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스칼-리온에 의해 재개념화된 피아제 개념

 

⑴ 스키마(schema)

 

발드윈은 여러 유형의 자극에 대한 순환반응이 수없이 반복되면 자극쪽으로 향하도록 하는데 성공적인 움직임은 습관화되며, 그결과 내적으로는 하나의 특정 자극에 향하도록 하는 하나하나의 청사진을 발달시킨다고 가정한 후, 이 청사진을 스키마라 명명하였다. 이때 이 청사진 즉 스키마는 자극 자체의 성질과 정향반응의 성질 모두를 나타낸다고 보았다.

피아제는 감각운동기능이 조직되는 방식의 기본 단위(basic unit for an organized pattern of sensorimor functioning)를 나타내기 위해서, “스키마”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예를 들면, 젖빨기(sucking), 코로 젖비비기(rooting), 눈깜빡거리기(blinking) 등이 하나의 스키마이다. 피아제는 발드윈의 스키마의 구성성분을 새롭게 명명하였다. 발드윈은 스키마가 자극 자체의 성질을 나타내는 부분과 정향반응 자체의 성장을 나타내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이에 때해 피아제는 자극 자체의 성질 즉, 자극의 속성(예컨대 크기, 색깔, 모양 등)을 나타내주는 부분을 구상적 스키마(figurative scheme)라고 명명하였으며, 정향반응 자체의 성질, 즉 일련의 움직임이나 운동계열을 나타내주는 부분을 조작적 스키마(operative scheme)라고 불렀다. 따라서 피아제가 사용하는 스키마의 개념 속에는 구상적 스키마와 조작적 스키마가 하나의 단위로 통합되어 있다고 해석된다.

한편, 파스칼-리온은 스키마를 방출반응(releasing response : s)과 실행반응(effecting response : r)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심리학적 단위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파스칼-리온의 방출반응과 실행반응은 피아제의 구상적 스키마와 조작적 스키마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아기에게 흰색의 작은 곰 인형을 주었다고 해 보자. 이때 방출반응은 곰인형의 속성(예컨대, 색깔, 크기, 모양 등)을 표상하는 반응이며, 실행반응은 표상된 곰인형의 속성에 대해 행할 수 있는 가능한 행동(예컨대, 당기기, 던지기, 안기 등)을 표상하는 반응이다. 이 두 표상이 ‘S→R’식으로 결합되어 곰인형을 놀이기구로 표상하게 된다.

 

⑵ 동화(assimilation)

 

발드윈은 스키마가 견고해질수록 어린이의 반응은 더욱더 자동화된다고 보았다. 마침내, 친숙한 자극이 제시되면 해당 스키마가 자동적으로 활성화되는데, 이때 스키마의 자동화된 활성화 과정을 동화라고 명명하였다.

피아제도 발드윈의 동화 개념을 그대로 수용하였다. 즉 동화란, “놀이”에서 보듯이, 투입된 것이 기존 스키마에 받아들여지는 과정을 가리킨다.

한편, 파스칼-리온은 동화를 기존 스키마가 새로운 생활이나 맥락에 적용되는 전이라고 정이하였다.

 

⑶ 분화(differentiation)

 

파스칼-리온은 분화를 스키마가 반복 적용됨으로 인해 일어나는 스키마 자체의 수정으로 정의하였다. 여기서 스키마 자체의 수정이란 원래 스키마의 방출반응(s)과 실행반응(r)에 새로운 요소가 첨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⑷ 조절(accommodation)

 

발드윈에 의하면, 조절이란 새로운 상황을 기존의 스키마에 동화시키지 못할 때 갈등을 경험하고 다른 스키마들을 활성화시켜 하나의 새로운 상위스키마를 형성해가는 과정이다. 이때 그는 스키마를 활성화시키고 통합시키는 기제로서 주의력 개념을 제안하였다. 한편 피아제도 조절의 의미를 발드윈과 같게 사용하였다. 그러나 그는 주의력 대신에 평형화 ㅘ정을 조절을 일으키는 기제로 가정하였다.

파스칼-리온은 조절을 기존 스키마에 새로운 상황을 성공적으로 동화시키지 못할 때 일어나는 변화로 정의하였다. 예컨대,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에서 무조건 자극이 주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조건화되었던 조건 자극이 소거되는 것이나, 스키너의 작동 조건화에서 강화계획의 변경으로 인해 흰쥐에 대해 회피반응을 보이는 대신에 접근반응을 보이는 것은 조절의 한 유형이다. 이 개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절에 의하여 다음에 논의될 구조의 불변성(상위스키마)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⑸ 구조의 불변식(structural invariant)

 

파스칼-리온은 구조의 불변식을 두 개 이상의 하위 스키마들간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하나의 상위스키마로 정의했다.

 

[도표] 파스칼 -리온의 구조불변식(상위스키마)모형




도표에서 s와 r은 각각 방출반응과 실행반응을 나타내며, 양방화살표는 그들간에 형성된 연합이나 관계를 나타낸다. ‘s1→r1’과 ‘s2→r2’는 각각 하나의 스키마를 나타낸다.

이상의 설명을 도표의 표기에 의해 정리한다면, 스키마란 ‘s→r’이며, 동화란 ‘s→r’의 새로운 상황에의 적용이며, 분화란 ‘s→r’에 새로운 요소가 첨가되는 것이며, 조절이란 ‘s1→r1’과 ‘s2→r2’가 위의 표기 방식으로 형성되는(통합되는)과정이며, 구조의 불변성이란 조절의 결과로 나타난 위에 표기된 상위 구조이다.

 

 

2. 파스칼-리온에 의해 제안된 개념

 

파스칼-리온은 피아제의 개념을 대폭 수정하였으며 행동주의 이론가들과 개념적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가 새로이 제안한 개념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⑴ 스키마의 촉진 가중치(schematic activation weight)

 

파스칼-리온은 어떤 하나의 스키마가 촉진(활성화)될 때, 무한정 촉진 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강도도 혹은 일정한 가중치만큼 활성화된다고 가정하였다. 그는 한 스키마의 촉진 가중치는, 방출단서의 개수(number of releasing cues), 단서의 현저성과 조직화(salience and organization of cues), 해당 스키마와 구조적으로 관련된 단서, 혹은 논리적 단서의 개수(number of cues), 주의력 혹은 정신력(attention or mental power)의 함수라고 가정하였다. 부연하면

 

① 스카마의 방출단서 개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스키마의 활성화(촉진) 강도는 더욱 커진다.

② 단서들의 현저성이 증가되면 될수록 그들이 방출하는 스키마의 촉진 가중치는 더욱더 커진다.

③ 일단 하위 스키마가 상위 구조 속으로 통합되면, 그 구조의 다른 구성 성분들이 그 하위 스키마를 활성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스키마와 구조적으로 관련된 성분(단서)의 개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해당 스키마의 활성화 강도가 더욱 커진다.

④ 일련의 단서에 대한 피험자의 주의력이 커진면 커질수록 그 단서들이 방출하는 스키마의 활성화 가중치는 더욱 커진다.

 

파스칼-리온은 이상의 4가지 요인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예를 사용하고 있다.

 

 

방출단서의 개수 : 위의 문장을 독자들이 보았다고 해 보자. 그러면, 이 문장은 본문과 확실히 구별된다. 이렇게 구별되는 이유는 네모 속의 단서들이 강제 형태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글자들은 선명하여 읽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 모든 단어들은 흰 여백으로 둘러싸여 있다. 모든 단어들은 검은 선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그 페이지의 다른 부분과 대비되어 눈에 쉽게 뜨인다. 이 모든 단서들은 문장 속의 단어들에게 높은 장-가중치(field-weight)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위의 선 속에 제시된 단어군들은 방출단서의 수가 많기 때문에 높은 장-가중치를 띤다.

 

단서의 현저성 : 이제 독자들은 선 안의 실제 단어에 주의를 기울인다면, “장군”이라는 단어가 다른 단어들처럼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이것은 검은 점들이 어떤 하나의 형태로 응집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문제는 장-가중치가 낮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니라 모음과 자음들이 완전한 형태로 제시되지 않음으로 인해 생긴 것이다. 따라서 이 단어는 단어 자체가 방출하는 단서의 현저서 혹은 조직화가 낮기 때문에 다른 단어에 비해 낮은 단서-가중치(a lower cue-weight)를 받을 것이다.

 

논리적 단서 수 : 비록 그 단어의 어떤 단서들이 빠졌다 하더라도 독자들은 그 단어가 어떤 단어이어야 하는지 추측하는데 어려움을 겪지 않을 것이다. 문장 속의 다른 단어들은 그 단어의 의미를 한정하며, 논리적으로 유일한 단어는 “장군”이다. 파스칼-리온의 이론체계에 따른다면, 낮은 단서-가중치는 높은 논리적 가중치에 의해 보충된다. “장군”이라는 단어는 이순신과 임진왜란이라는 맥락에 의해 다른 가능성(예컨대, “정근”)보다 높은 논리적 가중치를 지닌다.

 

주의력 : 비록 각 단어는 문장이라는 상위 단위의 부분이라할지라도, 독자들은 단어 하나하나에 선택적으로 주의를 집중할 수 있다. 파스칼-리온의 이론체계에서는 주의력(attention)이란 정신력(mental power : M-power)의 보존을 가리킨다. 따라서 어떤 하나의 스키마의 활성화 가중치는 M-power의 적용에 의해 증가된다.

 

⑵ 오도과제구조(misleading task structure

 

파스칼-리온이 피아제 이론에 첨가시킨 두 번째 요소는 오도과제구조의 정의이다.

피아제는 아기가 대상영속성(object permanence)현상을 진정으로 이해하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우선 그 아기가 손수건 밑에서 물건을 찾도록 하는 습관을 형성시키었다. 그런 다음, 겉으로 보기에는 거의 같은 두 번째 손수건 밑에 그 물건을 놓았다. 이 실험에서 10개월이 지난 아기는 두 번째 손수건 밑에서 물건을 찾았다. 즉 “첫번째 손수건 밑에서 물건을 찾는” 습관을 극복하고 두 번째 손수건 밑에서 물건을 찾은 것이다. 그러나 10개월 이하의 아기는 매번 첫 번째 손수건 밑에서 물건을 찾곤 하였다. 즉, 이미 형성된 습관을 극복하지 못함으로 인해 두 번재 손수건 밑에서 물건을 찾지 못하였다.

파스칼-리온은 위의 실험에서 사용된 과제에는 다음과 같은 오도구조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였다.

 

① 피아제가 고안한 문제상황을 성공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일련의 스키마(x)를 적용해야 한다.

② 문제상황은 이전의 학습에서 사용된 것이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친숙해져 있다. 그 결과 시각적으로 새로운 일련의 스키마(x)가 아닌 부적절한 일련의 기존 스키마(y)를 적용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말하자면, 아기는 주어진 문제 상황에서 인지적 갈등을 경험하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x 혹은 y를 적용하게 된다. 이때, 10개월 이하의 아기는 시각적으로 오도됨으로써 기존 스키마 y를 적용하여 매번 첫 번째 손수건 밑에서 물건을 찾는 데 반하여 10개월 이상의 아기는 시각적 오도를 극복하고 새로운 스키마 x를 적용하여 두 번째 손수건 밑에서 물건을 찾는다는 것이다.

