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교의 물리적 조건, 지도 및 행정적 조직, 사회 및 심리적 상황을 통하여 학교에서는 의도하고 계획 세운 바 없으나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에 은연중에 가지게 되는 경험

2. 숨은 교육과정(hidden curriculum), 구조화되지 않은 교육과정(unstructured curriculum), 계획되지 않은 교육 과정(unplanned curriculum), 비공식적 교육과정(unofficial curriculum), 내현적 교육과정(來現的敎育課程, covert curriculum), 비가시적 교육과정(非可視的敎育課程), 내적 교육과정(internal curriculum), 조직되지 않은 교육과정(unorganized curriculum), 기대되지 않은 교육과정(unexpected curriculum), 비형식적 교육과정(informal curriculum)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3. 이 개념이 나타난 것은 1970년대이며 종래의 교육과정 개념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4. 이러한 잠재적 교육과정은 주로 학생들의 태도․가치관 신념과 관련되는 정의적 측면에 영향을 주며, 학교의 문화풍토, 교사의 인격적 감화를 중시하고 있다. 또한 잠재적 교육과정은 반복적․장기적으로 배우게 되므로 학습결과는 항구성을 지니게 된다.

5. 이러한 잠재적 교육과정은 교육의 긍정적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 측면에도 영향을 주고 있으며 학교의 계획 활동과 갈등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 표면적 교육과정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