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기 민족에 대해서 충절 혹은 애착을 두는 이데올로기 혹은 감정, 신념체계의 총화.
2. 민족성이나 민족의 문화유산과 전통을 모든 가치체계에 있어서 우위에 두는 신념체계 일반을 뜻한다.
3. 근대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형성된 국민운동으로서의 민족주의는 개인주의, 무정부주의, 사해동포주의(cosmopolitanism)등에 반대되는 개념이기도 하다.
4. 민주주의, 국제주의와 연결된 진보적인 민족주의와 전체주의, 배타주의, 쇼비니즘(chauvinism)의 특색을 지닌 민족주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대체로 국수주의의 성격을 갖고 있다.
5.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 국민국가의 형성을 내세우면서 전개된 민족주의가 전자의 경우라면, 자국의 특권과 세력을 유지하고 확장하는 것을 중시하면서 공격적이고 침략적인 성격을 나타내었던 1차 대전 후의 독일, 일본, 이탈리아 등의 민족주의는 후자에 속한다. 특히 후자의 경우는 전쟁과 식민지배의 결과를 초래하게 됨으로 해서 국제적 갈등을 일으켰던 역사적 경험을 갖고 있다.
6. 민족주의에 대한 강조는 자민족의 문화와 전통을 가치롭게 여기게 하였으며 민족교육을 중시하게 되었다. 특히 민족주의는 국민교육제도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7. 프랑스의 혁명의회에서 입안된 국민교육 제도에 관련된 여러 법안들을 19세기 민족주의의 전개와 더불어 근대사회의 여러 나라에서 실천에 옮겨졌다. 한편, 식민지배의 경험이 있는 제3세계권의 국가들은 자신들의 민족문화를 지켜내기 위해서 민족교육을 식민지배에 대한 투쟁의 방편으로 삼기도 했다.
8. 우리나라의 경우 일본 식민지배 하에서 각종 야학, 서당, 사립학교 등이 식민교육을 거부한 민족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식민지배에 항거하기 위한 「실력양성론」을 제기하고 독립정신을 고취하기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