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미
⑴ 실험적 연구에 있어서 주어진 실험처치(experimental treatments)가 정말로 실험효과를 가져왔느냐 하는 정도
⑵ 내적 타당도에서는 주어진 실험처치가 이 실험에서 정말로 어느 정도 실험효과를 가져왔느냐에 대한 질문의 답이 된다.
2. 비교 : 외적 타당도 - 실험결과를 어느 정도 일반화할 수 있느냐에 대한 답
3. 실험의 통제 : 실험연구의 내적 타당도는 필수적인 요건이 되며, 이러한 내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른 잡다한 요인들이 종속변인에 우연적으로 영향을 주는 일이 없도록 실험연구를 잘 통제해야 될 것이다.
4. 실험의 내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8가지 요인
⑴ 자연적인 성숙(成熟)
⑵ 실험기간 동안에 다른 사건이 개입되는 역사성(歷史性)
⑶ 사전 검사 영향
⑷ 측정과정의 변화
⑸ 통계적 회귀현상
⑹ 비교집단 선정에서의 편파성
⑺ 실험대상의 편파적 제외
⑻ 외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