 

⑶ M(정신력)의 양적 증가

 

파스칼-리온이 피아제 이론에 부가한 세 번째 개념은 M-power의 양적 증가개념으로써 이것은 단계 이행에 관한 새로운 법칙을 상세화한 것이다. 단계 이행의 새 법칙이란, 어떤 하나의 발달과제가 주어졌을 때, 그 과제에 관련된 스키마 모두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정도까지 M(정신력, 주의력)이 증가되어야 하지만 그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는 법칙이다. 이 법칙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파스칼-리온은 발드윈에 의해 최초로 제안되었던 개념, 즉 주의력(attention power)개념을 기초로 하였다. 그러나 그는 이 개념을 분명하게 정의했다는 점에서 발드윈을 능가한다. 주의력은 ‘동시에 완전히 활성화시킬 수 있는 독립된 스키마의 최대 개수’로 정의된다. 이에 더하여, 파스칼-리온은 주의력 정량가(quantum value)ㄹ르 다음의 도표화 했다는 점에서 발드윈의 이론을 능가한다.

 

Pascaul- Leone의 M價

피아제 단계

연령

M價

전조작 초기

3~4

α+1

전조작 후기 - 구체적 조작 초기

5~6

α+2

구체적 조작 중기

7~8

α+3

구체적 조작 후기

9~10

α+4

형식적 조작 초기

11~12

α+5

형식적 조작 중기

13~14

α+6

형식적 조작 후기

15~16

α+7

α는 과제에 대한 지식과 지각적 배열에 주의를 집중하기 위해 필요한 주의력을 나타냄.

 

⑷ 인지양식(cognitive style)

 

파스칼-리온이 피아제 이론에 부가시킨 네 번째 요소는 개인차 요인을 도입했다는 것이다. 더욱이 그는 이러한 차이를, 위트킨(Witkin)이 발견하며 명명한 장의존-장독립성이라는 인지 양식의 차이와 동등시하였다.

 

⑸ 학습유형(types of learning)

 

파스칼-이론이 피아제 이론에 부가한 마지막 요소는 스키마의 분화와 스키마의 통합이 일어나는 과정을 상세화하였다는 점이다. 스키마의 분화는 일련의 스키마들 중 하나의 스키마만이 높은 활서화 가중치를 지니고 다른 스키마들은 낮은 활성화 가중치를 지니는 조건하에서, 아주 서서히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 이에 반하여, 스키마의 통합은 높은 활성화 가중치를 지닌 스키마들이 반복적으로 동시에 활성화될 때마다 매우 신속하게 일어난다고 가정하였다.

한편, 파스칼-리온은 ‘발달에 있어서의 논리적 구조의 역할’과 ‘인지기능의 질적 변환의 역할’에 관하여 피아제와 견해를 달리하였다. 그는 논리적 구조가 어린이의 사고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는 논리구조를 발달을 가져오는 기제로 보지 않고 발달의 산물로 간주하였다. 그리고 그는 인지기능의 질적 변환, 즉 단계 이행을 자신의 이론에서 배제시키지는 않았다. 그렇지만 하나의 단계 내에서 일어나는 질적 변환의 종류와 단계간에 일어나는 질적 변환의 종류를 분명하게 구별하지 않았다. 따라서 파스칼-리온의 이론에서는 피아제의 발달단계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반면에 “α+n”으로 표시되는 주의력 수준의 역할이 중요시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쩝...이 분 또 나오셨습니다. 메릴...그런데...이론은 무지 어려운 것입니다. 
차세대 교수설계라 불리워지는 것인데요....한번 보기나 해 보죠....뭐....힘 내세요^^

Merrill은 자신의 '내용요소 전시이론(ComponentDisplayTheory)'을 제1세대 교수설계이론(ID1)이라고 칭하면서 이것은 컴퓨터의 접근성과 능력이 충분히 성장하기 전에 개발되었기 때문에 우수한 시스템이나 컴퓨터의 잠재력을 수용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ID2는 교수과정을 가이드하고 관리하는 전문가시스템으로서 컴퓨터를 솜씨있게 활용할 수 있는 이론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Merrill은 실제로 '교수교류이론'을 적용하여 'ID Expert'라는 교수설계 전문가시스템을 개발하고 계속적으로 이론의 현장적용과 수정을 거듭하고 있다.
 
 Merrill과 그의 동료들이 제시하고 있는 ID2의 핵심적 잠재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ID1에서는 지식을 사실, 개념, 원리 혹은 절차와 같은 요소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들 요소의 복잡한 상관관계를 제공하는 데는 실패하고 있다. 그러나 ID2는 학습이란 스키마로부터 생성되는 정신모형 (mental models)의 구성과 정교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는 인지심리학의 발견에 기초하여 지식과 기술의 통합형태를 가르친다.

둘째, ID1은 상향식의 선수위계에 바탕을 두고 파편적인 지식을 학습하도록 지원한다. 그러나 ID2는 '정교화된 스키마'(Elaborated Frame Net-work)라는 인지학습 기반의 개념을 활용한다.

셋째, 현재 컴퓨터기반교수에 적용된 ID1은 수동적이며 단순한  전자적 페이지 넘기기 이상의 활동을 제공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그러나 ID2는 정보처리를 위해 학습자의 적극적 정신참여를 요구한다.

넷째, ID1에서는 지식의 범주를 학습내용을 사실, 개념, 절차,원리 등의 범주로 나누고 이 내용들은 학습자들이 수행해야 하는 과제에 따라서 기억, 활용, 발견의 세 학습 수행 수준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ID2에서는 지식을 교수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1. 
구성요소(components)  : 구성요소 유형의 지식은 '규명한다(identify)', '실행한다(execute)',      '해석한다(interpret)'의 세 가지로 다시 구분된다. 
  
     2. 
추상화(abstraction) : 추상화하는 유형의 지식은 '판단한다(judge)', '분류한다(classify)',      '일반화한다(generalize)', '결정한다(decide)', '전이한다 (transfer)'의 다섯 가지를 포함한다.

     3. 연합(association) : 연합하는 유형의 지식은 적어도 '확산시키다(propagate)', '유추
     하다(analogize)', '대체하다(substitute)', '설계하다(design)', 그리고 '발견하다(discover)' 등 적어도 다섯 가지가 있는 것 으로 밝히고 있다.

 다섯째, ID1은 수업을 구성하기 위해 정의(definitions), 예(examples), 연습(practice)과 같은 기초적인 구성요소들로 교수-학습 활동(상호작용)을 만든다. 그러나 ID2는 '제시(presentation)', '탐구(exploration)', '연습(practice)' 그리고 '평가(test)'의 유형으로 상호
작용을 구성하여 교수교류가 일어나도록 한다.

참조 : http://dasan.sejong.ac.kr/~inlee/class/99-2comp/edudpt/edu3/contant/B%20B/O/O011.htm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이 양반이 메릴 입니다. 생각보다 선하게 생기셨으니 그만 미워하시고 이론을 즐기심이 어떨런지? ㅋㅋ


⑴ 기억×사실
① 지도를 그릴 때 교회는 어떤 기호로 나타내어지는가?
② 원주율의 값은 얼마인가?

⑵ 활용 ×사실 : 없습니다.

⑶ 발견 ×사실 : 없습니다.

⑷ 기억 × 개념
① 침엽수의 특성은 무엇인가?
② 정적 강화를 정의하시오.

⑸ 활용 × 개념
① 다음 사진 중의 단층은 역단층인가?
② 다음 단편소설을 읽고 이 소설 중의 클라이막스 부분을 가장 잘 표현한 문단을 찾아내시오.

⑹ 발견 × 개념
① 책상 위의 여러 가지 돌맹이들을  몇 개의 무더기로 분류하시오. 다른 사람도 당신이 한 것과 동일하게 분류할 수 있도록 각 무더기의 특징을 표기하시오.
② 능력, 성별, 사회경제적 배경을 고려하여 교실의 학생들을 몇 개의 분단으로 나누는 방법을 고안해 내시오.

⑺ 기억 × 절차
① 양파의 세포를 관찰하는 데 필요한 현미경의 조작단계를 설명하시오.
② 암실에서 흑백사진을 인화하는 절차를 단계별로 기술하시오.

⑻ 활용 × 절차
① 현미경을 조작하여 양파를 관찰하시오.
② 주어진 네거티브 필름을 사용하여 흑백사진을 인화하여 제출하시오.

⑼ 발견 × 절차
① 학생들의 이름과 각 과목의 성적을 입력하면 성적의 합계, 평균, 표준편차를 계산해 내고 성적순으로 재벼열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짜시오.
② 피험자들이 실험실에 들어설 때 실험처치 그룹에 무선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기법을 고안해 내시오.

⑽ 기억 × 원리
① 세계지도를 만드는 데 이용되는 세가지 투사기술을 각각 설명하시오.
② 물이 기화할 때 어떤 현상이 생기는지 분자운동과 열의 관계를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⑾ 활용 × 원리
① 생태계에 대한 다음의 사례를 읽으시오(사례가 주어짐). 이 생계에서는 설치류 동물의 숫자가 늘고 있는데, 종 상호간의 의존성, 생태계의 순환 등에 관한 지식에 근거하여 몇 가지 예상되는 가설을 쓰시오.
② 다음은 두 척의 선박 사진이다. 한 척은 파도에 민감하게 흔들리고 다른 한 척은 파도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다. 이러한 차이점을 보이게 된 이유를 세개이상 드시오.

⑿ 발견 × 원리
① 담배연기가 식물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츠정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하고 결과를 보고하시오.
② 지하수의 생성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만들어 보여줄 수 있도록 준비하시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모델

인지적 유연성 하이퍼미디어

전략적 수업방식

이론적 전제

1. 임의적 접근 학습 : 비순차적, 다양한 제시

2. 십자형 접근

3. 문제의 복잡성 강조

4. 다양한 상황에서 작은 규모의 문제들을 지속적으로 다루어가면서 경험적 지식을 축적

1. 수업에 관련된 깊이 있고 종합적인 이해를 함양시키기 위한 인지적 모형들을 구성

2. 전문가들의 문제해결을 위한 인지적 과정에 대한 비교

3. 상황성이 깃들인 학습환경 : 다양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전과정 제시

제작 특징

1. 다양한 상황에서 제시되는 작은 규모의 문제들

2. 학생들이 감당할 있는 작은 규모의 과제

3. 주제별 학습 : 개념 간의 상호 관련성 파악

4. 프로그램 내에 전문가의 교수적 도움이나 의견들을 수록

5. 학습자의 필요에 따라 유동적으로 학습내용의 구조적 재편집의 가능성

1. 다양한 경우의 수업모습을 제시 : 특정 수업들의 과정을 모두 수록

2. 특정 수업의 전과정을 주제별로 구분

3. 개념별, 주제별로 자료제시

4. 수업의 특정 과정에 관한 전문가의 견해와 실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의 견해를 수록


출처: 강인애, 1996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마음을 경건하게 하여 이치를 구하는 것

2. 궁리(窮理)는 만물의 이치를 터득하는 것을 뜻하고, 거경(居敬)은 궁리에 임할 때의 마음의 자세를 의미한다.

