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매스컴의 청중과 같이 대중적 행동에 참여하는 많은 수의 사람들. 현대사회의 특징적 구성원으로서 대중사회라는 말을 성립시켰다. 그러나 사회조직은 가지지 않으며 비교적 획일적인 방식으로 공통된 문화자극에 반응한다.
2. 대중의 특성
⑴ 그 구성원은 모든 사회계층을 망라하며, 지위․직업․문화배경․경제상태․생활양식 등이 서로 다른 사회성원들이 다양하게 포함된다.
⑵ 대중은 익명(匿名)의 개인들로 구성된 집단이다.
⑶ 대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 성원간에는 상호작용이나 경험의 교환이 거의 없으며, 물리적으로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⑷ 대중은 매우 엉성한 구성체로서 일치된 행동이나 통합이 이루어지기 힘들다.
3. 대중의 성격은 혁명군(革命軍)과 같이 어떤 통일성을 가지고 공통목표를 지향해 가는 행동적 군중(群衆, crowd)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대중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