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범심론(汎心論)의 한 형태로서 모든 물질은 그 자체로, 또는 세상의 다른 영혼들과의 관계에서 생명력을 갖는다고 믿는 이론
2. 물활론은 원시인이 자연을 의인화(擬人化)한 초기 정령설(精靈說, animism)이나, 발달심리학에서 어린이가 원시인과 비슷하게 자연이나 물질에 생명이 있는 것으로 보는 전심설(全心設, panpsychism)과는 구별된다.
3. 고대 그리스의 탈레스(Thales), 르네상스기의 카르다누스(H. Cardanus)․브루노(G. Bruno)․근세의 로비네(J.B.R. Robinet)와 헤켈(E.H. Haeckel) 등을 물활론자로 꼽을 수 있다. ⇨신인동형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