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과과정․병렬과정(竝列課程)에서와 같이 교과의 선(subject matter line)에 의하여 고립된 교과 사이를 연결해 교과교육 과정의 분과주의를 타파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한 형태

2. 모든 교과의 상호 관계를 모두 관련짓지는 못하나 두 개 이상의 과목이 과목 자체의 교과의 선을 유지하면서 서로 관련지어져 있는 것인데 이들 교과간의 관련으로는 다음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⑴ 유사(類似) 교과간의 관련 : 지리와 역사 등 유사한 교과목간의 관련방식

⑵ 이질 교과간의 관련 : 국어와 역사, 역사와 미술 등 이질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교과간의 관련방식

⑶ 교과와 생활과의 관련 : 교과의 선을 넘어서 교과와 생활과를 관련시키는 방식

3. 예를 들면 산수의 곱셈에서 숫자풀이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생활과 관련되는 내용을 결부시켜 지도함으로써 교과를 운영 전개하는 등의 방법이다. ⇨관련 교육과정, 상관성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필수적 교수목표 수준을 넘어서 요구되는 교수목표.

2. 모든 학생으로 하여금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필수적 학습수준에만 머무르게 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능력과 흥미에 따라서 최대한의 발전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설정된 교수목표가 된다.

3. 이 수준의 교수목표는 단순히 학습된 자료를 기억해 낸다든가 또는 과거에 학습된 기능을 반복해 보는 정도 이상의 것이 된다.

4. 이러한 수준의 교수목표는 상당히 복잡한 형태의 학습을 요구하는 교수목표로서, 과거에 학습된 여러 반응의 종합 이상으로서 보다 높은 수준의 행동으로서의 통합을 의미한다.

5. 따라서 이 수준의 목표는 단순한 지식수준의 목표가 아니라 블룸(B.S. Bloom)이 말하는 지적 기능, 또는 고등정신기능을 측정해 주는 목표가 된다.

6. 이러한 발달적 수준의 목표를 완전히 달성하기란 기대할 수 없으며 정도의 차이가 문제가 된다.

7. 이 수준의 목표는 달성해야 할 최소한의 수준을 정하기가 어려우며 또 그럴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 필수적 목표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형식적인 절차를 밟지 않은 교육과정

2. 여기에서의 「형식적인 절차」란 교육목표를 설정하여 상세화(詳細化)한 다음, 그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학습내용을 선택하고 조직하는 일련의 단계를 뜻한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구성된 바를 교실사태에서 전개(展開)하기 위한 여러 의도적이고 공식적인 절차를 뜻한다.

3. 「비형식적 교육과정」이란 위와 같은 절차를 밟지는 않았지만 실질적으로는 형식적인 교육과정과 같거나 비슷한 기능을 발휘하는 교육내용을 뜻한다. ⇨ 잠재적 교육과정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주어진 학습과제의 학습을 통해 학생이 도달해야 할 목표를 연역적(演繹的)으로 세분하는 것.

2. 최종적 학습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선행해서 성취해야 할 학습요소를 추출하고, 다시 이를 성취하기 위해 선행해서 성취해야 할 학습요소를 분석해 나가는 과정을 목표의 상세화 과정이라 한다.

3. 학습과제의 위계성(位階性)이나 계열성이 강한 경우에는 이러한 목표 상세화 작업이 대단히 중요해 진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수업목표의 영역별 특성에 따라 적절한 수업원리를 동원해야 한다는 이론.

2. 이는 어떤 학습과제에서든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수업원리가 있다는 입장이나 교과(敎科)의 특성 또는 교과내용에 따라 특수한 원리를 적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통합하는 성격의 수업이론을 반영한 것이다.

3. 교과나 교과내용에 따라 적용하는 수업원리를 대비하여 분류했을 때, 가네(R.M. Gagne)가 제시하는 5목표영역에 따라 그 적용할 수업원리가 구분된다는 발견에 기초한 입장이다. 즉, 학교학습에서의 목표를 정보 및 지식․지적 기능․인지전략․운동기능․태도의 5영역으로 분류했을 때, 각 영역을 서로 구별되는 수업원리에 의해 가르치는 것이 최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 목표 영역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일반 교수목표를 관찰측정이 가능한 상태로 재 진술된 구체적 수준의 목표.

2. 일반 교수목표를 재 정의하여, 수업의 구체적 지침이 될 수 있도록, 그리고 그 목표를 달성하였다는 증거를 관찰 측정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진술된 교수목표를 말한다.

3. 그론룬드(Gronlund)는 수업과 평가의 일반적 방향을 지시해 주는 포괄적 수준의 일반 교수목표와 이를 몇 가지 대표적인 상황으로 재 정의한 명세적 목표의 진술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4. 일반 교수목표를 명시적 교수목표로 재 전환하기 위해서는 「찾는다」 「배열한다」 「열거한다」등의 명시적 동사로 교수목표를 진술해야 한다.

5. 한 주어진 일반 교수목표에 대해서 몇 개의 명세적 교수목표로서 진술하여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엄격한 기준은 없지만 단순한 지식이나 기능에 관한 일반 교수목표보다는 비판적 사고력이나 탐구능력과 같은 좀 더 복잡한 수준의 목표에 대해서는 더 많은 수의 명세적 교수목표가 필요할 것이다.

