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떤 명제가 사실에 정확하게 맞는 것, 또는 논리의 법칙에 모순되지 않는 바른 판단. 허위(虛僞, falsity)와 더불어 명제의 특징을 나타내는 말이다.

2. 진리는 참 혹은 거짓으로 분별될 수 있는 명제로서의 문장이나 기호나 표현에 관한 것이다.

3. 신념․주장․이론 등에 진리의 개념이 적용되는 것은 그것들이 명제이거나 명제의 체제이기 때문이다.

진리의 본질에 관한 전통적인 학설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⑴ 대응설(對應說, correspondence theory)로서, 한 명제가 진리라는 것은 그 명제가 표현하는 대상으로서의 사실이 있고 그 명제에 의해서 표현된 의미는 대상과 일치한다는 것을 뜻한다. "지금 비가 오고 있다"는 명제는 실지로 지금 비가 오고 있다면 진리라는 것이다.

⑵ 정합설(整合說, coherence theory)로서 진리는 체계적인 정합을 뜻한다는 것이다. 전체적 구조 속에서 하나의 요소로서의 한 명제는, 다른 모든 명제와 논리적으로 의미 있게, 일관성 있게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뜻하는 정합을 만족시킬 때 진리라는 것이다.

⑶ 실용설(實用說, pragmatism)로서, 한 명제가 진리라는 것은 그것에 관심을 둔 사람의 의도를 결과적으로 만족시키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4. 그 명제가 본래의 기대대로 기능을 한다는 것은 그것이 진리임을 입증하는 것이라는 생각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