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순서․순위와 같은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는 척도

2. 대상을 재려고 할 때는 자[尺]가 있어야 하지만 자의 눈금으로 쓰이는 수치는 반드시 같은 것은 아니다.

3. 척도는 명명척도(命名尺度)․서열척도․동간척도(同間尺度) 및 비율척도(比率尺度)로 흔히 분류하는데 척도의 성질과 측정하려는 대상의 특성은 잘 대응되어야 한다.

4. 서열척도는 등가(等價)와 순위의 두 가지 성질을 가진다. 예컨대 어떤 대상을 가장 작은 데서 가장 큰 것으로 배열하고 붙이는 수치이다. 대학교수를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 및 교수로 나누고 각기에 1, 2, 3, 4로 표시할 때의 척도와 같은 것이다. 즉, 3은 같은 부교수라는 등가를 나타내며 또한 1이나 2보다는 지위상 높고 4보다는 낮다는 순위도 나타내 준다.

5. 서열척도에는 2<3<4와 같은 대소관계(大小關係)의 표시는 가능하지만 3-2=4-3과 같은 가감승제산(加減乘除算)은 불가능하다. 이것이 이 척도의 한계인데 가감이 가능한 동간척도로 변환시킬 수 있는 시도도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