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기특한 누리과정 5.0]
[출처 : 기특한 누리과정 5.0]
1. 조건반응을 성립시킨 원래의 조건자극과 유사한 자극이 주어졌을 때 조건화된 반응이 계속 일어나는 현상.
2. 파블로프(I.P. Pavlov)는 타액(唾液) 조건형성 실험에서 벨 소리에 조건반사를 하는 피험동물(被驗動物)이, 양은 적지만 부저 소리나 메트로놈 소리가 들려도 침을 흘리는 것을 관찰하여 이를 보고하였는데 이런 현상이 곧 자극 일반화 현상이다.
3. 이 현상은 조건형성 이론에서 널리 검증되어 왔으며 그 결과 두 자극이 유사할수록 일반화의 정도가 크다는 자극 일반화 법칙이 수립되었다.
4. 자극 일반화 현상은 행동치료에서 인간의 불합리한 행동의 원인을 찾아 그를 치료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예) 흰 손수건에 대해 공포를 느끼는 사람이 있을 때 그 이상 행동의 원인이 흰쥐에 대한 공포 때문이었다는 것을 자극 일반화 법칙을 통해 밝혀내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1. 무조건 자극이 주어질 때 거의 자동적이며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반사적 행동
2. 생득적인 것이기 때문에 학습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3. 예컨대 눈 깜박거림․무릎 반사, 파블로프(I.P. Pavlov)의 실험에서의 고깃가루에 대한 개의 타액분비 등이 있다. 무조건 반응에 대립되는 개념은 조건반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