3. 이치를 궁구하는 데는 실마리가 많으므로 한 가지 방법만이 아니라 여러 길을 살펴보면서 마음이 밝아지고 의리와 실상이 점차로 눈앞에 드러나게 된다는 것

4. 窮理와 居敬은 비록 머리와 꼬리의 관계에 있지만, 실은 각기 독립된 공부이고, 그러면서도 서로 병행되며, 마음을 전일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 궁리는 만물의 이치를 일시에 깨닫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하나의 이치를 터득함으로써 마침내 본래의 원천적 이치에 도달하는 것이다. 거경은 성정을 통합하고 이기를 합일시키는 자리로서 아직 발하지 않은 상태를 암시하는 정을 그 바탕으로 하고 있다. 거경함으로써 움직임과 고요함을 서로 관통하고 또한 깨달은 바를 실천하는 데 기본 되는 자세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1. 교육행정 및 법규


● 유․초등

2011

2010

2009

2008

2007

․교육재정 : 교부금

․지도성 : 리더십대용상황이론

․교육자치 : 지방교육자치제도

․학교풍토유형 : 호이와 미스켈

․교육정책 결정 모형 : 최적모형

․공무원법 : 인사행정

․교원복무 : 국가공무원법, 복무규정

․교직관

․다문화 가정 교육

․연수 : 자기연수

 

․지도성 : 변혁적 지도성

․의사소통론 : 원리

․교육자치 : 지방 교육 자치에 관한 법률

․학교경영 : 단위학교 책임 경영(학교회계)

․학급경영론

․교육인사행정 : 국가공무원의 분류, 임용의 정의

․교원 복무 : 교원의 지위 향상을 위한 특별법, 교원의 노동조합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

․교육행정이론 : 사회체제론

․동기론 : 동기위생이론(허즈버그), 직무풍요화

․교육정책 : 합리성 이론 모형

․교원 복무 : 근무평정

․장학 : 인간자원장학

․조직론 : 학습조직

․학교경영 : 단위학교 책임 경영제

․지도성 : 변혁적 지도성

․교육관련법규 : 교육기본법, 교육공무원법

․교육행정이론 : 과학적 관리론

․지도성 : 상황적 지도성(허시와 블랜차드)

․조직론 : 체제론(호이와 미스켈)

․교육자치 : 지방 교육 자치에 관한 법률

․교원복무 : 근무평정, 복무규정

․장학론 : 마이크리티칭, 컨설팅장학

․교육재정 : 지방 교육재정교부금법

․동기론 : 체제이론, 직무설계론

․지도성 : 상황적 지도성(피들러)

․교육정책 : 점증모형

․조직론 : 전문적 관료제(민츠버그)

․교육자치 : 학교운영위원회

․교원 복무 : 보수결정, 교원의 지위 향상을 위한 특별법

․장학론 : 동료장학

․학교경영기법 : 과업평가검토기법

● 중등

2011

2010

2009

2008

2007

․교원복무 : 휴직

․교육행정 이론 : 발달 순서

․ 학교관리 기법 : 품목별예산제도

․ 교육재정 : 교육비 분류 체계

․교육정책 모형 : 칼슨

․ 지도성이론 : 초우량지도성

․교육행정이론 : 인간관계론

․인사행정 : 임용, 전직

․조직론 : 조직화된 무질서

․교육관련 법규 : 헌법과 교육기본법 비교

․교육재정 :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학교경영 : 목표관리기법

․의사결정론 : 참여적 의사결정(호이와 타터)

․교육자치 :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학교경영 : 단위학교책임 경영제, 영기준예산제도

․교육관련법규 : 교육기본법, 교육공무원법

․교원 복무 : 교원의 지위 향상을 위한 특별법

․교육 정책 : 교육기획론(인력수요접근법)

․동기론 : 공정성이론

․지도성 : 상황적 지도성(허시와 블랜차드)

․교육법규 : 사립학교의 의결권

․교육자치 :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학교운영위원회

․교육재정 :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교육행정이론 : 조건 정비론, 인간관계론

․조직론 : 이완조직, 조직풍토론(핼핀과 크로프트)

․장학론 : 약식장학

․교육재정 : 공교육비


지금까지 공부했던 그 어느 영역보다 방대하고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해야 할 필요가 느껴지는 영역이 바로 이 교육행정 부분입니다. 물론 이 교육행정론은 크게 행정이론과 법규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에 관련하여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보아야 할 부분이 참 많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⑴ 행정이론 : 과학적 관리론, 조건정비론, 인간관계론 ⑵ 조직론 : 봉사조직 유형, 조직화된 무질서, 이완조직, 학습조직, 전문적 관료제(민츠버그), 갈등관리(토마스), 조직풍토(핼핀과 크로프트), 체제론(호이와 미스켈) ⑶ 동기론 : 맥그리거, 리커트, 허즈버그, 직무설계론 ⑷ 의사소통 및 정책론 : 의사소통의 원리, 학제, 정책 모형(합리성모형, 점증모형), 정책 관점(정치적 관점), 참여적 의사결정(호이와 타터), 교육기획론(인력수요 접근법) ⑸ 장학론 : 약식장학, 임상장학, 동료장학, 마이크로티칭, 컨설팅 장학, 인간자원장학, 장학론 발달과정 ⑹ 교육자치 : 학교운영위원회,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⑺ 교육재정 : 지방교육재정 교부금법, 교육재정 운영 준거, 공교육비 ⑻ 인사행정 : 승징규정, 국가공무원 분류, 임용의 정의(전직) ⑼ 교원복무 : 교원노동조합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 교원의 지위향상을 위한 특별법, 근무평정, 복무규정, 보수결정 ⑽ 학교경영 : 영기준예산제도, 과업평가검토기법, 단위학교책임경영제(학교회계), 목표관리기법 ⑾ 학급경영 : 원리, 안전사고 대처 ⑿ 교육법규 : 헌법, 교육기본법, 교육공무원법, 사립학교법(의결권)

이렇게 나누어 놓고 보니 참 해야 할 것이 많아 보이는 영역입니다. 그도 그럴것이 워낙 문제로 많이 출제가 된 영역이고 또 실제로 이론적 체계도 한 눈에 보이게 정리하기에 애매모호할 정도로 복잡한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교육제도는 교육법에 기초하여 있고 또 교육법은 교육제도나 행정적 체계로 구체화되기 때문에 그렇다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그러니 이 부분을 공부할 때는 이렇게 이론의 체계를 하나하나 살펴본다는 생각으로 접근하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더구나 수험생 분들의 성향상 이렇게 복잡해 보이는 이론적 체계 때문에 관심을 상대적으로 많이 두고 있지 않습니다. 이 말씀은 다른 의미로 말씀 드리자면 조금만 신경을 더 쓰면 훨씬 더 효과가 높을 수 있는 영역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다른 모든 사람들이 외면할 때 관심을 갖는 것이 성공의 지금길입니다’

어쨌든 이 부분도 문제가 년도가 지속될수록 심화되는 과정을 보였습니다만, 그나마 다행은 것은 앞의 여러 영역에 비해 그래도 심화정도가 조금 덜하다는 점입니다. 그러니까 양적인 부분은 현재 풍요하고 풍부하지만 질적으로 급하게 심화되었다거나 하지는 않았다는 점이 우리에게 위안이 되는 사항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실제 문제를 통해 그 구체적인 사항을 확인해 보도록 합니다.



- 2006 유초등 출제

<보기>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만족요인과 불만족 요인에 관련이 깊은 것을 가장 바르게 짝지은 것은?

 

<보기>

 

 

 

 

직무만족과 불만족은 연속선상의 양극단에 위치하는 일차원적인 개념이 아니라, 별개로 존재하는 상호독립적인 개념이다. 그래서 조직생활에서 만족요인이 많으면 만족감이 커지지만, 그것이 없다고 해서 불만족감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불만족 요인이 많으면 불만족감이 높아지지만, 그것이 없다고 해서 만족감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만족요인

불만족요인

동기요인

위생요인

회피요인

접근요인

위생요인

동기요인

동기요인

접근요인


☞ 허즈버그의 동기-위생이론은 보통 ‘이요인설’로 불리는 이론입니다. 이에 관한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 보기의 내용이고 그 각각의 내용 중 동기요인은 만족을 이끄는 요인으로 나아가 위생요인은 불만족을 야기시키는 요인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만족을 부르는 동기요인의 요소는 작업 자체의 성취감, 작업에 대한 인정, 책임, 성장 가능성, 도전감 등 한마디로 직무의 내용에 관계된 것입니다. 한편, 불만족을 일으키는 위생인은 회상의 정책과 관리, 감독 체계, 작업 조건, 개인 상호 관계성, 임금이나 지위 등의 직무 환경에 관계된 것입니다.



- 2007 유초등 출제

다음에서 권 교사에게 해당하는 직무설계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① 직무순환(job rotation)         ② 직무풍요화(job enrichment)

③ 직무공학화(job engineering)   ④ 직무단순화(job simplification)


☞ <보기>를 통해서 확인하고자 하는 문제가 단순히 직무 설계에 관련된 내용일 것이라 추측하기 보다는 이를 동기론과 관계된 것으로 파악하여야 하는 문제입니다. 즉, 업무 자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른 것보다도 직무 상에서 결정의 자율성을 인정하는 직무 설계의 내용이 무엇이냐하는 부분에 집중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이는 허즈버그의 동기-위생이론과 관계된 것입니다.


- 2009 유초등 출제

허즈버그(F. Herzberg)의 동기-위생 이론(motivation-hygienen theory)에 근거할 때, 다음의 상황에서 김 교사의 직무 동기를 유발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


① 정보실의 컴퓨터를 최신 기종으로 교체하고 수업환경을 개선해 준다.

② 김 교사를 집 근처의 학교로 특별 전근을 시켜 주고 그 학교에서 정보 부장을 맡게 해 준다.

③ 인간관계 개선 프로그램을 통해 김 교사와 동료 교사들 간의 대인관계를 원활하게 해 준다.

④ 정보부에 대한 재정 지원을 확대해 주고 김 교사에 업무 실적에 따른 성과급을 지급해 준다.

⑤ 김 교사가 정보관련 업무 전체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위임받아 자율적으로 일을 수행하게 해 준다.


☞ 이 문제의 핵심은 동기를 유발 시키는 즉, 만족요인에 관계된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가를 묻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업무 자체에 대한 자율적 의사결정이 가장 적절한 내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나머지 내용들은 위생 요인으로써 이러한 불만족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동기화를 진행하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중 더 효과적이라는 점은 동기화에 따른 지속력을 따져야 하면 이는 만족요인에 대한 관심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선 허즈버그의 동기-위생이론에 관계된 3가지의 문제를 다루어 보았습니다. 말씀 드린 바와 같이 아주 깊은 정도까지 심화된 것은 아니나 나름대로의 심화의 과정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처음에는 동기-위생이론의 내용체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물어보다가 다음에는 이 동기-위생이론이 직무설계 이론과 어떤 관련을 나타내 보이고 있는지 제시하고 있으며 나아가 현재의 상황에서 동기-위생 이론을 비추어 볼 때 적절하게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 상황을 문제로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정도의 문제 변화는 이제 다른 부분에서도 충분히 다루어 졌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나아가 제 바람은 약간의 현실 적응력만 갖춘다면 충분히 문제를 맞출 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약간 영역이 넓긴 하지만 조금만 노력하면 이러한 정도는 충분히 맞출 수 있으므로 타 수험생에 비해 좀 더 사려깊은 관심과 끈기로 접근하면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 교육행정 영역에서 새로운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우리에게 깊은 주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다음의 두 문제를 통해 그 방향을 제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2009 유초등 출제

<보기>에서 현행 교육공무원법을 위반한 내용이 포함된 사례를 모두 고른 것은?

