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간의 태도를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활동
2. 태도의 계획적 변화과정은 세 단계로 구분된다.
⑴ 무슨 태도를 가르칠 것인가 하는 태도교육 목표의 설정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내재적 상태로서의 태도를 그 학습지도 및 평가에 구체적인 시사를 줄 수 있도록 정의․분류․진술한다.
⑵ 설정된 태도를 가르치는 학습지도의 단계이다. 여기서는 태도학습의 내적 과정을 밝히고, 이 과정을 지원하고 촉진시킬 외적 조건을 설정하는 교수설계(敎授設計) 및 활동이 전개된다. 태도교수(態度敎授)에 관한 이론은 사회과학에서 주로 다루는 태도변화이론에서 도입될 수 있다. 대표적 이론으로 균형이론․불협화이론․기능이론․행동이론․모델링(modeling) 이론 등을 들 수 있다.
⑶ 학습된 태도를 의미 있고 타당하게 확인하는 평가의 단계이다. 여기서는 교수과정을 통해서 학습자의 태도가 목표에 비추어 얼마나 학습되었는가를 신뢰 있고 타당하게 평가한다.
3. 학습성과로서의 태도가 영향을 줄 구체적 행위의 진술과 이 행위가 나타날 다양한 상황을 확인하여 정리한 이원분류표(二元分流表)의 작성은 효과적인 태도평가의 설계도 구실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