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인정하고 인간을 모든 것의 중심으로 생각하는 사조

2. 보통 14세기 중반 이후 이탈리아의 단테(A. Dante), 페트라르카(F. Petrarca), 보카치오(G. Boccaccio) 등이 주장하기 시작하여 16세기까지 서구사상계를 풍미한 시대사조를 말한다.

3. 르네상스 : 이 사조는 중세의 신 중심적 사고를 배격하고 인간 중심적 사고를 고양한 것으로 그 전형적인 모범을 고대 그리스․로마시대에서 찾으려 했다는 점에서 르네상스라고 한다.

4. 교육에서의 인문주의

⑴ 교육에 있어서의 인문주의는 르네상스의 시대정신에 따라 고대 그리스․로마의 고전을 이해함으로써 인간성의 조화로운 발달을 추구하는 교육 사조를 말한다.

⑵ 고대 그리스․로마의 고전은 철학․문학․역사 등의 인문학 위주로 되어 있었으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희랍어․라틴어를 필수적으로 학습하여야 했다.

5. 한계 : 경제적으로 여유 있고 지적으로 뛰어난 유한계급(有閑階級)에 국한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대중적인 문예사조나 교육사조가 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6. 구분

⑴ 개인적 인문주의 : 글자 그대로 각개인의 특성과 교양의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사조로서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한 남부유럽에서 전개되었다. 대표적인 사람으로서는 《조신(朝臣:courtier)의 책》을 쓴 카스틸리오네(B. Castiglione, 1478-1529)가 있다.

⑵ 사회적 인문주의 : 도덕적이며 사회의 공공복지에 기여하는 인간성의 실현을 목적으로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하여 중․북부 유럽에서 전개되었다. 대표적인 사람으로서는 「우신(愚神)예찬」과 「올바른 교수방법론」 등을 쓴 에라스무스(D. Erasmus, 1466-1536)가 있다. 그를 중심으로 한 사회적 인문주의자들은 도덕적이며 사회 개혁에 기여하는 인간성의 실현을 위하여 고대 그리스․로마의 고전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성경의 학습도 강조했다. 성경의 학습은 신 중심적 사고의 결정체라는 점에서 인문주의의 근본정신과 일치하지 않는 면을 보여주고 있다.

③ 언어적 인문주의(키케로주의) : 16세기에 들어서면서 고전의 사상과 내용에 대한 이해보다는 고대 로마의 키케로가 사용한 글귀나 문장을 암송하는 형식에 치우친 일종의 구술주의(口述主義, verbalism)를 지칭한다.

7. 변화 : 키케로 주의로 변질된 인문주의는 17세기 자연과학의 발달과 함께 교육의 실용성을 강조하는 실학주의(實學主義, realism)에 의해 대체되어 나갔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