 

<보기>

 

 

 

 

㉠ 사립학교에 근무하는 박 교사는 교장실로 호출당했다. 박 교사는 수업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들의 불만으로 인해 주의를 심하게 받았다. 이후에도 이런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되면서 학교를 그만두라는 교장의 말에 못 이겨 결국 사표를 냈다.

㉡ 최 교사는 어제 동료들과 회식 자리를 함께 하였다. 울적한 기분에 과음을 하였고, 취중에 운전을 하다가 사고를 냈다. 다음날 학교에서 수업 중 경찰관이 교실로 들어와 체포하여 연행하였다.

㉢ 윤 교사는 4살짜리 아이를 둔 남자 교사이다. 자녀 양육을 위해 1년간의 육아휴직을 신청하였고, 요즘 휴직상태에서 아이 키우는 재미에 푹 빠져 있다.

㉣ 김 교사는 갑자기 건강이 좋지 않아 병원을 찾았다. 김 교사에게 장기 요양이 필요하다는 병원 진단 결과가 나왔다. 임용권자는 직권으로 김 교사에게 휴직을 명하였다.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


☞ 취학전 아동의 경우는 남자 교사라도 육아휴직 신청이 1년 내에서 가능하며, 질병 휴직은 직권 휴직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교원의 경우는 권고에 의해서 사직하지 않으며 현행범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학교에서 체포되지 않는다는 교원의 복무에 관련된 내용을 묶어 놓은 문제입니다.


- 2010 유초등 출제

초등학교 교사의 행위 중 위법인 경우를 <보기>에서 고르면?

 

<보기>

 

 

 

 

㉠ 환경보호를 강령으로 하는 정당에 가입하고 퇴근 후에 이 정당이 주관하는 환경보호활동에 참여하고 있는데, 근무시간 이후니까 괜찮겠지?

㉡ 그동안 교원단체에 가입해 왔는데, 교원노조법이 법제화된 후에 교원노조에도 가입했어. 모두 합법적인 단체들이니까 양 단체에 동시에 가입해도 괜찮겠지?

㉢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위원인데, 분쟁조정이 어려워 지역상담교사 모임에 사건경위와 가해 및 피해학생의 성명 등을 소개하고 자문을 구했는데, 전문가들이니까 괜찮겠지?

㉣ 지난 주 일요일에 교원노조에서 당국에 신고하고 허용된 공교육정상화를 위한 촉구대회를 열기에 참석했었는데, 집회도 평화적으로 끝났고 내가 조합원이니까 괜찮겠지?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 ㉠의 장당가입은 정치적 행위이므로 교사들에게 금지되어 있는 사항이며, ㉢은 학생의 정보를 유출한 행위에 해당되므로 위법입니다. 한편, ㉡의 교원노조와 교원단체는 성격이 다른 것으로 동시에 가입해도 무리가 없으며, ㉣의 경우 당국에서 허가한 집회에 참석했으며, 나아가 근무시간이 아닌 시간에 집회가 있어, 태업이나 단체행동등에 해당하는 사항이 아니므로 위법사항이라 보기 어렵습니다.


위의 예 2가지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이제 문제는 마치 사법시험 등에서 다루는 ‘판례’와 같은 사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내용을 암기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며 역시 주어진 문제상황 안에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지식 구조를 활용하여 적절하게 정리하고 적용해 보아 지식의 구조체계에서 재 이해해야 하는 문제인 것입니다.


이제 여러 회에 걸쳐 진행된 이 글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마지막 문제들에서 살펴보았듯이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역시 이제 ‘무엇’(What)이 시험문제에 나왔느냐를 넘어 그 문제가 ‘어떻게’(How) 나왔느냐입니다. 우리의 시험이 그저 그렇게 보면 대충 합격하는 종류의 시험이 아니라는 것은 이미 누구나 아는 사실이 되었습니다. 나아가 아주 높은 점수를 받아야만 더 심하게 표현하자면 합격을 위해서는 ‘실수하지 말아야만’ 하는 시험이 된 것입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것은 바로 이 부분입니다. 이제 더 이상 안일한 태도로 임용시험을 바라보아서는 곤란합니다. 시험에 많이 응시해 보신 분들이 특히 주목하셔야 하는 대목이 바로 여기입니다. 마치 시험의 경험이 많으면 스스로가 이 임용시험에 ‘전문가’가 된 느낌을 갖습니다. 그러나, 그야말로 지금처럼 구체적인 탐구의 과정을 각각의 내용영역에 비추어 해석할 수 있어야 그리고 나아가 이러한 흐름에서 다음의 문제가 ‘어떻게’ 나올 것인가를 예측할 수 있어야 진정한 ‘전문가’가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아시다시피 이런 과정을 겪어야 하는 것은 ‘수험생’이 아니라 이 분야에서 ‘선생’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하며 이 부분에서 여러분들이 동감하고 계시리라 믿습니다.

감히 제안합니다. 여러분!! 이제 ‘무엇’에 집중하지 말고 ‘어떻게’에 집중하는 공부를 진행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그렇게 할 때 ‘계륵(鷄肋)’처럼 느껴지는 이 ‘교육학’ 도 그리고 더욱 중요한 ‘전공’도 나아가 ‘2차 및 3차’ 시험도 무리 없이 통과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모두 이 땅의 교육을 걱정하는 그리고 행복한 삶을 지향하는 ‘진정성’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입니다. 그러므로 공부도 이러한 ‘진정성’에서 준비해 주시고, 나아가 이 태도와 가치 그리고 지식을 가지고 전문적 기술을 익혀 현장에서 ‘행복한 교육’을 실현하는 주체들이 되시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0. 생활지도와 상담


● 유․초등

2011

2010

2009

2008

2007

․사회학습이론 : 크롬볼츠

․상담기법 : 인지행동이론

․방어기제 : 안나프로이드

․상담기법 : 체계적 둔감법, 재구조화

․상담기법 : 구조화

․상담이론 : 현실치료, 해결중심 상담

․특수아교육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상담기법 : 구체성

․상담이론 : 현실치료

․집단상담 : 상담과정에 대한 저항 유형

․영재교육 : 렌줄리의 영재아 심화학습 모형

․방어기제 : 투사

․상담기법 : 재진술, 공감적 이해

․상담이론 : 행동주의(행동수정기법), 합리적 - 정서적 상담

․영재교육 : 렌줄리의 영재아 개념

․상담기법 : 구조화, 즉시적 반응

․상담이론 : 분석심리학, 교류분석 상담, 개인심리학 상담

● 중등

2011

2010

2009

2008

2007

․욕구이론 : 로우

․상담이론 : 게쉬탈트 상담이론

․상담기법 : 반영

․상담이론 비교

․진로상담 이론 비교

․진로상담 : 이론체계(홀랜드의 인성이론)

․상담기법 : 반영, 해석, 행동실험

․진로상담 : 이론체계

․상담기법 : 재진술

․상담이론 : 형태주의, 해결중심 상담, 행동주의(모델링, 토큰강화, 타임아웃)

․상담이론 : 형태주의(빈의자기법), 행동주의(조작적 조건형성 단계)




생활지도와 상담 영역은 최근에 매우 중시되는 부분으로 이 영역에 대한 학습은 1차 시험에 대한 대비 뿐만 아니라 3차 면접 시험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수험생 분들의 깊은 주의를 요구합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해야 할 것이 많아 보이나 실제로 내용체계를 정리해 보면 정복하기 어려워 두려워 할 정도로 힘든 영역은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세부 영역을 나누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⑴ 생활지도 : 영재교육(렌줄리의 개념모형 및 심화학습 수업 모형), 특별지도교육(ADHD), 진로상담(이론체계유형) ⑵ 방어기제 및 상담기법 : 방어기제(투사, 합리화, 승화), 상담기법(반영, 해석, 행동실험, 재진술, 구조화, 즉시적 기법, 공감적 이해, 구체성) ⑶ 상담이론 : 행동주의(체계적 둔감법, 행동수정기법, 조작적 조건형성 단계, 모델링, 토큰강화, 타임아웃), 인간중심 상담, 합리적-정서적 상담, 정신분석 상담, 분석심리학, 개인심리학, 교류분석, 해결중심상담, 형태주의 상담, 현실치료 기법, 집단상담(저항의 유형). 그럼 이렇게 제시된 영역의 내용체계가 어떻게 변화되고 최근의 시험문제 유형으로 제시되고 있는지 그 유형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2005 중등 출제

다음은 교사가 파악한 어떤 학생의 문제이다. <보기>에서 현실요법을 적용하여 이 학생을 상담하고자 하는 상담교사의 접근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 현재를 중시하면서 철수의 감정이나 태도보다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 철수의 비합리적 신념에 대한 근거와 타당성을 입증하도록 논박하여 합리적인 신념을 갖게 한다.

㉢ 철수의 욕구충족을 위해 선택한 행동의 효과성을 평가하면서, 새롭고 합당한 방법을 찾도록 돕는다.

㉣ ‘지금-여기’에서 철수의 현재 감정에 초점을 맞추어 반영하고, 그에게 주는 의미를 자각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① ㉠, ㉢                       ② ㉡, ㉣

③ ㉠, ㉢, ㉣                    ④ ㉡, ㉢, ㉣


☞ 시험문제의 조건이 현실 요법에 관련된 것이라는 것을 안다면 ㉠처럼 초점을 행동에 둔다는 점, 그리고 ㉢ 과 관계된 것으로 합리적인 행동의 선택을 위한 방법에 관련된 내용이 상담의 과제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은 합리적-정서적-행동적 치료 기법 그리고 ㉣은 인간중심 상담과 관계 깊은 것입니다.


- 2006 중등 출제

<보기>와 같은 절차에 따라 상담을 실시한 김 교사의 상담기법은?

 

<보기>

 

 

 

 

단계1 : 김 교사는 내담자인 선미가 무엇을 원하는지 그리고 상담을 통하여 무엇을 기대하는지를 물었다. 이에 선미는 급우들의 따돌림에서 벗어나 좋은 관계를 맺고 싶다고 답하였다.

단계2 : 김 교사는 선미가 급우들에게 무슨 행동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단계3 : 김 교사는 선미에게 급우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급우를 대하는 자신의 행동이 얼마나 적절했는지 등을 스스로 평가해 보도록 도왔다.

단계4 : 김 교사는 선미의 급우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선미가 앞으로 실천해야 할 구체적 방안과 계획을 수립하도록 도왔다.

 

 


① 현실요법                     ② 행동수정요법

③ 인간중심요법                 ④ 합리․정서․행동요법


☞ 위의 보기는 4개의 단계로 나누어 상담을 진행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정리하여 보면 1단계에서 내담자의 소망 즉 Want를 찾았고, 2단계에서 내담자가 소망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하고 있는지 즉, Doing을 탐색하였습니다. 3단계에서는 그의 행동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Evaluation의 과정을 겪고 있으며, 나아가 4단계에서는 행동의 계획을 세우는 즉, Planning의 과정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지요. 이는 현실요법의 4단계 WDEP 즉 Want-Doing-Evaluation-Planning의 과정임을 알 수 있습니다.


- 2009 유초등 출제

<보기>에서 글래서(W. Glasser)의 현실치료 이론에 대한 옳은 설명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 인간은 기본적으로 생존, 자유, 힘, 즐거움, 소속의 욕구를 가지고 있다.

