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직의 목표, 테크놀로지 그리고 참여자 등의 요소들이 불분명하고 유동적인 상태에 있는 조직을 말함
2. 코헨, 마취 및 올센(Cohen, March and Olsen)에 의해서 개념화되었다. 이들은 특히 교육 조직에 고전적인 조직 이론의 개념들을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조직화된 무질서조직이라는 개념을 발전시켰다. 이들은 교육 조직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파악하였다.
3. 교육 조직은 목표가 구체적이지 못하고 분명하지도 않고 서로간에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교육 조직 구성원들은 서로 다른 목표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4. 교육 조직에서 사용되는 테크놀로지는 불확실하고, 이것이 학생들의 교육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교육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유동적이고 이들의 참여 또한 가변적이다. 즉 학생들의 드나듬이 심하고, 교사와 행정가들이 오고 가며,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참여도 변화가 심하다.
5. 코헨, 마취와 올센은 이런 특징을 가진 조직을 조직화된 무질서 조직이라 명명하고 전통적인 고전적 조직 이론가들이 상정하는 조직과 구별하였다. 조직화된 무질서 조직에서 이루어지는 의사 결정은 합리적이거나 체계적인 것이 아니라 시행착오와 우연적인 결과로 이루어진다. 목표가 불분명하고, 테크놀로지가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참여자들도 유동적인 상황에서는 문제의 해결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방법과 절차를 거쳐 이루어지기가 어렵다.
6. 쓰레기통모델 : 이렇게 불명료한 상황 속에서 합리적이지 못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의사 결정의 모델이 코헨, 마취 그리고 올센의 이른바「쓰레기통(garbage can) 모델」이다. 이 모델은 대학에서의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에 기초하여, 조직을 관료적이고 합리적인 체제로 보는 고전적 조직 이론의 한계점을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