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국사회에서 19세기말과 20세기초에 시작되어 전개된 현대철학의 사조

2.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이란 말은 퍼어스(C.S. Peirce)의 논문 <How to make our ideas clear?>에서 최초로 사용되었고 1907년 제임스(W. James)의 저서 《Pragmatism》에 의하여 이 사상의 전모가 드러나게 되었다.

3. pragmatism은 그리이스어인 prágma로부터 나온 말이며 어원적으로 prágma는 praxeis와 같다. praxeis는 행위 또는 행동을 뜻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실용주의(實用主義)라 번역한다

4. 실용주의는 두 가지 일반적 특징이 있는데 첫째는, 행동적․실천적인 면에서 볼 때 어떤 사상이 진리를 갖고 있는지 아닌지는 그 사상 자체에 의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상을 만들어 낸 행위의 결과에 의해서 결정된다. 둘째, 동적․과정적(課程的)인 면에서 볼 때 행위․실천을 중시함으로써 진리를 동적(動的)․과정적으로 파악한다. 즉, 진리는 이미 있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며 선천적 이유, 고정된 원리, 폐쇄된 체계, 모든 절대자를 배척한다.

5. 퍼어스에 의하면 이론(理論)이란 머리 속에만 있는 것이 아니고 실험의 조작을 규정하고 지정하는 동시에 그 결과에 의해서 실증되는 것이며 실험행위에 의해 증명되지 아니하는 관념은 무의미한 것이라고 한다.

6. 제임스는 퍼어스의 생각에 동조하여 1907년 《Pragmatism》을 저술하여 미국 철학계에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그는 종래의 독일 관념론에 반대하여 진리의 근거를 실제적 효과에 두려고 함으로써 끝없는 형이상학적 논의를 종결시키고자 하였으며, 실용적 가치, 실천적 성과를 중시하여 미국인의 개척정신을 철학적으로 승화시켰다.

7. 제임스의 실용주의 철학에 접한 쉴러(F.C.S. Schiller)는 가치문제를 중심으로 실용주의에 접근했다. 즉, 순수한 이론적 가치의 존재를 인정하지 아니하고 모든 가치는 실천적 가치이며 선(善)은 일체의 가치원형이라고 했다. 한편 듀이(J. Dewey)에 이르러 실용주의는 교육학․철학․윤리학․심리학․미학․논리학 등에 확산, 응용되어 도구주의(instrumentalism) 또는 실험주의(experimentalism)로 발전되었다. 그의 교육론은 20세기 초에 형성․전개된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사조와 관련하여 현대교육의 사상적 흐름에 영향을 준 바가 크다. ⇨ 진보주의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인간 개성의 자유로운 신장을 중시하는 자유주의의 전통적 이념을 유지하면서 고전적 자유주의의 원자론적, 방임적 개인주의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사상적 경향

2. 19세기의 후반부터 영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나타난 진보적 사상가들 중에는 전통적 자유주의가 의존해 온 자연권의 사상, 사유재산권의 원칙, 경제적 자유, 무한적 경쟁, 최소정부의 이론, 원자론적 개인주의, 고전적 실증주의 등을 공격의 대상으로 삼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3. 그들은 한편으로 빈곤, 실업, 질병 등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 자유주의의 형식과 정신과 전통 그 자체에 매이지 않고 사회주의를 포함한 광범한 시대적 사상체계들을 종합하는 데 열중하였다.

4. 신자유주의자들은 로크(J. Locke)에서부터 밀(J.S. Mill)에 이르는 동안 형성된 몇 가지의 자유주의적 기본원리를 결합시키고자 하였다. 즉, 개체로서의 인간이 지닌 합리성에 대한 신념, 진보와 발전의 개념과 점진적 개혁을 지향하는 인간능력에 대한 신뢰, 경험적 차원에서의 자유의 개념, 법 체제 속에서 개인의 기능을 다할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책임있는 대의정치의 권력을 허용하는 입헌적, 제도적 질서 등이 그것이다.