㉡ 인간은 행동을 선택할 수 있고 이미 행한 모든 행동은 선택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 인간은 행동을 선택할 때 자신의 욕구를 최대한 충족시키기 위해서 자신을 통제한다.

㉣ 전행동(total behavior)은 활동(acting), 생각(thinking), 느낌(feeling), 신체반응(physiology)의 네 가지로 구성된다.

㉤ 전행동 중에서 인간이 통제할 수 있고, 행동의 방향을 잡아주는 것은 활동과 신체반응이다.

 

 

① ㉠, ㉡                       ② ㉠, ㉢, ㉣

③ ㉢, ㉣, ㉤                    ④ ㉠, ㉡, ㉢, ㉣

⑤ ㉡, ㉢, ㉣, ㉤


☞ 현실요법의 중요한 내용체계를 모두 정리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그런데, ㉤의 진술을 수정해 보면 신체반응은 인간이 통제할 수 있는 전행동은 아닙니다.


- 2010 유초등 출제

다음의 민호에게서 나타나는 문제행동의 원인에 대한 가설을 상담이론별로 다양하게 세울 수 있다. 주요 상담이론과 가설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① 인지치료 - 엄격하고 폭력적인 아버지의 행동방식을 보고 배운 것이다.

② 행동수정 - 존중과 이해를 받지 못해 부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한 것이다.

③ 정신분석 - 무조건 다 받아주는 어머니로 인해 폭력적인 행동이 강화되었다.

④ 인간중심 - 폭력적인 행동의 이면에는 외동아들로서의 의존적 성격이 깔려있다.

⑤ 현실치료 - 결핍된 힘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폭력이라는 잘못된 방법을 선택한 것이다.


☞ 인지치료 요법은 잘못된 형성된 신념체계를 바꾸어 가는 것을 상담의 과제로 보고 있으며, 행동수정기법은 인간적 감정이 상담의 대상이 아니라 잘못 습득된 행동체계를 바꾸어 가는 것을 중요한 상담주제로 삼습니다. 정신분석기법은 어려서부터 습득된 잠재된 무의식적 성향을 의식적 과정을 통하여 변화하고자 하며, 인간중심기법은 개인의 자아개념의 변화를 중요한 상담의 내용으로 여깁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문제의 변화과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현실치료’ 부분을 가져왔습니다. 이제 여러번에 걸쳐서 연습을 하셨기 때문에 내용도 읽어내고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물론 2005 이전 출제에서는 <보기>의 상황을 주고 ‘현실치료’ 기법이라는 유형 찾기의 문제가 주류를 이루었었습니다. 그러다가 2005 중등 출제처럼 ‘현실치료’ 기법의 주요 개념체계를 묻는 형식으로 바뀌게 된 것입니다. 그 다음 2006 중등 출제 형태로 가면 이제 현실 치료 기법의 주요 단계를 제시하고 그 단계를 통해 현실치료 기법이라는 유형을 찾도록 하는 형태로 문제가 진화하였습니다. 그 후, 문제의 질적 체계가 갑자기 2009 유초등 출제에서 상승합니다. 즉, 표면적인 개념이나 상담기법을 묻는 것이 아니라 현실치료 요법의 정확한 이론체계를 제시하고 그것의 옳고 그름을 답지를 통해 변별하게 합니다. 쉽게 말해 미시적으로 출제하며 어려운 내용과 형식으로 변화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도 잠시 2010 유초등 출제로 가면 이제 여러 이론체계를 혼합하여 놓고 주어진 상황을 이론체계 별로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가설체계 중 옳은 것을 찾는 문제로 다시 한 번 진화하게 됩니다. 즉, 이제 임용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이론체계 간의 차이를 실제 상황에 비추어 거시적으로 분류하고 분석할 줄 알아야 하며, 나아가 각각의 이론 유형의 기본적인 가정과 실제적 상황과의 관련성을 깊은 미시적 이해 체계를 통해 알아야 할 것입니다. 우리의 학습과제가 점점 깊어지고 넓어지고 있는 느낌입니다만 실제로 이 정도 쯤 되어야 진정성을 가지고 공부한 사람이 교사가 될 수 있는 평등한 시험 구조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니, 열심히 공부하고 계신 여러분!! 오히려 잘 되었다는 마음으로 지금처럼 꾸준히 노력하시면 ‘진실로 진실로’ 성공의 열매를 얻으실 수 있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9. 교육공학


● 유․초등

2011

2010

2009

2008

2007

․통신모형 : 쉐논과 쉬람

 

․멀티미디어 수업 설계 : 화면설계 원리

․웹퀘스트 수업

․교수매체 연구 동향

․수업설계 모형 : 딕과 캐리모형(평가도구개발), ADDIE 모형

․교수매체 활용 모형 : ASSURE 모형

․하이퍼미디어 수업의 단점 : 인지적 과부하

․시각정보유형 : 유추적 정보

․컴퓨터 기반 학습 환경 : 디지텔 게임 기반 학습

● 중등

2011

2010

2009

2008

2007

․딕과 케리 : ADDIE 모형

․멀티미디어 활용 : 스토리보드

․매체연구 : 비교연구, 속성연구

․체제적 교수 설계 : 요구분석

․수업설계 모형 : 딕과 캐리 모형(학습과제 분석)

․교수매체 연구 동향

․교육공학의 영역 및 정의

․교수매체 활용 모형 : ASSURE 모형

․WBI의 유형 : 블랜디드 학습

․수업설계 모형 : 딕과 캐리모형(형성평가 및 요구분석)

․교수매체 연구 동향


교육공학 영역은 크게 두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즉, 하나는 수업설계론이고 다른 하나는 매체론입니다. 우선 수업설계론은 ⑴ 체제적 수업설계(특징, 요구분석), ⑵ ADDIE 모형 설계, ⑶ Dick & Carey 모형 설계(특징, 학습과제분석, 요구분석, 평가도구 개발), ⑷ 멀티미디어 수업 설계 및 코스웨어 설계의 특징(스토리보드), 그리고 ⑸ 교육공학의 영역 및 정의 등으로 출제된 부분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매체론은 ⑴ 컴퓨터 보조수업(CAI), ⑵ 전자수행지원체제(EPSS), ⑶ 멀티미디어 및 하이퍼미디어 (특징, 인지적 과부하, 방향감 상실), ⑷ WBI(Web Based Instruction/ WebQuest) 및 블랜디드 학습(Blended Learning)의 의미와 특징 ⑸ 화면설계 원리 및 시각 정보 유형(유추적 정보), ⑹ 매체 활용 모형(ASSURE), ⑺ 교수매체 연구 동향 등으로 출제된 부분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즉, 교육공학 영역은 교수학습 이론의 실제적 영역으로 교육 방법론적 성격이 강한 부분입니다. 과거에는 주로 아날로그 매체에 기초하여 출제 되었었다면 요즘에는 디지털 매체를 바탕으로 하여 객관주의적 수업에 사용되는 방법도 중요하지만 나아가 구성주의적 수업에서 어떻게 매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맞추어 교수매체에 관한 관심과 연구의 동향도 주요 시험 포인트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입니다. 더불어 교수설계는 교육공학이 교수공학으로 발전하게 된 결정적 계기를 불러온 체제적 수업설계를 기반으로 하여 실제로 교수설계에 사용되는 구체적인 설계 모형을 출제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를 준비하는 우리도 두 가지의 영역으로 나누어 체계성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최근의 경향에 맞추어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설계 모형은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교수방법론에 터한 매체 활용의 유형과 모형 및 특성 등은 무엇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그럼 매체론에 관련된 구체적인 문제를 다루어 보면서 문제에서 묻고 있는 출제의 심화정도는 어느 정도로 발전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2006 유초등 출제

<보기>와 같은 특성을 지닌 교수매체는?

 

<보기>

 

 

 

 

․사용범위가 넓고 제시물을 원색 그대로 나타내준다.

․그림, 사진, 실물을 따로 가공하지 않고 투영할 수 있다.

․하나 밖에 없거나 작아서 여러 사람이 보기 힘든 자료를 확대 투영하여 많은 학습자에게 동시에 보여줄 수 있다.

 

 

① OHP                 ② 슬라이드

③ 실물화상기           ④ 컴퓨터ㅓ


☞ 실물화상기는 투사매체로서 원자료를 가공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지닌 매체입니다.



- 2007 중등 출제

교수매체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다음 중 ‘매체비교연구’에 대한 진술로 옳은 것은?

① 인지주의 패러다임의 영향을 받아서 시작된 연구이다.

② 상이한 매체 유형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한다.

③ 교수매체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가치, 신념 등의 정의적 특성 변인들이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한다.

④ 매체가 지닌 속성 자체가 학습자의 인지적 기능을 증진시켜서 학습 효과를 높일 것이라는 가정을 증명하고자 한다.


☞ 교수매체의 연구 동향과 유형은 다음과 같이 네가지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우선 매체비교연구 패러다임으로 이는 행동주의적 접근의 일환입니다. 다음으로 매체속성연구 패러다임은 인지주의적 접근을 추구하는 유형입니다. 세 번째 매체선호연구는 매체활용에 관한 사용자의 태도를 고려하는 접근이며 마지막 매체비용효과연구는 매체를 사용했을 때 투입비용과 효과와의 관계를 따지는 매체 활용의 경제적 성과에 관계된 것이라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2009 중등 출제

교육매체 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 교육매체 선호 연구에서는 매체 개발의 경제적 비용이 개발 콘텐츠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

㉡ 교육매체 속성 연구에서는 매체의 물리적 속성이 학습자의 인지적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

㉢ 교육매체 비교 연구에서는 새로운 매체의 사용으로 인한 흥미 유발 등의 신기성 효과(novelty effect)가 비교 결과에 섞여 들어갈 수 있다.

㉣ 교육매체 비교 연구에서는 흔히 새로운 매체가 효과적이라고 결론을 내리는데, 새로운 매체는 교수법의 변화도 수반하는 경우가 많이 매체 만의 효과를 가려내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① ㉠, ㉡               ② ㉠, ㉣

③ ㉡, ㉣               ④ ㉠, ㉢, ㉣

⑤ ㉡, ㉢, ㉣


☞ ㉠은 매체의 경제성 연구에 관련된 내용이며, ㉡은 인지주의적 입장에서 연구하는 매체 속성연구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그리고 ㉢과 ㉣은 매체 비교 연구의 한계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 2010 유초등 출제

다음은 교수매체의 효과성에 대한 두 학자의 주장이다. B학자의 주장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매체 활용 사례는?


① 시간절약을 위해 현장학습 대신 동영상 시청 후 토론수업을 진행하였다.

② 나팔꽃의 개화과정을 보여주기 위해 비디오의 시간압축 특성을 활용하였다.

③ 인쇄비를 절감하려고 한 학기 보충학습 자료를 CD매체에 저장하여 제공하였다.

④ 방과 후 학교 강사를 구하기 힘들어서 다른 학교의 방과 후 수업을 촬영하여 인터넷을 제공하였다.

⑤ 새로운 매체사용으로 인한 신기효과(novelty effect)를 얻기 위해 수업에 컴퓨터를 사용하였다.


☞ 보기의 A학자는 매체 자체는 학습자들의 인지적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보는 입장으로 인지주의적 패러다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입니다. 그러나, B학자는 전달하는 매체가 내용 즉 학습에 영향을 준다는 입장으로 교육매체의 속성에 대해서 인정하는 인지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것은 고정성, 확충성, 반복성, 조작성 등 매체의 특성에 변화를 주었을 때 학습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개념입니다.