6. 일반적으로 주어진 교수목표를 측정할 수 있는 대표적 표집이라는 견지에서 명세적 교수목표의 수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 일반 교수목표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학교학습에서 다루어지는 학습과제를 그 성취하려는 목표의 성질에 따라 구분하고 분류한 상태

2. 학교학습의 목표영역을 학습 내용의 차원에서 분류하는 방식은 일찍부터 많이 활용된 방식이다.

3. 국어․산수․사회․자연 식의 교과분류는 그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들 교과를 세부적으로 분류하는 것도 이 원리에 해당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4. 이러한 분류로는 수업목표의 명료화를 기하는 데 부족하다는 비판과 더불어 행동적인 측면을 강조한 목표분류 방식이 탐색되어 왔다.

5. 대표적인 것으로는 블룸(B.S. Bloom) 등의 교육목표 분류체계(敎育目標分類體系)와 가네(R.M. Gagné)의 분류체계이다.

⑴ 블룸 : 학교교육의 목표 : 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체적(心體的) 영역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① 지적 영역 : 여섯 가지로 분류

㉠ 지식

㉡ 이해력

㉢ 적용력

㉣ 분석력

㉤ 종합력

㉥ 평가력

② 정의적 영역 : 다섯 가지로 분류

㉠ 감수(感受)

㉡ 반응(反應)

㉢ 가치화(價値化)

㉣ 조직화(組織化)

㉤ 인격화(人格化)

⑵ 가네

① 정보 및 지식

② 지적 기능

③ 인지전략(認知戰略)

④ 태도

⑤ 운동 기능

※ 이 중 지적 기능은 다시 8가지 소영역으로 구분된다. ⇨ 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정보, 지식, 지적 기능, 인지전략, 태도, 운동기능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교육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목표의 설정 및 명료화를 중시하는 이론 또는 접근방법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

2. 목표에 근거해서 적절한 수업방법을 동원하고 그에 일관된 평가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모형이다.

3. 타일러(R. Tyler)의 교육과정 모형이 목표모형의 대표적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네 가지 요소와 절차를 강조

⑴ 목표의 설정

⑵ 적절한 학습경험의 선정

⑶ 경험의 조직

⑷ 학습성과의 평가

4. 경험의 선정 및 조직과 평가단계는 설정된 목표를 기준으로 해서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강하게 부각되는 모형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진술된 교육목표가 학생이 학습 후 나타내어야 할 성과를 명백하게 관찰할 수 있는 행동으로 되어 있는 목표.

2. 교육활동에 관련되어 있는 교사․학생․학부모․장학사 등이 누구나 서로 합의할 수 있게 구체적으로 목표를 진술했을 때 명시적 목표라 한다.

3. 명시적 목표의 반대개념을 암시적(暗示的, implicit) 목표라 한다. 암시적 목표는 의사소통에 방해를 주는 단점은 있으나 여러 가지 행동을 포괄하는 이점이 있다.

4. 소단원(小單元)의 수업계획에서는 명시적 목표의 진술이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교육목적의 달성을 위해 계획되고 설계된 일련의 경험이나 과정, 또는 교육과정 문서에 명시된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학교 교육과정

2. 명시된 교육과정은 계획되고 설계된 교육과정이라는 의미 이외에도 구조화된, 공식적, 외현적, 가시적, 외적, 조직화된, 기대된, 형식적 교육과정이라는 의미도 지닌다.

3. 명시된 교육과정 속에서는 교육이란 이름으로 계획되고 의도되는 거의 모든 활동과 그 결과들이 포함된다. 의도된 교육목적, 의도된 교육목적을 가장 효율적으로 성취할 것이라는 기대 하에 계획적으로 선정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그리고 교육평가가 명시된 교육과정 속에 포함되며 이들을 명시적으로 구체화한 모든 문서와 자료들이 명시된 교육과정 속에 포함된다.

4. 국가 수준에서 계획되고 설계되는 각종 교육과정 문서나 교과서, 시․도․군 수준에서 의도되고 계획되는 온갖 교육자료, 학교에서 계획한 모든 종류의 교육 계획 및 교육과정 계획서, 그리고 교사들의 수업 계획서나 학습지도안이 모두 명시된 교육과정 속에 포함된다.

5. 명시된 교육과정의 의미는 또한 명시된 교육과정과 대비되는 다른 종류의 교육과정, 예컨대 잠재적(潛在的) 교육과정이나 영(零) 교육과정의 의미와 비교됨으로써 보다 명료화될 수 있다.

⑴ 잭슨(Jackson)에 의하여 처음으로 사용된 잠재적 교육과정이란 용어는 의도되지 않은, 계획되지 않은, 숨은, 비구조적인, 내현적인, 비가시적인, 비조직적인, 기대되지 않은, 비형식적인 교육과정을 의미한다. 명시적 교육과정과 완전히 반대되는 개념이다.

⑵ 간단히 말해서 학교나 학급에서 의도되거나 계획되지 않았는데도 아동들에게서 이루어진 모든 종류의 학습 경험을 의미한다.

⑶ 영(零) 교육과정 : 아이즈너(Eisner)에 의하면 학교에서 의도적으로, 그리고 계획적으로 제공하지 않는 학습 경험을 의미한다. 영 교육과정은 의도적, 계획적이라는 의미에서는 명시적 교육과정과 동일하다. 그러나 그 내용이 교육과정 문서에 명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명시적 교육과정과 구별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