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떤 신념이나 이론의 체계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이 모순․갈등․충돌이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응집력을 가진 상태

⑴ 구성요소들 간에 서로 모순․갈등․충돌이 없는 소극적 특징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의미있게 서로 연결되어 상호보조적인 정도가 높은 것을 통합성이 높다고 한다.

⑵ 문화체제의 경우에 사회의 구성원들이 문화적으로 집단별 특수성으로 인한 갈등이나 대립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서로 공통의 요인에 의해서 높은 연대감을 가질 때 통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⑶ 신념체제의 경우에 신념의 요소들이 논리적 일관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서로 의미 있게 상호기반을 제공하고 있을 때 통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⑷ 반대로, 예컨대 상관에게는 인격의 존중을 주장하고 부하에게는 자신이 인격적 멸시를 일삼는 것은 통합된 신념체제의 소유자가 아니다.


2. 교육 과정 구성에 있어서 선정된 학습내용 또는 학습경험을 조직하는 단계에서 지켜야 할 내용 또는 경험의 횡적 연계성

⑴ 예컨대, 중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을 구성함에 있어서 같은 학년에 나타나는 국어․수학․과학․영어 등의 교과에서 다루어지는 목표나 내용의 수준 또는 종류가 횡적으로 일정하게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⑵ 다른 교과, 특히 도구교과 등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개념이나 법칙을 학습된 것으로 전제하고 경험이나 내용을 조직하게 되면 교육과정 운영의 효과를 감소시킨다는 근거에서 강조되는 원칙이다.

⑶ 이 원칙은 교육과정 내용조직에서 계속성․계열성과 더불어 세 기본원칙 중의 하나가 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