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자(周子)와 정자(程子) 등이 그들의 천리사상(天理思想)을 선진(先秦) 때부터 논의되기 시작한 유가(儒家)들의 성론(性論)과 노장사상(老莊思想)과 불교의 영향을 받아 이론적으로 심화시킨 철학적 체제
2. 유교의 심지(深旨)가 되는 천도(天道)와 인도(人道)가 합일되는 근거를 천명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주자학(朱子學)․정주학(程朱學)․송학(宋學)․도학(道學)이라고도 한다.
3. 성리학이라는 명칭은 주돈이(周敦頤)의 제자 정호(程顥)가 천리(天理), 정이(程頤)가 성즉리(性卽理)라고 말한 데서 기인한다. 그 후 주자가 주돈이․장횡거(長橫渠)․정명도(程明道)․정이천(程伊川)․나종언(羅從彦) 등의 학설을 계승하여 대성했다.
4. 성리학은 대체로 태극론(太極論)․이기론(理氣論)․심성론(心性論)․성경론(誠敬論)으로 구분된다. 태극론과 이기론은 자연의 존재법칙을 연구하는 우주론이고, 심성론과 성경론은 당위(當爲)를 문제삼는 실천 윤리로서 인사(人事)를 문제의 대상으로 삼는다.
5.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 안향(安珦)이 최초로 받아들였고, 정몽주(鄭夢周)․이색(李穡)․길재(吉再)를 거쳐 조선조에 이르러 크게 발달하였으며, 조선 중기에는 이황(李滉)․이이(李珥)에 이르러 그 전성시대를 이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