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고시 교육학/교육학 용어 사전3 : 교육철학'에 해당되는 글 102건


1. 대상의 내재적 속성, 즉 구조적(構造的) 또는 핵심적 특징(特徵)이 가지는 가치

2. 예 : 우리가 예술작품이나 자연경관(自然景觀)을 가치 있게 여기는 것은 그 대상의 내재적 속성인 「아름다움」을 그 대상의 내재적 가치라고 부른다.

3. 우리는 내재적 가치를 가진 대상을 접하거나 이해하거나 실천하는 데에서 만족을 느끼게 된다.

4. 참고 : 가치, 본질적 가치, 수단적 가치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자신의 정신적-심리적 상태나 기능을 스스로 관찰하는 일

2. 현대적 용어로는 「반성」(反省, reflection) 혹은 「내적 감각」(inner sense)이라고도 한다.

3. 구분

⑴ 의식의 상태나 과정 그 자체를 발생 당시에 성찰하는 것

⑵ 과거의 것을 회상과 기억에 의해서 성찰하는 것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넓은 의미로는 사물 혹은 대상의 특징을 조직적으로 밝혀 나타내는 것

2. 좁은 의미로는 오직 경험적 사실의 특징으로 나타나는 것들을 관련지어 단정적으로 묘사하는 것

3. 프레게(Frege)는 X에 관한 명제 A, 즉 A가 X라는 변인을 포함하는 진명제로 X의 유일한 특성을 나타낼 때를 기이라고함

4. 러셀(Russell)은 이를 발전시켜 “남대문은 서울에 있다”라는 명제의 경우, ‘남대문’을 하나의 술어 F로 나타내고 ‘서울에 있는’을 하나의 술어 G로 나타내면, F라는 특징의 단 하나의 개체는 G라는 성질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형식의 명제를 기술이라고 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판단이나 평가의 기준을 제시하는 경우나 규칙성을 나타내는 경우에 적용되는 말

2. 과학적 방법론에서는 연구의 주제나 과제가 가치문제를 포함하거나 행위의 규칙에 관계되는 것일 때, ‘경험적’ 혹은 ‘사실적’에 반대되는 것으로 ‘규범적’이라는 말로 쓰인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올바른 행위나 품행의 기준 또는 규칙

2. 가치론에서는 가치판단 혹은 평가의 기준을 뜻한다.

3. 미학에서는 미(美)나 예술을 판단하는 기준을 의미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관찰된 개별적 사실들을 토대로 일반적 주장을 성립시키는 사고의 방법⇨특수사례를 근거로 일반화의 진리를 도출하는 방법

2. 완전 귀납법과 불완전 귀납법으로 구별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진보주의 교육의 실천가인 킬패트릭(Kilpatrick)이 제시한 활동중심 교육과정의 조직방식을 강조하는 교수-학습의 원리

2. 교사가 주도하는 암기식 교과지도법에서 탈피하여 생활 그 자체를 교육으로 간주하는 교육원리를 구체화한 학습지도법

3. 유목적적이고 자발적인 학습자의 참여를 강조하며, 교사와 학습자의 협동적 공동 활동과 학습자의 흥미와 욕구가 중심이 된다.

4. 목표설정, 계획, 실행, 평가의 4단계로 구성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교육의 내용이 어떤 외적인 기준에 부합되는 상태

2. 교육의 적합성은 그 기준이 무엇인가에 따라 여러 가지로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3. 교육의 「사회적 적합성」과 「개인적 적합성」으로 구분된다.

⑴ 사회적 적합성 : 교육의 내용이 사회의 요구에 부합되는 상태

⑵ 개인적 적합성 : 교육내용이 학습자 개인에게 흥미가 있다든가 열의를 불러일으키는 상태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교육의 과정이 결과적으로 산출하게 되는 모든 것

2. 본질적(혹은, 내재적)기능과 비본질적(혹은, 외재적·수단적) 기능으로 구별할 수 있다.

⑴ 본질적 기능 : 교육의 고유한 기능이며 동시에 교육의 개념에 내포된 기능

⑵ 비본질적 기능 : 교육의 개념에 내포된 기능은 아니나 교육의 결과로 얻어지는 것.

3. 그러나 개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으며, 논리적 구분일 뿐 가치판단의 기준이 아니므로 어느 것이 더 좋다고 할 수 없다.⇨피터스(Peters) : 본질적 기능만을 강조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마음, 또는 정신에 최우선권을 부여하는 철학적 학설

2. 우주를 형성하는 궁극적으로 참된 실재는 물질이 아니고 마음 또는 정신으로 환원될 수 있다고 주장

3. 마음 또는 정신이라 할 때의 두 가지의 뜻

생각하는 경험의 주체로서의 마음·정신·이성·생명 등으로 우주의 섭리자·절대자로서 신과 관련된 것이다.

⑵ 존재하는 모든 실재는 최종적으로 분석될 때는 심적이거나 정신적인 것이라는 뜻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