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선시대에 서울의 동․서․중․남의 4부에 세운 학교

2. 본래 북부의 학교까지를 포함한 5부학당을 계획하였으나 북부학당의 설립을 보지 못하여 4부학당으로만 존재하게 된 것이다.

3. 처음에는 학사(學舍)가 없어서 대부분 사원(寺院)을 이용하여 시작하였다.

4. 4학(四學)은 성균관(成均館)에 비하여 규모가 작고 교육 정도가 낮은 점, 그리고 문묘(文廟)를 두지 않은 점 등을 제외하고는 교육방침․교육내용 등에서 성균관과 비슷하였다. 그러기에 사학에도 재사(齋舍), 즉 기숙사를 마련하고, 각 학당의 학비는 모두 관급(官給)이었으며 면학분위기가 역연했다.

5. 국가에서는 성균관 직원과 예조(禮曹)․사헌부(司憲府) 직원으로 하여금 수업과정 상황을 감독하도록 하는 등 대단한 관심을 기울였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