이 원고에서 매체론에 관련된 문제는 4문제를 제시했습니다만 실제로 2006 이전에 출제된 문제의 경우 아날로그 매체의 특성에 관한 내용을 묻는 시험 문제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 마지막 주자가 바로 2006 유초등 출제 문제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즉, 이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교수매체에 관한 문제는 주로 이렇게 특정 매체의 특성을 제시하고 그 특성에 관계된 매체의 유형을 찾는 문제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수험생 분들은 주로 여러 가지 매체의 장점과 단점을 비롯하여 매체의 특성을 암기하는 형태의 학습을 해 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2007년에 들어서자 이제 매체론에 관한 문제에서 패러다임의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이제 매체에 관계된 교육공학적 연구 동향이 출제되기 시작한 것입니다. 우선 2007 중등 출제를 통해서 그 전체적인 내용 구성요소를 시험문제에 출제하므로써 교수매체 연구동향의 접근 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4개의 접근 영역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2009 중등 출제를 통해 단순히 이 교수매체 연구 동향의 접근별 특징을 출제하는 차원을 넘어서 각 접근의 한계점과 주의점까지 파악해야 답을 할 수 있는 부분까지 심화하여 출제하였습니다. 나아가 2010 유초등 출제는 요즘 출제 경향을 잘 보여주는 문제 출제의 백미(白眉)라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내용을 통하여 특정 접근 유형을 찾도록 한 후 5개의 답지 중에 이 문제가 요구하는 특정한 접근 형태를 실제로 교수학습 상황에서 구현하는 예를 적절하게 해석한 것을 찾도록 하는 문제를 제시한 것입니다. 전문가의 입장에서 볼 때 문제가 ‘아름답다’라고 할 만큼 잘 출제한 것이었습니다. 무작정 어려운 것도 또 누구나 맞출 수 있도록 내는 것도 아니라 공부한 사람이 생각하고 고민하였을 때 정답에 가까이 갈 수 있도록 출제한 문제였으며 나아가 이전의 문제 영역에서 ‘계열성’을 살린 훌륭한 문제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와 같은 형태의 문제에 주목하며 나아가 이 정도까지 우리의 인식수준을 높여 된다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8. 교수학습


● 유․초등

2011

2010

2009

2008

2007

․구성주의 : 문제중심학습

․구성주의 : 인지적도제 - 상보적학습

․학습양식이론

․수업도입전략 : 네러티브관점

․웹기반학습 : 인지적 유연성, 자기조절학

․학습유형 : 콜브

․교수설계모형 : 딕과 케리

․교수이론 : 비교 - 라이겔루스, 켈러, 메릴

․로젠샤인 : 수업 효과 연구 흐름

․가네 : 학습조건이론 - 학습결과

․켈러 : ARCS 이론

․구성주의 : 유형, 특성, PQ4R

․부르너 : 교수이론 - 처방적 성격

․던킨과 비들 : 교수이론  - 수업요소변인

․메릴 : 내용요소제시이론

․오수벨 : 유의미학습 - 포섭

․협동학습 : 마이크로티칭

․가네 : 학습조건이론 - 학습결과

․구성주의 : 정착학습, 인지적 도제 이론, 문제중심학습, 인지적 유연성 이론

● 중등

2011

2010

2009

2008

2007

․협동학습 : 버즈토의, STAD, 직소

․자원기반학습 : Big 6 Skill

․가네 : 교수학습이론

․켈러 : 학습동기설계이론

․발문전략

․개별화수업 : 켈러 플랜

․구성주의 : 상호교수이론, 구성주의 유형

․오수벨 : 선행조직자

․협동학습 : 자율적 협동학습

․가네 : 학습조건이론 - 학습과제 분석 방법

․발문전략

․개별화수업 : 켈러 플랜

․가네 : 수업의 과정

․라이겔루스 : 개념적 정교화

․구성주의 : 객관주의와의 비교, 인지적 유연성이론, 인지적 도제 이론

․가네 : 학습조건 이론 - 개념학습, 수업사태

․메릴 : 내용요소 제시이론

․협동학습 : 직소

․구성주의 : 문제기반학습, 상호교수이론, 조나센의 설계방식

․가네 : 학습조건이론 - 학습결과

․켈러 : 동기설계이론

․토의학습 : 포럼

협동학습 : STAD

․구성주의 : 상황학습


교수-학습 이론은 앞에서 살펴본 교육심리이론을 바탕으로 교육공학으로 표현되는 교육방법론의 이론적 기초를 형성하는 분야입니다. 위에 제시해 드린 표를 통해서 보시듯 이 영역은 다음과 같이 크게 4가지의 영역으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 ⑴ 교수의 성격 - 부르너의 교수이론, 던킨과 비들의 수업 구성 요소, 로젠샤인의 수업 효과 연구 흐름, ⑵ 객관주의 교수이론 : 가네의 학습조건 이론(학습결과, 수업사태, 과제분석), 메릴의 내용요소 제시이론, 라이겔루스의 교수이론(정교화이론, 개념학습), 켈러의 교수이론(동기설계, ARCS), 오수벨의 유의미 학습(포섭, 선행조직자), ⑶ 구성주의 교수이론 : 구성주의의 관점 및 객관주의와의 비교, 조나센의 교수설계 이론, 구성주의의 유형(문제기반학습, 인지적 도제이론, 상황학습이론, 정황학습이론, 인지적 유연성이론, 상보적 교수이론), 자기주도적 학습 이론, PQ4R, ⑷ 수업의 실제 : 개별화 수업(적성처치 상호작용, 켈러플랜), 발문전략, 협동학습(직소, STAD, Coop-Coop, 각본협동, 마이크로티칭), 토의학습(포럼).

제시해 드린 바와 같이 이 영역도 정리를 하고 보니 실제 시험 문제에서 다루어지는 영역이 정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늘 시험이 그렇듯이 출제자들은 이와 같은 영역에서 출제를 하기를 하지만 이를 ‘어떻게’ 출제하느냐에 따라서 우리가 대하고 풀어내기에 ‘죽도록 어려운’ 문제도 될 수 있고, 때로는 정답을 위해 ‘짜증날 정도’로 오답의 지뢰를 벗어나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나아가 요즘 출제자 분들이 약속이나 한 듯이 하나의 문제 안에서 기존의 기출문제를 바탕으로 하여 왠만한 수험생이면 ‘아는’ 내용의 문제도 내지만 이와 관련하여 수험생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내용도 포함하여 출제하고 있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그에 관한 내용적 근거로 교수-학습 영역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가네의 학습 조건이론’과 관련된 문제를 이제 제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2006 중등 출제

가네(R. Gagne)의 수업모형에서 <보기>에 해당하는 수업사태는?

 

<보기>

 

 

 

 

․학습내용의 적용 예를 설명한다.

․학습내용의 핵심 요소를 설명한다.

․학습내용과 관련된 영상자료를 보여준다.

 

 

① 주의 집중            ② 수행 유도

③ 피드백 제공          ④ 자극자료의 제시


☞ 자극 자료의 제시는 수업의 본시 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수업 시간에 목표 달성을 위해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해 주는 것입니다. 이때 학습자들의 선택적 지각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2007 유초등 출제

<보기>의 내용과 모두 관계된 가네(R. Gagne)의 학습된 능력의 영역은?

 

<보기>

 

 

 

 

․학습이나 사고에 대한 통제 및 관리 능력이다.

․다양한 상황에서의 문제해결 경험을 통해 개발된다.

․비교적 오랜 시간에 걸쳐 습득되는 창조적 능력이다.

 

 

① 태도                 ② 지적 기술

③ 인지 전략            ④ 언어적 정보


☞ 인지전략이란 사고과정에 대한 통제능력 및 관리 전략을 일컫는 개념으로 비교적 오랜 시간에 걸쳐 활용되고 연습되어야 습득되는 능력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 2007 중등 출제

가네(R. Gagne)가 제시한 인간의 학습된 능력(학습결과 : learning outcomes)과 그에 해당하는 사례가 적절하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① 언어정보 - 중학생인 영훈이는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을 회상하여 진술할 수 있다.

② 지적기능 - 초등학생인 민아는 부모님에 대한 고마움을 적절한 비유법에 맞게 글로 표현할 수 있다.

③ 태도 - 고등학생인 혜진이는 가족 나들이 중 차안에서 가족 모두 참여할 수 있는 게임을 창안해 낼 수 있다.

④ 운동기능 - 학령 전 아동인 윤아는 연필을 사용하여 낱글자 쓰기를 포함하여 특정한 종류의 그리기를 할 수 있다.


☞ 가네의 학습결과의 유형 중 ‘태도’는 일정한 상황에서 일관된 행동을 선택하는 양상과 관계있으며, ‘인지전략’은 인간의 지적 능력 중 창조적 능력과 관계가 깊습니다.


- 2008 중등 출제a

개념학습(concept learn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개념학습에서 개념은 명칭, 규칙, 속성, 사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② 특정 사물이나 사건, 상징적 대상의 공통적 속성을 학습하는 것이다.

③ 단순한 사실의 기억보다는 이해력과 고차적 사고능력의 향상을 추구한다.

④ 일반적으로 희귀사례, 반증사례, 전형적 사례의 순서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가네의 지적 기능 중 위계상 변별학습의 위계보다 상위하는 개념학습의 방법에 대해서는 라이겔루스가 제시하는 개념학습의 순서와 방법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해하자면 개념학습은 전형적 사례 → 반증사례 → 희귀사례 등으로 제시하여 인지구조를 정교화하도록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2008 중등 출제b

가네(R. Gagne)의 수업사태(event of instruction)에 관한 진술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학습자의 내적 학습과정을 지원하는 일련의 외적 교수활동이다.

② 교실수업을 계획할 때 수업사태의 순서를 변경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③ ‘학습 안내 제공’ 단계에서는 학습을 위한 적절한 자극 자료를 제시하고, 교재나 보조 자료의 구성과 활용방법을 안내한다.

④ ‘파지와 전이 촉진’ 단계에서는 학습자에게 다양한 종류의 새로운 과제를 제시하여 학습의 전이가 잘 일어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가네의 학습조건이론의 한 부분인 수업사태 중 ‘학습 안내의 제공’ 단계는 학습할 과제의 모든 요소들을 통합시킬 때 필요한 방법을 제시하는 단계라 할 수 있습니다.



- 2009 유초등 출제

가네(R. Gagne)가 제시한 인간의 학습된 능력(learning outcomes) 중 지적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지적기능은 개인의 학습, 기억, 사고 행동을 통제한다.

② ‘말로 진술된 문제를 거꾸로 재배열하기’는 지적기능의 수행사례이다.

③ 지적 기능으로 분류된 학습목표의 하위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군집분석을 한다.

④ 지적 기능은 학습자가 언어, 숫자 등 상징을 이용하여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능력이다.

⑤ 선언적 지식(declarative knowledge), 혹은 ‘~에 관한 지식(knowing that)’은 지적 기능에 해당한다.


