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선조 26대 고종 31년 조선정부가 군국기무처를 통해 재래의 문물제도를 버리고 근대 서양의 법식을 본받아 새 국가체제를 확립하려던 정책

2. 군국기무처 : 반년동안 208건의 개혁조치 의결⇨정치, 경제, 사회 등의 모든 제도에 대한 근대적 개혁을 시행

3. 대표적 사회개혁

⑴ 청국과의 조약폐지

⑵ 개국기원 사용

⑶ 문벌과 신분계급타파

⑷ 인재등용 쇄신

⑸ 노비제 폐지

⑹ 조혼금지

⑺ 부녀자의 재가허용

4. 대표적 경제개혁

⑴ 통화정리

⑵ 조제금납

⑶ 도량형 통일

⑷ 은행, 회사설립

5. 일본의 비호아래 진행된 개혁은 대중의 호응을 얻지 못했으나 근대화의 기점이 되었다.

6. 갑오개혁이 일본의 강요에 의한 타율적인 것이라는 평가가 있으며, 반대로 민족적 자각의 발로이며 동학의 간접적 성과라는 평가가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