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덕성을 기르고 정서를 순화시킴으로써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건전한 인격을 갖추게 하는 교육

2. 도덕교육의 내용

⑴ 도덕규범의 준수를 습관화시키는 일

⑵ 규범들 간의 갈등(葛藤)을 해소하고 새 규범을 만들어 내는 능력을 기르는 일

⑶ 생활의 질을 스스로 드높이려는 의욕을 기르는 일 등

3.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것은 곧 규범을 준수하는 것이므로, 생활에 대한 적응력을 기르고 인격을 드높이기 위한 교육적 노력은 모두 넓은 의미의 도덕교육이며, 생활지도는 특히 그 중요한 일부분이다.

4. 도덕성은 규범의 수용(受容)에서 비롯되지만, 적극적인 비판과 평가를 통해서 더욱 성숙되는 것이므로, 규범의 성격과 도덕의 본질을 체계적으로 이해시키고 그 준수의욕을 드높이기 위한 별도의 교과(敎科)를 두기도 한다.

5. 좁은 의미의 도덕교육 : 이 교과를 가르치는 일, 즉 도덕과교육(道德科敎育)을 뜻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