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사상에 대한 반성

초기 사상의 특징 : 근본적으로 명제적 지식을 강조하고, 지식의 형식에의 입문을 통해 합리적 마음의 개발을 강조하였다.

합리주의와 공리주의적 사상에 대한 비판 : 합리주의적 관점에서 보는 것과는 달리 이성의 행사는 자발적인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여타 인간 능력들이 행사되도록 동기화하는 힘이 있듯이 이성 또한 그것을 동기화하는 힘에 의해 행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욕구들과 그 욕구들의 만족에 가치를 기초한 것은 적절한 것이다. 그러나 이성의 활동과 업적이 다른 욕구들 및 그 욕구들의 만족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아는 것이 인간을 이해하고, 좋은 삶을 결정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이성의 활동과 업적이 만족의 추구에 얽매이는 것으로 파악한다고 할 때, 이성은 언제나 인간의 이익에 의해 지도되는 것이며, 따라서 성격적으로 실천적 성격을 지니는 것이 된다.

 

명제적 지식에 대한 새로운 관점

명제적(이론적) 지식에 대한 새로운 사유 : 기족의 모든 명제적 지식은 필연적으로 불완전하고, 추상화된 지식으로 간주될 수 밖에 없다. 허스트의 이러한 새로운 사유는 기족은 명제적 지식을 수어하는 개념들이 갖는 한계를 새롭게 인식한데서 기인한다. 허스트는 이제 명제적 지식을 실천의 맥락 속에서 계발되는 실천 원리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론적 이성에 대한 새로운 사유 : 허스트가 실천적 이성과 실천적 지식의 필요성을 힘주어 강조하고 있다고 해서 그것이 곧 기존의 이론적 이성과 이론적 지식의 전면적인 부정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이론적 이성과 이론적 지식이 감당하는 몫이 존재하는 것이다.

 

후기사상 : 사회적 실제(Social Practice)

정의 : 사회적 프랙티스에 의해 내가 의미하는 것은 전통에 의해 확립되거나 계획적인 제도에 의해 확립된 것으로서 우리의 욕구와 이익의 만족에 관여된 활동 양식이다. 사회적 프랙티스에는 지식, 신념, 판단, 행위, 성공과 실패의 준거, 원리, 기술, 성향, 감정 등 진실로 우리가 지닌 모든 능력들의 활동들과 업적들이 망라되어 있다. 어떠한 프랙티스 에서든 이러한 요소들은 각각 다른 요소들과의 관계 속에서 고유한 특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함께 맞물려 있고, 각각의 요소가 갖는 고유한 특성들이 모여 그 프랙티스 전체의 성격을 규정한다.

 

핵심 요소는 인간의 욕구와 이익의 만족에 관여된 활동 양식, 전통과 제도를 통한 정당화, 다양한 요소들의 복합, 시행과 착오를 통한 발달이 있다.

 

허스트의 교육론 : 좋은 삶의 개념

좋은 삶이란 이론적 이성이 아닌 실천적 이성에 의해 결정되는 삶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실천적 이성은 인간의 욕구와 이익의 만족을 비판적으로 반성하는 가운데 계발되는 사회적 프랙티스들 속에서 구현되는 것이다.

좋은 삶은 비판적으로 반성된 삶으로서 늘어나는 욕구들과 이익들을 총체적으로 그리고 긴 안목에서 만족하기 위하 프랙티스들과 관련하여 발달하는 것이다.

교육의 전반적인 목표는 좋은 삶이 발달될 수 있는 프랙티스들에의 입문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며, 그 프랙티스들에의 입문 자체가 비판적 반성의 프랙티스 속에서 발달되어야 할 사회적 프랙티스이다.

 

허스트의 사회적 실제에 의한 3단계 커리큘럼

단계 커리큘럼(초등학교)
첫째, 운동 기능, 음식, 건강, 안전, 가정 및 환경적 상황 등과 같이 물리적 세계에의 대응과 관련된 프랙티스, 둘째, 읽기, 쓰기, 대화하기, 수세기, 정보 등과 같은 의사소통 프랙티스, 셋째, 개인적·가정적 삶의 관계에 관련된 프랙티스, 넷째, 지역적·국가적·세계적 관계와 제도, , 여가, 경제 문제, 법 등과 관련된 더 폭 넓은 사회적 프랙티스, 다섯째, 문화, 음악, 무용, 그리기, 조각, 건축 등과 같은 예술과 디자인의 프랙티스, 여섯째, 종교적 신념과 근본 가치에 관련된 프랙티스가 있다.

 

단계 커리큘럼 : 중등학교

단계의 프랙티스들을 비판적으로 반성하고, 그 프랙티스들에 단순히 입문하는 것에서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서의 커리큘럼이다. 학생들은 프랙티스들의 의의와 성과를 검토하고, 개인적·사회적 관계의 대안적 형식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그들 스스로 결정하고 선택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비판적 반성과 자기 선택은 무엇보다도 실천적 이성의 발달과 이론적 이해의 요소들을 내포하는 것이다.

 

단계 커리큘럼 : 전문가 프랙티스(specialist form of practices)

학생들은 직업이나, 여가, 여타 개인적·사회적 관심에 따라서, 그리고 개인이 가진 능력에 따라서 전문가 프랙티스를 선택하게 된다. 학문적인 학과와 여타 직업 교육이 등장하게 되는 것도 이 단계에서 이며, 이 단계에서의 선택여하에 따라 개인의 삶은 다르게 펼쳐지게 된다.

 

주의 : 이러한 커리큘럼의 3단계가 엄격히 순차적인 것으로 보아서는 안된다. 기술과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제단계의 기본적 프랙티스들이 갖는 중요성이 증대하고, 그것을 숙달할 필요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이 한 가지 이유이고, 단계의 비판적 반성 또한 정도의 문제이지 특히 중등학교 이상의 단계를 포함한 모든 단계에서 중요한 것이라는 점이 또 하나의 이유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