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사(意思)를 설득력 있게 표현하는 언어구사법에 관한 고대와 중세의 학문

2.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에 의하면 수사는 논리에 대응되는 한 짝이다.

3. 그리스의 소피스트들은 절대적 진리와 항구불변의 존재를 부인하고 존재하는 것은 오직 감각적 경험뿐이라고 하였다. 감각세계의 지식만을 인정할 경우, 감각의 주체인 인간이 모든 지식과 가치의 기준이 된다.

4. 모든 지식은 개인의 경험에 의존하므로 상대적일 수밖에 없다. 상대적 지식의 전달은 상대방에게 그렇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이며 그렇게 믿도록 설득하는 도리밖에 없다.

5. 수사학의 중요성은 여기에 있다. 수사는 특수한 가정(假定)을 다루고, 계속적인 연설형식을 사용하며 그의 논증은 생략추론법(省略推論法)에 의존하고, 목적은 판단자들을 설득하는 데 있다.

6. 서양 교육사에서 수사학 전통이 지니고 있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⑴ 수사학은 실재의 세계가 아닌 개연(蓋然)의 세계를 추구한다. 그러므로 철학적 전통이 이성에 의해 학문의 논리적 체계를 확립시키려는 과학적 커리큘럼의 기초가 되었다면, 수사학적 전통은 언어의 설득에 의해 인간의 미적 가치를 존중하는 인문적 커리큘럼의 기초가 되었다.

⑵ 인간중심이나 실제주의와 긴밀한 관계가 있다. 수사학자들은 인간에 관심을 집중시켰으므로 인간의 영역을 넘어선 문제는 대체로 무관심하였다. 또한 인간의 행복이 사회적 출세와 정치적 성공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현실에 참여하는 실천적 또는 행동적 생활을 높이 평가하였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