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한말(舊韓末) 고종 23(1886)년 9월, 관리 양성을 목적으로 정부가 세운 최초의 신식 교육기관
2. 좌원(左院)과 우원(右院)의 2개 반을 두어, 좌원에는 젊은 문무관리 중에서, 우원에는 15세에서 20세 사이의 양반자제 중에서 골라 입학시켰다.
3. 한국 최초의 신식학칙(新式學則)이라고 할 수 있는 육영공원 설학절목(育英公院說學節目)에 의하면 수업연한은 3년으로 되어 있으나 교사들은 7년으로 잡고 처음 3년은 예과, 나머지 4년은 대학과정의 본과로 하려고 했던 것 같다.
4. 교과내용은 학습차제(學習次第)라 하고 책 읽기 [讀書]․글쓰기[習學]․외국어(外國語)․수학․자연 과학․지리․역사․정치학․국제법 경제학 등을 교수하려 했으나 그 중 일부분은 실현되지 못했다.
5. 강의는 영어로 했으며 교과서도 영어로 된 것을 채용하였다. 학생수는 1886년에는 35명, 1887년에는 20명, 1889년에는 50명이었다.
6. 교사는 미국인인 헐버트(H. B. Hulbert)․벙커(D. A. Bunker)․길모어(G. W. Gilmore) 등이 초빙되었고, 이들 중 길모어가 귀국한 뒤, 기포드(D. L. Gifford) 목사가 얼마동안 이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7. 1894년, 「영어학교」로 교명을 바꿀 때까지 육영공원은 한국교육이 근대적인 신교육으로 전환․발전하는 과정에서 교량적 역할을 한 최초의 관립학교였다. 설립 당시에는 서울 정동(貞洞)에 있다가 1891년 전동(磚洞)으로 이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