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용어'에 해당되는 글 326건


1. 고려 국자감(國子監)의 칠재(七齋)의 하나

2. 예종 4(1109)년에 무신(武臣)을 양성하기 위하여 세운 것으로 「강예재」(講藝齋)라고도 불렀다.

3. 고려사(高麗史)에 의하면, 무학재의 정원은 17명이었으며 첫 입재자는 한자순(韓自純) 등 8인이었다.

4. 인조 11(1133)년 1월에 이 단과대학[齋]은 폐지되었는데 이는 문(文)을 숭상하고 무를 경시하는 당시의 상문경무(尙文輕武) 풍조 때문이었고, 이는 뒷날 무신의 난(亂)을 일으키는 원인(遠因)의 하나가 되었다. ⇨국자감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조선조 25대 철종 11(1860)년 수운(水雲) 최제우(崔際遇)가 서양에서 들어온 천주교 〔西學〕에 반대하여 우리 민족 고유의 사상을 가미하여 만든 신흥종교.

2. 최시형(崔時亨)이 2대 교주가 되어 비밀리에 교조의 유문(遺文) 《동경대전》(東經大典)《용담유사》 등을 간행하는 한편 교리를 체계화하고 교세를 확대시켰다. 그 후 동학란이 일어나 천도교(天道敎)와 시천교(侍天敎)로 분열되었으나, 3대 교주 손병희(孫秉熙)가 꾸준히 교리 정비와 교세 확장에 힘썼다. 이는 종래의 풍수사상(風水思想)과 유(儒)․불(佛)․선(仙)의 교리를 토대로 인내천(人乃天)․천심즉인심(天心卽人心)의 사상을 전개하는 것으로서, 동학이 제기하는 하느님은 우리민족이 아득한 옛날부터 믿어오던 것이다.

3. 인간의 존엄성을 하늘과 관련시켜서 생각해 오던 것이 동학에서는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대담한 주장을 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우리말 그대로의 하느님을 직접 신앙의 대상으로 내세운 종교는 동학이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이다.

4. 동학사상에 의하면 사람은 누구나 하느님을 모실 수 있다.

5. 최제우는 하느님을 모시는 올바른 태도로 성(誠)․경(敬)․신(信)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6. 동학이 실천 덕목으로 제기하는 성실․공경․신의도 결국은 인간존중의 사상, 인간 주체의 정신을 말한다. 그러므로 동학이 한국 사상에 있어서 차지하는 비중은 대단히 크며, 그 기본정신은 우리의 전통적인 모든 사상의 진수(眞髓)가 하나로 엉키어 이루어진 결정체라고 하겠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개화기의 관립(官立) 근대학교, 1882년 임오군란(壬午軍亂) 뒤 청국의 세력이 뻗치면서 독일사람 묄렌도르프(P.G. Mollendorf, 穆麟德)가 통리교섭 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의 협판(協辦 ; 次官) 겸 총세무사(總稅務司)로 부임하여 1883년 8월 통상아문의 부속기관으로 설립한 학교로서 일명 통변학교(通辯學校)로 불리었다.

2. 이 동문학은 젊고 총민한 어학생(語學生)들을 약 40명 뽑아 오전 오후반으로 나누어 영어와 일어 및 서양의 필산(筆算)을 가르쳤다.

3. 처음에는 중국인 오중현(吳仲賢)과 당소위(唐紹威)를 교사로 채용하였다가 뒤에 영국인 헬리팍스 (T.E. Halifax, 割甫)가 주무교사(主務敎師)로 있으면서 영어를 가르쳤다.

4. 청(淸)나라의 동문관(同文館)과 같은 개화 근대학교였으나 동문관이 서양문물 수용에 있어서 주도적 역할을 한 반면에 동문학 일종의 통역관 양성소였다. 한서(翰西) 남궁 억(南宮檍)은 이 학교를 최우등으로 졸업한 최초의 입학생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조선조 11대 중종(中宗) 때 군자정(軍資正)을 지낸 박세무(朴世茂)에 의하여 저술된 아동용 교과서

2. 전통적 교육에서는 동몽선습이 소학(小學) 다음으로 읽는 필독의 교재였다.

3. 내용 : 오륜(五倫)의 대의(大義)를 간결하게 서술하고[經], 중국과 한국의 역대 세계(世系)를 수록한 것[史]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우리 나라 최초의 유교지식에 의한 관리선발제도. 원성왕 4(788)년에 처음 실시되었다는 기록만 있을 뿐, 이후 어느 정도나 실시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2. 관리선발기준은 인재를 기르는 국학의 교육과정과 연결되어 있었다.

3. 구분 등급

⑴ 상(上) : 춘추좌전․예기․문선을 읽어 능히 그 뜻을 통하고 겸하여 논어․효경에 밝은 자

⑵ 중(中) : 곡례(曲禮)․논어․효경에 밝은 자

⑶ 하(下) : 곡례․효경을 읽은 자

⑷ 특별선발 : 오경(五經)․삼사(三史)․제자백가서(諸子百家書)를 겸하여 그 뜻을 통한 자

⑸ 벼슬 : 나마, 대나마 수여

4. 의의

⑴ 관리선발방법은 삼국통일 이전에 활 쏘는 능력에 따라 선발하는 궁전법(弓箭法)이나 인물평가에 의한 미인법(美人法)과 달리 서적에 대한 지식의 정도를 가지고 능력을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관리 선발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났음을 의미한다.

⑵ 독서삼품과는 전통적인 화랑제나 이에 따른 추천방식의 관리 선발에서 유교적 교육기관인 국학과 연결된 새로운 관리선발 방식이었다.

⑶ 이러한 변화는 삼국 통일기에 무(武)에 대한 능력이 중요한 선발기준이었던 데에 반하여, 삼국통일 이후에는 경학과 실제적 행정능력을 갖춘 새로운 모습의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5. 한계 : 여기에는 중국의 국자감 및 과거제의 영향이 일정하게 작용하였겠지만, 신라의 독특한 상황 때문에 그대로 시행되지는 못하였고, 아직 골품제의 제한은 강하게 남아 있었다. 그리고 보다 완전한 의미에서 유교적인 소양을 기준으로 관리를 임용하는 제도는 고려 광종 9(958)년에 과거제를 실시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이조시대 양촌 권근이 《소학》의 교육적 의의를 중시하고 이를 모든 학생들의 필수선수과목으로 이수케 할 것을 규정하도록 태종에게 지어 올린 글

2. “소학은 인륜에 긴요한 책이므로 이제부터 경외 학도들로 하여금 이 책을 먼저 읽게 한 다음에 다른 경서를 읽도록 허락하며 생원시에 나아갈 때나 태학에 입학하려는 유생에게는 성균관 정록에게 명하여 소학을 먼저 부과하여 이의 통과 여부에 따라 과거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영구히 항식으로 삼자“고 하였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