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 학습과제의 수업을 통해 학생이 성취해야 할 많은 구체적 수업목표 간의 계열적 순서

2. 여러 가지 수업목표 중 어떤 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꼭 선행해서 학습해야 할 목표가 있다면 그것은 하위적 목표가 되며 처음 목표는 상위 목표가 된다.

3. 이러한 방식으로 한 학습과제의 수업을 통해 달성하려는 수업목표간의 위계적 관계를 찾는다면 목표의 위계화가 된다.

4. 이는 가녜(R.M. Gagné)가 발전시킨 개념으로서, 학교학습을 정보 및 지식, 지적기능, 인지전략, 태도 및 가치관, 운동기능의 다섯 영역으로 분류하면서 이 중 지적기능 영역의 학습을 위해서는 엄격한 학습위계의 원리를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5. 목표의 위계화는 주로 지적 기능 학습에 한정되는 것이다. ⇨목표의 구조화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교수목표 진술에 있어서 막연성과 그 해석의 다양성을 없애고 수업과 평가에 구체적 지침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 하에서 제시된 교수목표 진술의 한 방법

2. 한 목표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누구나 동일하게 해석 할 수 있기 위해서는 목표진술에 있어서 다음 세 가지 조건, 도착점행동(到着點行動), 그 행동이 나타나는 조건의 명시, 수락의 기준이 명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⑴ 도착점 행동 : 학생이 학습 후에 학습의 결과로서 나타내는 행동을 말한다. 이러한 행동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찾는다」, 「비교한다」, 「지적한다」 등과 같이 구체적 행동을 나타내는 명시적 동사(明示的動詞)로 진술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⑵ 조건 : 그 행동이 나타나는 조건의 명시는 예를 들어 “2차 방정식을 푼다”라고 하는 경우에 2차 방정식을 도표에 의해서 푸는 것인지, 또는 근(根)의 공식을 이용한 것인지 등의 어떤 상태와 조건에서 그 행동이 나타나기를 바라느냐 하는 것이다

기준 : 수락의 기준은 성취수준을 말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달성했을 때 그 목표를 달성했다고 보느냐 하는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20개의 문제 중 15개를 푼다”, “17초 내에 100m를 달린다”하는 경우에 15개 또는 17초가 수락의 기준이 된다. 이 기준의 설정은 주관적이지만 일단 설정되었을 때는 명시적 기능을 갖게 된다.

3. 메이거의 목표진술 양식은 명료하고 너무나 많은 교수목표와 그간의 위계적인 관계를 알 수 없다는 점, 그리고 그것만 가르치고 그것만 평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그론룬드의 교수목표 진술방식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1919년 파커스트(H. Parkhurst)에 의하여 미국 메사츄세츠(Massachusetts)주의 달톤(Dalton)시에서 시행된 특수한 교육과정 조직 및 학습활동의 방안.

2. 이 방안은 어디까지나 개인차에 알맞은 교육과정의 조직 및 학습활동의 전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협동성의 함양도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 즉, 자유와 협동을 기본원리로 삼고 있으며, 학과는 이론적(academic)인 것과 실제적(practical, nonacademic)인 것으로 나누어진다. 각 학생에게는 「계약된 직업」(contract job)이라고 하는 과제가 1개월에 하나씩 주어진다. 이 과제는 약 20개의 단원(unit)으로 되어 있으며, 과제해결에 필요한 학습지침서(instructional sheets)도 있다.

3. 학생은 각자의 능력에 따라 개별적으로 과제를 해결하며 과제해결의 정도를 진도표에 기입하도록 되어 있다.

4. 교사는 학생과의 면담을 통하여 학습 진도를 조절하고 필요한 부분의 내용에 대한 평가를 한다.

