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련의 교육활동을 시작하기에 앞서서, 그 교육활동에서의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요구되는 학생들의 적성(適性)과 선수학습(先修學習)에 있어서의 학습결손․경험배경․성격특성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함으로써 그 교육활동에서의 학습 성취율을 증진시키려고 하는 평가활동
2. 이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① 어떤 교과나 단원의 학습을 위하여 선수(先修)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는 특정 출발점 행동(出發點行動)을 학생들이 제대로 갖추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형태
② 어떤 교과나 단원의 수업목표군의 상당한 부분을 이미 충분히 습득했는지를 밝힘으로써 학습의 중복을 피하게 하기 위한 형태
③ 교과나 단원의 특수성 및 예상되는 수업방법 등에 비추어, 학생들의 흥미․성격 특성 신체적-정서적 특성․경험배경․적성․과거의 학력(學歷) 등을 밝힘으로써 효과적인 학생 배치, 예상되는 학습장애나 학습곤란에 대한 사전대책의 수립 등을 목적으로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