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변산도 지수(變算度指數)의 하나로서 한 점수분포에 있어서 최고점수에서 최하점수까지의 거리.
2. 이 범위를 R이라고 하면 R=최고점수-최하점수가 된다.
3. 연속적 변인의 경우 엄격히 표현하자면 R=최고점수-최하점수+1로 나타내야 한다. 「1」을 더하는이유는 엄격히 말하여 최고 및 최하점수의 정확상한계와 정확하한계에서부터의 거리가 되기 때문이다.
예) 3, 5, 6, 7의 4점수가 있는 경우에 이것의 범위 R=7-3+1이 된다.
4. 장점 : 범위는 계산하기 쉽고 또 이해하기 쉽다는 장점
5. 단점 : 표집에 따른 변화가 크고, 또 극단한 점수의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
6. 극단한 점수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백분위 점간범위라는 것이 있는데, 이와 구별하기 위하여 때로는 단순범위(單純範圍)라고도 부른다.
7. 묶은 자료에 있어서 범위는 최상위급간의 정확상한계에서 최하위급간의 정확하한계까지의 거리를 구하면 된다. → 변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