5. 사상가 : 헤겔학파에 속하는 관념주의자인 그린(T.H. Green), 브래들리(F.H. Bradley) 등, 진화론의 영향을 받아 사회적 유기체론에 의존한 홉하우스(L.T. Hobhouse), 리치(D.G. Ritchie), 홉손(J.A. Hobson), 로버트손(J.M. Robertson) 등, 그리고 미국의 프래그마티즘의 계열에 속하는 듀이(J. Dewey), 미이드(G.H. Mead) 등

6. 신자유주의자들은 대개 사회를 방임적 자유를 허용해야 하는 원자적 개체들의 조직이라고 보기보다는 오히려 개체들의 자유로운 참여에 의해서 이루어진 유기체적 공동체로 보려고 한다.

7. 개인의 존엄성은 개인이 고정된, 그리고 이미 결정된 실체이기 때문이 아니라, 문화적, 자연적 조건과 더불어 신장하면서 자신의 목적과 특성을 스스로 성취해 가는 존재이기 때문에 주어지는 것이다. 또한 그들은 자유주의의 의미는 역사적 상대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개인이 어떤 개인이며 자유는 어떤 모습의 자유이냐의 질문에 대한 답은 시대에 따라서 다르다는 것이다.

8. 듀이는 당대의 자유주의적 과제를 언급하면서 종전의 자유주의는 과거의 관습과 타성에 의존하던 것에서 탈피하는 데 역점을 두었으나, 신자유주의는 인간이 자신의 지력에 의해서 옛 습관, 관습, 제도, 신념을 새로운 현실적 조건에 연결시키는 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자유주의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가치를 기능별로 분류할 때, 그 자체가 목적이기 때문이 아닌, 어떤 목적을 실현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가지게 되는 가치

2. 예 : 돈을 모으는 데서 만족을 느끼고 돈 자체를 목적으로서 추구하는 수전노(守錢奴)가 아닐 경우에 우리는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돈을 추구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돈에 부여하는 가치는 수단적 가치이다.

3. 이때, 참된 가치는 돈의 외부에 있는 셈이므로, 수단적 가치는 흔히 외재적(外在的) 가치라고도 부른다.

4. 한편, 미술작품의 내재적 속성에 가치를 부여하지 않으면서도 상업수단으로 그것을 사 모으는 화상(畵商)의 경우처럼, 내재적 가치를 가지는 대상에도 수단적․외재적 가치가 부여될 수 있다. ⇨본질적 가치, 가치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사물․관념(觀念)․행위 등이 우리의 요구충족(要求充足)을 방해하기 때문에, 그것들을 피하는 것이 오히려 만족을 가져다주고 또 우리의 가치기준에도 일치할 때, 그 사물․관념․행위 등이 가지는 가치.

2. 예 : 위(僞)․악(惡)․추(醜) 등의 가치가 그 대표적인 것들이다. 즉, 해로운 가치를 말함. 부정적(否定的) 가치라고도 부른다. ⇨적극적 가치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기술(記述)에 상대되는 말

2. 기술이 관찰이나 실험을 통하여 현상을 그 속성에 따라 사실대로 기록하는 것임에 대해, 설명은 개개의 사실에서 얻은 보편적 법칙, 또는 원리로서 사실을 통일하여 진술하는 것을 가리킨다.

3. 일반적으로 어떤 현상의 원인을 발견했을 때 그 현상이 설명되었다고 한다. 과학의 가장 기본적인 목적은 현상을 설명하는 데 있다. 그러나 키르호프(G.R. kirchhoff)․마하(E. Mach) 같은 실증주의자들은 자연과학의 과제를 기술에 국한하고 원인의 탐구를 배제하였다.

