공해 줌으로써 가장 효율적으로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보고 다양한 교구를 개발하였다. 몬테소리 학교의 교사는 아동에게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의 자발적인 능력에 주의를 기울인다. 이를 위해 교사는 아동의 발달을 촉진하는 교구의 이론적 의미와 설계적 기능을 잘 알고 있어야 하며, 아동이 교구의 특별한 기능들을 정확하게 배우도록 가르친다.

한편, Montessori의 교육방법은 아동의 창의성과 자유를 제한시켰다는 지적이 있다. 즉, 아동으로 하여금 매우 제한된 용도 내에서만 교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Montessori는 아동의 사회정서적 발달은 무시한 채 인지발달에만 치중했다는 지적도 있다. 즉, Montessori 교육에 의하면 물리적 대상(교구)을 가지고 작업하며, 다른 아동이나 교사와의 상호작용은 거의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아동 스스로 자료를 다루는 가운데 스스로의 노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교육

2. 아동에게 준비된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고 자유를 허락하면 스스로를 교육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3. 이는 몬테소리(M. Montessori) 유아교육의 중심 개념으로, 아동은 자기 스스로 정정(訂正)해가며 교육할 수 있는 자력(自力)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회를 제공하면 실제 필요한 능력을 스스로 터득한다는 것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유아기(幼兒期)에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발달에 민감한 시기.

2. 몬테소리(M. Montessori)의 저서 《어린이의 비밀》(Secret of the Childhood)에서 처음 사용한 말로서 민감기는 아동마다 다르나 대체로 유아기는 모든 학습의 민감기라 할 수 있다.

3. 민감기는 오래 지속되지 않으며 어떤 특정한 학습에 대한 민감기가 일어난 다음에는 그 학습을 용이하게 하는 민감기는 다시 일어나지 않는다.

4. 민감기에 일정한 능력을 얻지 못하면 그 능력의 발달기회는 영원히 지나가 버린다. 무엇에 민감한가에 따라 질서에 민감한 시기, 언어발달에 민감한 시기, 쓰기에 민감한 시기 등으로 표시한다.

5. 몬테소리는 언어의 민감기는 2세에서 7세 사이라 하였다. 동물에게 민감기가 존재하는 사실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네덜란드의 과학자 유고 드 브리스(Hugo de Vries)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