☞ 가네의 학습결과는 학습 과제와 같은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이때 언어정보는 군집분석을, 지적 기능은 위계 분석을, 운동기능은 절차 분석을 실시하며, 인지전략이나 태도는 그 학습과제의 특성상 복합적 분석을 실시하게 됩니다. 참고로 1번과 2번 답지는 인지전략을 5번답지는 언어정보에 관계된 내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 2009 중등 출제

다음 가네(R. Gagne)의 9단계 수업사태에서 ㉠~㉤에 해당하는 교사의 수업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학습목표 제시

자극 제시

수행 유도

수행 평가

  단계          교사의 수업활동

① ㉠ 학생들이 내용의 핵심을 선택적으로 지각하여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② ㉡ 학생들이 유의미한 지식구조를 구축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필요한 기법을 활용하였다.

③ ㉢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단기기억에 저장하도록 다양한 흥미 유발 기법을 활용하였다.

④ ㉣ 성공적 수행에 대해서는 강화를 제공하고, 잘못된 수행은 교정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였다.

⑤ ㉤ 학생들이 선수학습 점검 질문에 답을 못할 경우, 다시 가르치기보다는 일단 새로운 학습을 진행하였다.


☞ 가네의 수업사태를 순서대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주의집중 - 학습목표 제시 - 선수학습요소의 재생 - 자극 제시 - 학습안내의 제공 - 수행의 유도 - 피드백 - 수행 평가 - 일반화. 이와 관련하여 1번답지는 자극자료의 제공과 2번답지는 학습안내의 제공과 3번답지는 수행의 유도와 관련이 깊으며 5번답지는 선수학습요소의 재생과 관련이 깊은 내용입니다.



- 2010 중등 출제

가네(R. Gagne)가 학습결과 중의 하나로 분류한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한 수업을 딕(W. Dick)과 캐리(L. Carey)으 체제적 교수설계 모형에 따라 설계하고자 한다. <보기>에서 옳은 것을 고른 것은?(단, 학습과제는 구조화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보기>

 

 

 

 

ㄱ. 학습목표는 ‘문제해결에 필요한 원리와 법칙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로 설정한다.

ㄴ. 문제해결력을 육성하는 학습목표에 관한 교수분석은 문제해결력에서부터 시작하여 하향식 위계분석을 실시한다.

ㄷ. 교수분석과정에서 출발점 행동을 설정하기 위해 해당 학생들이 이수한 교육과정 분석과 학생 관찰 결과를 활용한다.

ㄹ. 문제해결력 학습에 필요한 하위능력은 구체적 개념, 정의된 개념, 변별력, 원리와 법칙의 순서로 가르친다.

ㅁ. 학습목표에 기술된 조건과 성취행동(또는 수행)에 부합하는 연습기회와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① ㄱ, ㄷ, ㄹ            ② ㄱ, ㄷ, ㅁ

③ ㄴ, ㄷ, ㄹ            ④ ㄴ, ㄷ, ㅁ

⑤ ㄴ, ㄹ, ㅁ


☞ 가네가 제시하는 학습의 위계는 다음과 하향식으로 제시될 수 있습니다. 즉, 문제해결학습-원리학습-개념학습-중다변별학습-언어연합학습-연쇄학습-자극반응학습-신호학습 이 그것입니다. 이렇듯 학습결과 중 특히 지적 기능에 관련된 학습과제는 위계분석을 실시합니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선수학습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여 교수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 되는 것입니다. 나아가 수업사태의 과정을 생각해 보면 수행의 유도-피드백-수행의 평가 등의 연습의 기회를 가져야 고차원의 인지적 능력등은 성취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각각의 문제에 대해서 우선 간략을 해설을 달아 드렸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간략한 해설에 머물러서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분석이라 할 수 없겠지요. 그냥 훑어 보는 수준의 공부가 되고 마는 것입니다. 이제 좀 더 날카로운 시선으로 이 문제들을 살펴보도록 합니다. 보시면 가네의 학습조건이론은 크게 두가지의 축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학습결과 유형에 관련된 문제들입니다. 이는 2006 중등 출제, 2007 유초등출제, 2007 중등 출제, 2008 중등 출제a, 2009 유초등 출제, 2010 중등 출제 등으로 맥락을 이어오고 있음을 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약 5년의 과정에서도 사실 문제의 수준은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2006 중등 출제와 2007 유초등 출제의 경우만 보면 <보기>를 주고 그 보기의 내용이 학습의 결과 유형 즉, 언어정보, 지적기능, 인지전략, 운동기능, 태도 중 어느 유형과 관련된 설명인지를 찾는 형태의 문제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학문적 내용을 이론적으로 물어보는 유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후 1차적 변화를 가져오는데 이는 2007 중등 문제에서 나타납니다. 2007 중등 문제를 보시면 물론 학습결과 유형을 제시하는 내용이기는 하지만 결정적인 것은 학문적 내용 안에서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교육상황을 주고 그 교육상황 안에서 각각의 학습결과 유형 중 교육실제가 어느 것과 관련이 있는지를 찾아보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한편, 2008 중등a에서는 2차적 변화가 나타납니다. 내용을 보면 가네의 학습결과 중 지적기능의 위계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개념학습의 내용을 묻고 있는 듯 보이는데 사실 이 문제는 가네에 관련된 내용만 묻고 있는 것이 아니라 가네와 관계된 라이겔루스의 미시적 교수설계 즉 개념학습에 관한 것까지 통합적으로 묻고 있는 문제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상당히 진보된 형태의 문제이지만 문제 안에서 문해력으로 풀이해 나가면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그러자 한 번 더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구체적인 증거를 2009 유초등 출제에서 만나볼 수 있게 됩니다. 여기에서는 다시 문제가 회귀하여 아주 미시적이고 세세한 부분까지 출제의 내용을 심화하고 있습니다. 즉, 지적 기능의 역할, 사례, 과제분석방법, 개념, 관련 지식 유형등을 하나의 문제안에서 묻고 있습니다. 살펴보시는 바와 같이 문제는 이와 같이 거시적으로 출제되었다가 실제론으로 물었다가 다시 미시적 관점을 도입하여 학문적 내용의 구체적 의미를 정리하고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 이론간의 통합적 관점을 제시하는 문제가 바로 2010 중등 출제 문제인 것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아예 가네의 과제분석을 딕과 캐리의 수업설계와 관련지어 교육의 실제적 측면에서 교사가 해야할 역할을 제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더불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제 가네 이론의 두 번재 축인 수업사태의 내용도 알아야 정확하게 답을 찾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동기를 가지고 가네 이론의 두 번째 내용체계인 수업사태에 관련된 문제가 어떻게 출제되었는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와 관련된 것은 물론 학습결과 유형에 비해서는 그리 많은 예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즉, 2008 중등 출제b, 2009 중등 출제 정도가 그 출제의 사례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자세히 보시면 최근에 출제된 양식인 만큼 답을 찾아 가는 과정이 그리 쉬운 것은 아닙니다. 즉, 2008 중등 출제b의 경우도 수업사태의 의미, 특징, 교육활동에서의 실제, 단계별 사례등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나아가 2009 중등 출제 부분에서는 형식을 변형하여 시험문제를 풀이하는 학생들로 하여금 9가지의 단계를 모두 알고 있는지 그리고 그 단계별로 내용과 실제 교수 활동 시 유의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 지를 구체적으로 묻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많은 수업생 분들이 이 교수학습 영역은 할게 많다고 말씀하십니다. 그런데 따지고 보면 어느 영역하나 소홀히 할 수 있는 영역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더구나, 최근처럼 교직교육학적 성격이 깊어지기 시작하면서 우리는 교수학습에 관련된 내용과 이론체계를 실제와 관련지어 이해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어느 하나의 이론이라도 ‘터부시’하지 말고 최선을 다해서 나의 것으로 만들려고 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합니다. 다음 호에 뵙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7. 교육심리


● 유․초등

2011

2010

2009

2008

2007

․인성발달이론 - 에릭슨

․지능 - 플린효과, 스턴버그, 카텔, 가드너

․정보처리전략 : 정교화

․학습동기 이론 :자기결정성이론

․행동주의 - 과제분석, 강화와 처벌, 응용행동분석

․인지양식 - 장독립, 장의존 : 잠입도형검사

․인지발달 - 피아제의 구체적 조작기

․동기이론 - 기대가치이론, 자기결정성 이론, 목표지향성 이론

․지능이론 - 가드너, 카텔

․인지발달 - 피아제의 전조작기

․행동주의 - 고전적 조건형성

․인지적 정보처리 - 메타인지

․심리이론 - 피그말리온 효과, 자이가닉 효과

․지능이론 - 스턴버그

․창의성 개발 - PMI

․인지발달 - 비고츠키

․동기이론 - 목표유형

․인지적 정보처리 - 버틀러의 정보처리 방식

․전이 - 일반화설

․지능이론 - 가드너

․인지양식

․도덕성 이론 - 콜버그

․인지적 정보처리 - 선택적 주의, 상위인지

․인지주의 - 톨만의 기호형태설

● 중등

2011

2010

2009

2008

2007

․능력심리학 : 형식도야설

․행동주의 : 강화

․지능이론 : 스피어만, 가드너, 카텔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

․동기이론 : 기대-가치이론, 자기결정성 내적동기,. 자기효능감

․욕구이론 : 로우

․상담이론 : 게쉬탈트

․상담기법 : 행동시연, 체계적 둔감법, 논박하기

․인지발달 - 피아제의 형식적 조작기

․청소년 발달 - 심리발달 이론

․인지주의 - 도식이론

․지능이론 - 가드너와 스턴버그

․심리검사-K-WISC, TAT, MMPI

․마르시아- 정체성 유형 해석

․행동주의 - 행동조형

․인지적 정보처리 - 인지전략, 초인지전략

․전이 - 형식도야, 일반화설, 형태이조설

․인지발달 - 피아제의 평형화

․인지적 행동주의 - 반두라의 관찰학습

․인지적 정보처리 - 지식의 유형

․지능이론 - 스턴버그

지능검사- K-WISC

․인지발달 - 피아제의 전조작기, 피아제와 비고츠키 비교

․성격발달 - 프로이드와 에릭슨 비교

․인지적 정보처리 - 장기기억

․인지적 행동주의 - 반두라의 관찰학습 과정


이제 교육학 분야의 실무적 부분으로 접어들게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하나의 중요한 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이 ‘교육심리학’ 영역은 그 자체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만 나아가 교수학습과 교육공학, 생활지도와 상담 영역에 까지 그 이론적 영향을 발휘하는 아주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이 ‘교육심리학’ 영역이 나타내 보이고 있는 하위 내용을 확인해 드리도록 해 드리겠습니다.

‘교육심리학’ 영역은 『⑴ 지능과 창의성 : 지능이론(카텔, 가드너, 스턴버그), 지능검사 및 심리검사(WISC, TAT, HTP, MBTI, MMPI), 창의성 신장기법(육색사고모자기법, PMI, CPS, IDEAL) ⑵ 인지발달과 인지양식 : 피아제, 비고츠키, 장의존 및 장독립형 ⑶ 정서 및 성격발달 : 프로이드, 에릭슨, 마르시아, 청소년 발달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⑷ 학습이론1 - 행동주의 : 고전적 조건화(자극통제), 조작적 조건화(강화와 처벌, 행동조형법), 과제분석, 응용행동분석,  ⑸ 학습이론2 - 인지주의 : 도식이론, 기호형태설, 인지적 정보처리(감각기억, 작동기억, 부호화의 특수성, 장기기억, 메타인지, 지식의 종류, ⑹ 학습이론3 - 인지적 행동주의 : 관찰학습의 의미와 과정 ⑺ 학습이론 4 - 동기이론 : 기대가치이론, 자기결정성 이론, 목표지향성 이론, 귀인이론 ⑻ 기타 - 전이이론, 청소년 심리이론(피그말리온 효과, 조망수용이론, 자이가닉 효과』로 출제 영역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워낙에 출제되는 내용이 다양하여 위와 같이 체계를 잡지 않고 공부할 경우 단순한 암기에 치중하게 되어 높은 성적을 받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는 것이 교육심리학 영역입니다. 그러나, 방금 밝혀 드렸듯이 이처럼 조직화 해 놓고 보면 공부해야 할 부분이 보이므로 이 인지적 구조에 기초하여 하나하나 정복하고 공부해 나간다면 나중에 좀 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을 공부한다 할지라도 좀 더 정확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공부의 방법을 이와 같이 내용을 점검하고 구조화하는 것을 채택해 나갈 때 임용의 합격에 한발짝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된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그럼 구체적으로 이 영역의 문제의 변천의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2005 유초등 출제

<보기>의 대화 내용에 근거할 때, 진수의 인지발달 단계는?