4. 기술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과학에 대해, 사실의 성립이유와 근거를 밝히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과학을 설명과학이라고 한다. 과학적 설명은 설명항(explanans)과 피설명항(explanandum)으로 구성되며, 설명항에는 일단의 법칙과 설명되어야 할 사건의 상황에 관한 진술문이 포함된다. 피설명항이 설명항으로부터 연역적(演繹的)으로 도출되어 나오고 설명항이 모두 참일 때 그 사건은 과학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기술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어떤 교육의 내용이 왜 가치 있는 것인가를 선험적 판단에 의하여 정당화하는 것

2. 허스트(P. Hirst)는 교육을 통하여 가르치는 지식은 구조화된 경험으로서 그 자체는 합리성을 지닌 것이며 지식에 내재된 합리성이 지니는 교육적 가치는 선험적으로 정당화된다고 하였다.

3. 합리성이 왜 가치있는 것인가의 질문은 합리성의 실제적 효용성이나 도구성을 언급함으로써가 아니라 그 자체의 내재적 가치에 호소하여 「직관적으로」 답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4. 허스트에 의하면, 그 질문이 참으로 진지한 질문이라면, 그리고 그것에 진지하게 답하고자 한다면, 그 질문은 그 자체로서 합리성을 인정하고 있다고 하였다.

5. 질문 그 자체가 합리성을 추구하는 질문이고 질문자는 합리성의 가치를 이미 추구하고 있는 셈이므로 달리 정당화의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경험의 선천적 제약에 관한 칸트(I. Kant)의 학설

2. 경험에 대한 선천적인 계기라고 할 수 있는 공간․시간․범주 등의 적용가능성이나 그 타당성에 관한 인식이 선험론의 대상이다

3. 선험론에 따르면 경험에 논리적으로 선행하는 전제나 조건에 관계하는 모든 것이 선험적이다. 그것은 심리적 과정을 초월한 것으로서 순수한 사유(思惟)의 법칙성을 제공하지만, 경험 자체의 보편적․필연적 제약에 기능한다.

4. 선험론에서는 인식의 심리학적 원인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인식의 궁극적 근거와 원리, 즉 인식의 필연적 전제를 밝힌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감각을 통해 직접 경험하지 않고도 언어의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가지게 되는 사물에 관한 간접적 인식(認識)

2. 지각적 지식(知覺的知識, observational knowledge)에 대립되는 개념이다.

3. 사물에 대한 인식은 원칙상 직접 경험을 통해서 얻는 것이지만, 그 사물의 모양을 서술하는 언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얻기도 한다.

4. 예 : “남극이 얼음으로 덮여 있다”는 것은 직접 가보면 곧 알 수 있지만, 우리는 가보지 않고도 그러한 지식을 가질 수 있다. 그 진술을 구성하는 언어의 의미가 이미 직접 경험된 것이거나 또는 경험된 것으로부터 추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5. 서술적 지식은 직접 경험할 수 없는 사물에 대한 인식을 제공함으로써 인간의 지식을 크게 확장시키지만 확실성이 부족하다.

6. 우리가 배우는 과학적 지식들은 대개 서술적 지식이다. ⇨지식, 진술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여러 종류의 개념을 포괄(包括)하는 개념

2. 예컨대, 참새․비둘기․꿩․잉꼬 등을 포괄하는 「새」, 삼각형․사각형․마름모․평행사변형․육각형 등을 포괄하는 「다각형」이라는 개념은 그 속에 포괄되는 개념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위개념에 속한다.

3. 삼각형은 다각형이라는 개념에 대해서는 하위개념이지만, 다시, 정삼각형․이등변삼각형․둔각삼각형․예각삼각형 등을 포괄하는 상위개념이 된다. ⇨ 하위개념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진리는 상대적이어서, 개인이나 집단에 따라서, 혹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서 다르므로 객관적인 판단기준이란 있을 수 없다는, 절대주의에 대립되는 주장

2. 인식론적 상대주의는, 인간의 모든 지식은 사람에 따라서, 그리고 신체적-감각적 기관의 상태에 따라서 상대적이라고 주장하는 학설이며, 윤리적 상대주의는 행(行)의 선악판단은 개인이나 집단에 따라서 다르다고 주장하는 학설이다. ⇨절대주의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