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비자 단체가 생산자의 목표가 무엇인지 관계없이 생산품을 소비자의 입장에서 평가하는 것과 같이 교육 프로그램을 실 수혜자의 입장에 서서 수행하는 평가.
2. 이 평가에서는 소비자의 입장 즉 프로그램의 실수요자인 교사나 학생의 입장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준거나 기준을 설정해 놓고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핵심이다.
3. 이 평가는 넓은 의미에서 탈목표평가(goal-free evaluation)의 구체적 예로서 파악될 수 있는 것으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를 분석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4. 이 평가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자나 평가자로부터 독립된 준거를 설정하여 평가하기 위하여전문자의 검토, 프로그램의 관찰, 소비자에 대한 면접 및 욕구 조사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