 

<보기>

 

 

 

 

교사 : 진수야, 그림 속에는 장미꽃이 몇 송이나 있지?

진수 : 여덟 송이요.

교사 : 국화꽃은 몇 송이지?

진수 : 다섯 송이요.

교사 : 장미꽃과 국화꽃 중에서 어느 것이 더 많을까?

진수 : 장미꽃이요.

교사 : 그러면 장미꽃이 많을까, 꽃이 많을까?

진수 : 장미꽃이요.

교사 : 왜 그렇게 생각하지?

진수 : 그냥 그래요.

 

 

① 감각 운동기          ② 전 조작기

③ 구체적 조작기        ④ 형식적 조작기



- 2005 중등 출제

다음은 피아제(J. Piaget) 이론의 인지발달 기제와 관련된 예화이다. ㉠, ㉡, ㉢에 해당되는 개념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도 식

조 절

동 화

조 절

동 화

도 식

동 화

비평형화

조 절

조 절

비평형화

동 화



- 2006 유초등 출제

다섯 살 된 아이가 동물원에 가서 처음으로 너구리를 보고 “강아지다!”라고 외쳤다. 이런 현상을 설명하기에 가장 적절한 개념은?

① 조절                 ② 동화

③ 조건화               ④ 자동화



- 2007 유초등 출제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 중 전조작기의 특징을 <보기>에서 고르면?

 

<보기>

 

 

 

 

가. 대상영속성이 나타난다.

나. 가설 연역적으로 추론한다.

다. 사고와 언어가 자기중심적이다.

라. 상징을 형성하고 사용하는 능력이 발달하기 시작한다.

 

 

① 가, 다               ② 나, 라

③ 가, 라               ④ 다, 라



- 2008 중등 출제

지적 발달과 학습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피아제(J. Piaget)의 평형화

② 부르너(J. S. Bruner)의 비계설정

③ 비고츠키(L. S. Vytgotsky)의 근접발달영역

④ 포에르스타인(R. Feuerstein)의 중재학습경험



- 2009 유초등 출제

다음 수업 상황에 나타난 아동의 발달 특징을 설명하는 이론과 그 관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콜버그(L. Kohlberg)의 도덕성발달 이론 - 인습적 발달 수준의 아동은 동료 아동들에게 동조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② 케이스(R. Case)의 신 피아제 이론 - 차원조작단계의 아동은 왼손 사용과 관련된 실행제어구조가 자동화되어 있다.

③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 전조작기의 자기중심성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아동은 다른 사람의 관점을 고려하지 못한다.

④ 에릭슨(E.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 ‘자율성 대 수치심’ 단계의 아동은 과제를 완수하는 데 필요한 운동기능과 자발성이 부족하다.

⑤ 프로이드(S. Freud)의 심리성적 발달 이론 - 어렸을 때 심리적으로 상처를 받은 아동은 학령기가 되면 반항심이 강해 어른들의 지시에 저항 한다.



- 2010 유초등 출제

영희의 행동특징을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에 기초하여 파악한 교사가 영희의 발달단계에 맞게 지도한 교수활동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① 교실과 교무실의 크기를 비교하게 한 후, 면적의 차이를 가르쳤다.

② 친척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은 가계도 그림 자료를 활용하여 설명하였다.

③ 오징어와 문어의 그림을 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해 보도록 하였다.

④ 감추기-찾기 놀이를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물건도 세상에 존재함을 알게 하였다.

⑤ 지도에 경계선을 그려가며 서울의 행정구역 단위인 구(區)와 동(洞)의 포함관계를 가르쳤다.


- 다음은 피아제(J. Piaget) 인지발달이론의 형식적 조작단계에서 나타나는 사고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이를 가장 잘 나타내는 개념은?

① 자동화(automatization)

② 탈중심화(decetration)

③ 명제적 사고(propositional thinking)

④ 반성적 추상화(reflective abstraction)

⑤ 가설연적 추론(hypothetic-deductive reasoning)




☞ 먼저 전반적인 문제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독자분들 중에 ‘피아제는 동화나 조절만 알면 되겠지!’ 혹은 ‘전조작기에서 다 나온 단다’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계신 분이 있으면 마음속 편견과 선입견을 먼저 버리셔야 한다는 이야기를 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스키마에 대해서 이야기한 학자는?’ 정도의 문제를 풀기에만 적합한 형태로 공부하고 계시다면 당장 짐싸서 설악산이나 지리산 깊은 계곡에 들어가 계곡물 깨고 온몸을 한 번 담그고 오는 야생 체험을 한 후 공부에 매진하시기를 강력히 권합니다. 이거 뭐 앉아서 이야기로 풀어내는 토크쇼도 그렇게 날로 먹지는 않습니다. 그러니, 마음 가짐을 철저한 ‘쌩고생 제일 주의’정도로 겸손한 마음을 갖고 지금부터 해 드리는 문제 분석에 임해 주셨으면 합니다.

물론 그 이전 문제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위에서 제시해 드린 2005년 문제부터 2007년 문제를 보시면 ‘1차원적’ 문제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문제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주로 전조작기의 특징에 대해서 물었던 2005 유초등 문제와 2007 유초등 문제의 내용을 보면 그야말로 개론서에 거의 제시되어 있는 대로 정도의 내용을 문제의 형식을 빌어 확인하는 것이 다였습니다. 그리고, 2005년 중등 문제와 2006 유초등 문제를 보면 동화와 조절 그리고 평형화와 비평형화 등과 관계된 피아제의 ‘스키마’ 개념을 알고 있으면 충분히 정리될 수 있는 문제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나마 2005년 중등 문제는 여러 개념을 상황속에서 점검해 볼 수 있는 문제였다면 2006년 유초등 문제는 거의 문제가 퇴보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말씀 드릴 수 있을 정도로 문제의 수준이 그다지 좋았다고 말씀드릴 수는 없겠습니다.

그런데, 문제에 반전이 일어나기 시작합니다. 우선 2008년도 중등 문제를 보시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물리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이 문제도 그리 어려운 문제가 아니겠구나’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는데 잘 보시면 이건 피아제에 관계된 문제의 패러다임이 바뀌었음을 알 수 있는 문제입니다. 문제가 동화나 조절, 혹은 인지발달 단계의 내용 점검 등으로 나온 것이 아니라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과 구성주의와의 관계성을 살펴보는 문제였던 것입니다. 즉, 구성주의의 유형은 보면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피아제가 영향을 준 것이 어느 쪽이냐에 관련된 문제라 말씀 드릴 수 있으며 나아가 비고츠키 이론과의 관계를 절묘하게 제시한 내용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러니, 그 다음해 부터는 긴장을 하지 않을 수 없지요.

그러자, 이번에는 또 한번 문제의 수준의 업그레이드(up-grade)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2009 유초등 출제 문제를 살펴보시도록 합니다. 이 문제를 보면 초등학교의 수업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일이고 피아제의 ‘중심화 개념’을 떠올리면 찾을 수 있는 내용입니다. 그러나,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는 어마어마한 것입니다. 이제 이런 유형의 문제가 나올 수 있구나라는 내용으로 심각하게 받아들이셔야 하는데요, 그것은 바로 주어진 상황에 대해서 여러 이론체계를 제시한 후 그 이론체계를 도입한 것이 적절한 설명이었느냐라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이제 피아제 문제를 피아제만 알아서 풀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즉, 이 문제처럼 다양한 이론가의 이론을 제시한 후 그 이론가의 내용을 가져와서 이 보기의 상황을 해석하는 것이 적절한 것이냐 아니냐의 관계까지도 파악해야 하는 내용인 것입니다.

그래도, 2009년까지는 시험 문제의 출제가 여전히 전조작기적 특성에 머무르고 있었다면 2010학년도 유초등 문제의 경우는 답은 전조작기의 내용으로 체크가 되지만 문제와 답을 제외한 나머지 답지의 경우는 구체적 조작기를 묻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고 2010학년도 중등 문제의 경우는 문제의 내용이 대상에 따라 형식적 조작기로 확대되었다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는데 더 중요한 사안은 이제 형식적 조작기 사고의 구체적인 특징을 찾아서 문제로 출제했다는 점입니다. 그러므로 이제 피아제에 관계된 문제는 상당히 다양한 방향으로 진전이 되고 있는 것이지요.

나아가, 2010학년도 유초등 문제를 다시 보십니다. 이 문제의 경우 학습자의 특징을 찾는 문제가 아니라 그 학습자의 특징에 비추어 적절하게 지도한 교수활동이 무엇인가를 확인해야 하는 내용입니다. 보기의 내용은 학생의 행동특성을 언급하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을 관찰한 교사가 이 학생에게 맞게 지도한 내용과 그렇지 않은 내용을 찾으라는 것으로 결국 보기의 내용이 원리나 원칙 및 개념에 의해 사물의 구분이 논리적인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것이 정답으로 제시된 답지를 제외하고 나머지 답지는 모두 구체적 조작기의 학생에게 교육할 때 교사가 고려할 수 있는 사항을 정리한 것이라 볼 수 있는바, 우리는 이제 공부의 방향을 학생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교육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까지 키워야 한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한편, 2010학년도 중등 문제의 경우 문제를 푸시는 분들이 대충 읽고 답을 하려고 할 때 마치 분장실의 강선생에서 안영미가 분하였던 캐릭터가 “정신차려 이것들아!”라고 외치는 문제라 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오답률이 많았던 문제였고 이제 자신이 알고 있는 것만 답하려 하지 말고 문제에 터해서 생각하여 답을 해야 하는 문제로 변한 것입니다. 많은 학생들이 형식적 조작기의 사고 특징으로만 알고 있던 가설연역적 추론이나 명제적 사고에 답을 하셨는데 중요한 것은 이제 그러한 종류의 풀이방법으로는 문제를 출제하는 사람들이 ‘거져 먹어라’라고 던져 주는 문제가 아닌 이상 정답을 할 수 없도록 문제를 구성한다는 점에 주의하셔야 할 듯 합니다.


이제 시대는 내용을 철저하게 정리하면 높은 점수를 받게 될 것이다라는 거짓 완벽주의에 현혹되면 결코 합격과는 거리가 멀어지는 시대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기존의 내용을 가지고 더 추가적인 내용이 충분히 나올 수 있으므로 이미 정리한 내용에 기초해 문제 적응력을 키워야 겠다는 생각을 해야 할 것이라고 이번 호를 마무리 지으면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다음 호에 뵙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