5. 교실을 실험실(laboratory)이라고 부르며, 학생들은 자유롭게 학습계획을 세우고 이 계획에 따라 학습을 진행시킨다. 그러나 1개월 안에 끝마쳐야 할 일(job)을 끝마치기 전에는 다음 달의 일을 못하도록 되어 있다. 일을 완성함에 있어서 협동 및 집단작업이 특히 권장되고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교수목표들을 내용차원과 수행차원의 분류체계에 따라서 범주화하고, 각 목표유형들은 일차제시형과 이차제시형의 독특한 결합방식에 따라 미시적 교수처방을 해 주어야 한다는 메릴(Merill, M.D.)의 교수설계이론

2. 세 가지의 주요한 이론적 관점(즉, 행동주의적, 인지적, 인간주의적)에서 다루고 있는 학습과 교수에 관한 모든 지식을 통합하고 있으며, 인지적 영역만을 다루고 있고, 특히 인지적 영역 내에서도 미시적 수준(예컨대, 단일한 개념이나 원리와 같은 단일한 아이디어들을 가르치는 것과 관련된 교수의 국면)만을 다루고 있다.

3. 내용요소제시이론의 구성원리 : 수행-내용 분류체계, 제시형, 일관성

⑴ 수행-내용분류체계

① 내용의 유형을 사실, 개념, 절차, 원리 등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그 내용에 대한 기대되는 수행 수준을 기억하기, 활용하기, 발견하기의 세 가지로 교수목표를 분류한 것을 말한다.

② 하나의 목표는 개념을 기억하거나(예컨대, 정의를 암기하기), 혹은 하나의 개념을 활용하거나(예컨대, 어떤 내용에 관한 새로운 예를 분류하기), 혹은 하나의 개념을 발견하도록(예컨대, 어떤 현상을 범주화하기 위한 방법을 발견하기) 요구할 수 있다.

③ 이러한 분류는 가네(Gagné, R.)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분류와 매우 유사하다.

⑵ 제시형 : 일차제시형과 이차제시형

① 일차제시형 : 학습에 필요한 기본적이고 최소한의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말하고, 이것은 일반성과 사례, 설명식과 탐구식이라는 두 차원의 행렬표에 따라서 네 가지의 제시형태로 구성된다.

② 이차제시형 : 일차제시형의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정보의 제시방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맥락, 선수학습요소, 암기법, 의미정교화의 도움, 표상법, 피드백 등으로 구성된다.

⑶ 일관성

① 내용요소제시이론의 기본구성요소인 수행-내용분류체계와 제시형을 연결시켜 주는 것

② 여기에는 수행 차원과 일차제시형의 일관성 및 내용 차원과 일차제시형의 일관성이 포함된다.

4. 수준의 다양성 : 각각의 모형들(수행-내용 분류체계에 기초하여 처방되는 모형들)은 다양한 수준들(즉, 수업에서 제공되는 처방의 수준들)을 지니고 있다. 쉬운 목표를 위해서는 비교적 간단한 유형이 제시되는 반면, 학생들의 능력이나 경험과 관련된 비교적 어려운 목표들을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모형들의 다양한 유형이 활용될 수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무의미철자를 학습하는 것과 같이 이해는 못하지만 기계적인 반복을 통하여 암기하는 것

2. 기계적 암기라고도 함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선각자에 의한 대중의 감화

2. 목사·신부·승려 등 교인들이 교도들을 교육하는 일반적 방법이다.

3. 교수방법의 하나로서 주입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 수업모형

1. 복잡한 수업현상이나 사태를 특징적 사태를 중심으로 단순화시킨 형태

2. 수업모형은 수업현상을 보는 관점에 따라

⑴ 수업절차 모형

⑵ 학습조건 모형

⑶ 수업형태 모형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교사가 교육적 의도를 가지고 하는 일체의 활동

2. 교수에 포함되는 활동들을 성격상, 수업·훈련·조건화 등으로 구분하고, 그 중에서 교수의 핵심적인 의미에 가장 가까운 것은 「수업」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일제수업, 획일수업의 반대가 되는 형태로 개별화 원리에 따른 수업이다.

2. 예 : 개별처방식 수업, 프로그램수업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수업방법을 적용하는 것

2. 전통적으로는 1:1수업이나, 공교육체제에서는 다수 학생을 위한 수업에서도 개별화를 위한 수업방법이 개발됨

3. 방법

⑴ 일제교수와 개별교수를 병행하는 형태

⑵ 능력별 학급편성 형태

⑶ 능력별, 진도별 학급편성을 통한 교수의 개별화

⑷ 능력별로 편성하되 지망계통에 따라 목표수준을 달리함

⑸ 위네트카 플랜(Winnetka Plan)처럼 일제학급을 버리고 전통적 개별 교수하는 것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