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고시 교육학/교육학 용어 사전1 : 한국교육사'에 해당되는 글 96건

1. 전통사회의 사립초등학교라고 할 수 있는 서당이 개항이후 새로운 사회적 조건위에서 변형된 형태

2. 1920년 식민지기에 근대적 초등교육의 보급이 저조한 현실에 대처하여 재래의 서당을 개량하거나 새로 설립함

3. 교육내용에 중요한 변화가 일어나 한문, 경학교육에서 국어, 일본어, 산술 등 당시 초등학교에서 가르치던 교과목이 포함되어 갔다.

4. 일제는 1908년 ‘서당관리에 관한 건’이라는 규정을 제정하여 전통적 서당교육을 용인하다가 1918년 ‘서당규칙’의 제정을 통한 서당등록제, 1929년 ‘서당규칙’의 개정을 통한 서당인가제를 강화하여 통제하였다.

5. 1920년대 초, 서당수가 25,482개, 재학생수 298,067명에 이름. 참고로 당시 보통학교의 수가 793개, 재학생수가 159,361명이었음에 비추어 서당의 역할이 컸음을 알 수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조선조 26대 고종 31년 조선정부가 군국기무처를 통해 재래의 문물제도를 버리고 근대 서양의 법식을 본받아 새 국가체제를 확립하려던 정책

2. 군국기무처 : 반년동안 208건의 개혁조치 의결⇨정치, 경제, 사회 등의 모든 제도에 대한 근대적 개혁을 시행

3. 대표적 사회개혁

⑴ 청국과의 조약폐지

⑵ 개국기원 사용

⑶ 문벌과 신분계급타파

⑷ 인재등용 쇄신

⑸ 노비제 폐지

⑹ 조혼금지

⑺ 부녀자의 재가허용

4. 대표적 경제개혁

⑴ 통화정리

⑵ 조제금납

⑶ 도량형 통일

⑷ 은행, 회사설립

5. 일본의 비호아래 진행된 개혁은 대중의 호응을 얻지 못했으나 근대화의 기점이 되었다.

6. 갑오개혁이 일본의 강요에 의한 타율적인 것이라는 평가가 있으며, 반대로 민족적 자각의 발로이며 동학의 간접적 성과라는 평가가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조선조 세조(世祖)4(1458)년, 예조(禮曹)에서 성균관(成均館)의 교육을 위해서 만든 학규(學規).

2. 사서오경(四書五經)인 대학․논어․맹자․중용․시․서․춘추․예기․주역 등을 그 전문적인 성격에 따라 각각 재(齋)로 편성하여 구재(九齋)로 하고, 대학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주역에까지 이르게 하는 단계적인 9개의 교육과정, 혹은 9개의 전문강좌.

3. 매년 봄과 가을에 정기시험을 치러 승임(陞任)시키고, 마지막 단계인 역재(易齋)에 이른 자에 대해서는 식년문과(式年文科)의 회시(會試)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주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조선조 고종(高宗) 32(1895)년 2월 2일, 국왕이 조칙(詔勅)으로 발표한 교육에 관한 특별조서.

2. 이 조서는 개명(開明)하려던 당시의 시대정신에 부응하여 교육에 의한 입국(立國)의지를 천명했다하여 교육입국조서(敎育立國詔書)라고 부르기도 한다.

3. 고종은 갑오개혁(1894) 후 근대국가를 건설함에 있어 교육을 국가 중흥의 기본으로 생각하고 교육의 목적과 성격, 그리고 방향 등을 이 조서를 통해서 밝혔다. 즉, “국가의 부강은 오로지 국민의 지식이 개명하는 데서 비롯되고, 지식의 개명은 교육의 선미(善美)에 따라 이룩되는 것이니, 교육이야 말로 국가보존의 근본인 바, 헛된 것을 물리치고 실용을 취하여 덕양(德養)과 체양(體養), 그리고 지양(智養)을 교육의 세 가지 강기(綱紀)로 삼아, 널리 학교를 세우고 인재를 양성하여, 국민의 학식으로써 국가중흥의 대공(大功)을 세우게 하려 한다”고 표명했다.

4. 이 조서는 재래의 경전중심(經典中心)의 교육을 지양하고, 세계 정세에 눈을 뜨게 하는 새로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교육의 삼대강령(三大綱領)으로 덕육․체육․지육 등의 전인교육(全人敎育)의 방향을 내세워 혁신적인 풍교(風敎)를 세우고, 사회를 향상시키며, 근로와 역행(力行)의 정신과 습성을 기르고, 사물의 연구를 철저히 하여 국가중흥의 강력한 힘이 될 것을 역설함으로써, 한국 근대교육 설립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이었다. 이를 계기로 하여 학부관제(學部官制, 1895)․각학교관제(各學校官制, 1895 이후) 등 근대적인 학제(學制)가 마련되기 시작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공자(孔子)와 맹자(孟子)의 사상체계를 통칭한 말.

2. 원래 유교는 공자학파를 뜻했는데, 10세기의 송대(宋代)에 맹자를 높이 존중하여 유교를 공맹사상이라 부르게 되었다.

3. 공자사상의 중심은 예(禮)와 인(仁)이다.

㉠ 예 : 외형적 구속에 의한 사회질서이며, 또한 개인생활에도 강한 구속력을 가진 삶의 기본형식 이다. 예의 정신적 기본은 윤리주의에 있는데, 즉 이것이 인이다.

㉡ 인 : 물론 옛날부터 있었으나, 여기에 깊은 의미를 붙인 것은 공자이다. 인은 인(人)이다. 즉, 이것은 인간의 도덕성의 존재를 믿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4. 그의 제자들은 예 중심(객관파)과 인 중심(주관파)으로 나뉘어서 발전.

㉠ 예를 중심(객관파) - 자유(子游) ․ 자하(子夏)등

㉡ 인을 중심(주관파) - 증자(曾子) ․ 자사(子思) ․ 맹자(孟子)등

5. 자사의 문인에게 배운 맹자는 공자의 도(道)를 계승하여 인간의 도덕적 기준으로 인의(仁義)를 중시하고 도덕 성립의 근거로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는 한편 덕치주의(德治主義)와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역설하였다.

6. 정치설에 있어서 공자와 거의 같으나 시대적인 변화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 공자 - 존주론(尊周論)을 주장한 데 반하여

㉡ 맹자 - 민권주의(民權主義)로 발전하여 아무리 군주라도 덕(德)을 잃었을 때는 대체 할 수 있다는 혁명론(革命論)을 주장하였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성균관(成均館)의 별칭.

    2. 갑오경장 이듬해인 1895년에, 칙령으로 성균관에 3년제 경학과(經學科)를 창설하고 신교육(新敎育)의 과정과 교수임명제와 학생들의 입학시험제․졸업시험제 등 획기적인 조치를 취하여 우리나라 고등교육 학제사상 신기원을 이룩했다.

    3. 성균관은 1911년 6월 : 경학원(經學院)으로 개편되어 문묘(文廟)의 제향(祭享) 및 일반 유생(儒生)의  교육기관으로 명목만을 유지하여 오다가   1920년 : 명륜학원(明倫學院)으로 개칭되고,  1937년 : 명륜전문학원, 1942년 : 명륜전문학교,  1946년 : 성균관대학으로 부활되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