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국사회에서 19세기말과 20세기초에 시작되어 전개된 현대철학의 사조
2.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이란 말은 퍼어스(C.S. Peirce)의 논문 <How to make our ideas clear?>에서 최초로 사용되었고 1907년 제임스(W. James)의 저서 《Pragmatism》에 의하여 이 사상의 전모가 드러나게 되었다.
3. pragmatism은 그리이스어인 prágma로부터 나온 말이며 어원적으로 prágma는 praxeis와 같다. praxeis는 행위 또는 행동을 뜻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실용주의(實用主義)라 번역한다
4. 실용주의는 두 가지 일반적 특징이 있는데 첫째는, 행동적․실천적인 면에서 볼 때 어떤 사상이 진리를 갖고 있는지 아닌지는 그 사상 자체에 의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상을 만들어 낸 행위의 결과에 의해서 결정된다. 둘째, 동적․과정적(課程的)인 면에서 볼 때 행위․실천을 중시함으로써 진리를 동적(動的)․과정적으로 파악한다. 즉, 진리는 이미 있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며 선천적 이유, 고정된 원리, 폐쇄된 체계, 모든 절대자를 배척한다.
5. 퍼어스에 의하면 이론(理論)이란 머리 속에만 있는 것이 아니고 실험의 조작을 규정하고 지정하는 동시에 그 결과에 의해서 실증되는 것이며 실험행위에 의해 증명되지 아니하는 관념은 무의미한 것이라고 한다.
6. 제임스는 퍼어스의 생각에 동조하여 1907년 《Pragmatism》을 저술하여 미국 철학계에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그는 종래의 독일 관념론에 반대하여 진리의 근거를 실제적 효과에 두려고 함으로써 끝없는 형이상학적 논의를 종결시키고자 하였으며, 실용적 가치, 실천적 성과를 중시하여 미국인의 개척정신을 철학적으로 승화시켰다.
7. 제임스의 실용주의 철학에 접한 쉴러(F.C.S. Schiller)는 가치문제를 중심으로 실용주의에 접근했다. 즉, 순수한 이론적 가치의 존재를 인정하지 아니하고 모든 가치는 실천적 가치이며 선(善)은 일체의 가치원형이라고 했다. 한편 듀이(J. Dewey)에 이르러 실용주의는 교육학․철학․윤리학․심리학․미학․논리학 등에 확산, 응용되어 도구주의(instrumentalism) 또는 실험주의(experimentalism)로 발전되었다. 그의 교육론은 20세기 초에 형성․전개된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사조와 관련하여 현대교육의 사상적 흐름에 영향을 준 바가 크다. ⇨ 진보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