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인과 노인이 되는 사람들에게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제공되는 교육적 노력의 실천과정.

2. 국제적으로 공용되는 노인의 연령기준은 65세 이후이다.

3. 오늘날 의학의 발전과 영향보급 등 의식주의 발전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의 연장, 인구의 노령화 현상은 피할 수 없는 세계적인 추세이다.

4.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의 유네스코의 평생교육운동과 더불어 노인도 배워야한다는 뜻에서 노인교육이 시작되었지만 아직까지 그 체계나 운영에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노인교육참여기회가 제한된 노년층에만 제공된다는 점, 노인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수립이 미비한 점, 교육내용이 학습자인 노인의 교육적 요구를 수용하지 못하고 교육실시기관의 입장에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외국의 경우 노인을 위한 교육기회와 그에 대한 정책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포괄적인 관심은 미비한 실정이다. 캐나다의 「뉴 호라이즌 프로그램」(New Horizons Program)은 노인에게 레크레이션, 취미활동, 역사, 문화 강좌를 제공하는 한편 지역사회 할동을 통해 노인의 소외나 고독을 해소시킬 목적으로 정부 주도로 운영된다. 프랑스에서는 50세이상의 성인들에게 건강하고 생산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퇴직준비교육(Preparation for Retirement)」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노인들에게 얼마간의 훈련을 통해 정신적, 육체적 장애자를 돌보거나 아기를 돌봐주도록 하고 그 대가로 그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5. 노인교육은 노인을 사회의 주변인으로 만들어버림으로써 노인의 인격과 능력을 사장시키는 원리를 거부하고 노인에게 자립과 사회적 공헌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노인들의 개인적인 성장 및 자기 발견을 위해 다양한 교육내용을 개발해야함은 물론 노인인력활용방안과 연계된 퇴직(준비)교육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