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존주의 實存主義 existentialism
1. 존재 혹은 실존(existence)의 의미와 기능을 밝히려는 철학적 입장
2. 19세기의 합리주의적 관념주의와 실증주의에 도전하면서 형성되고 발전된 철학사조(哲學思潮)로서 분석철학(分析哲學)과 함께 현대철학의 2대 조류를 이루어 왔다.
3. 실존주의의 유형과 관심은 매우 다양하여 일반적 특징을 추출하기는 어려우나, 대체적으로 존재의 특수성과 개별성을 강조하고 실존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강조하고 있다.
4. 사르트르(J.P. Sartre)는 “실존은 본질(essence)에 앞선다”고 하면서 객관적으로 주어진 것으로 판단하던 본질에 대한 전통적 철학의 경향에 도전하였다. 본질은 주어진 것이 아니라, 실존하는 인간이 스스로 선택하거나 결정할 성질의 것이다. 그리고 실존은 단순한 객관적 존재가 아니라, 행동하는 주체적 존재, 즉 자기의 존재에 대하여 질문하고 지각하며 자유를 행사하고 그것에 책임을 지는 존재이다.
5. 실존주의자들은 종교적․예술적․형이상학적․도덕적․정치적 관심을 포함하는 다양한 관심의 세계를 접하고 있다. 그것은 아우그스티누스(St. Augustinus)의 내심의 세계, 니체(F.W. Nietzsche)의 디오니소스적인 낭만주의, 도스토예프스키(F.M. Dostoevskii)의 허무주의 등의 광범한 사상적 배경에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6. 실존주의 철학자들로는 키에르케고르(S. Kierkegaard)․야스퍼스(K. Jaspers)․마르셀(G. Marcel)․사르트르․하이데거(M. Heidegger)․메를로-퐁티(M. Merleau-Ponty)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