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습에 관련된 특성이 갖추어진 정도.

2. 해당 과제 또는 과업에 관련된 행동이 갖추어진 정도.

3. 준비도는 어떤 학습과제를 적당한 곤란감 및 도전감(挑戰感)을 가지고 공부할 만한 지적․정의적․사회적․신체적, 기타 여러 측면의 특성을 갖추고 있는 정도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4. 학습자에게 일정한 학습에 알맞은 준비가 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함께 가장 적합한 시기에 학습시켜야 한다는 「적시성」(適時性)이 되어, 이 같은 준비성 개념에 따라서 일정한 수업을 연기하는 등의 중대한 교육적 처치가 취해져 왔던 것이다.

5. 그러나 성숙(成熟)을 준비성 개념의 주요 내용으로 삼은 과거의 준비성 개념에 대하여 브루너(J.S. Bruner)는 성숙이 이룩될 때 까지 기다릴 것이 아니라 준비도 그 자체를 육성할 것을 제안한다.

6. 근래에는 준비도라는 용어보다는, 출발점 행동 또는 투입행동, 선행경향성, 적성, 선행 필수요건의 능력(prerequisite capability)등의 용어를 보다 빈번하게 사용하는 추세이다. → 출발점 행동, 학습 위계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의도적으로 조직(구성)되지는 않았지만 학습자들의 행동의 변화를 초래케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세력을 뜻하는 교육과정.

2.「교육과정」은 조직(구성)의 측면과 전개(展開)의 측면에서 나눌 수 있으며, 그 조직(구성)의 측면은 교수-학습의 상황이 벌어지기 이전의 처방 또는 준비의 단계를 일컫는다.

3. 그러므로 「조직되지 않은 교육과정」이라는 말은 계획적인 조직(구성)된 것과 같이 기능을 발휘하는 어떤 힘을 의미한다. → 잠재적 교육과정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외부의 대상이나 자극을 수용하여 개념화하는 능력을 총칭하는 인간행동의 한 측면, 혹은 인간의 지적 능력과 관련되는 교육목표의 한 영역

2. 인간행동을 지적 측면․정의적 측면․심체적 측면의 셋으로 구분할 때 그 한 측면을 뜻한다.

3. 지적 영역의 교육목표를 블룸(B. S. Bloom)과 그 동료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 1.00 지식, 1.10특수 사상(事象)에 관한 지식, 1.20 특수사상을 다루는 방법과 수단에 관한 지식, 2.00 이해(理解), 2.10 번역, 2.20 해석, 2.30 추론, 3.00 적용력, 4.00 분석력, 4.10 요소의 분석력, 4.20 관계의 분석력, 4.30 조직원리의 분석력, 5.00 종합력, 5.10 독특한 의사전달의 구안, 5.20 계획 및 시행절차의 구안, 5.30 추상관계의 도출, 6.00 외적 준거에 의한 판단 등, 이와 같은 세부목표들 중 지식은 가장 차원이 낮은 정신능력이고 평가력으로 올라갈수록 차원이 높은 정신능력이라고 한다.

4. 이에 비해 가네(R. M. Gagné)는 지적인 목표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그 위계성을 설정하고 있다.

⑴ 단순연결

⑵ 연쇄 혹은 연계

⑶ 동일성 인식

⑷ 개념

⑸ 원리

⑹ 고차적 원리 혹은 일반 원리.

※ 위의 목표들 중 「고차적 원리 혹은 일반원리」가 가장 위계성이 높은 목표이며, 이 목표의 달성은 하위목표들의 달성에 의하여 가능하다고 본다. 교육목표 분류학, 정의적 영역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경험을 의미 있게 구조화해 주는 여러 가지 공적인 개념체계

2. 허스트(P. H. Hirst)와 피터즈(R. S. Peters)에 의하여 제안된 이 개념은 때로 「사고의 양식」(modes of thought),「이해의 형식」(forms of understanding),「지식과 경험의 양식」(modes of knowledge and experience)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여러가지 지식의 형식은 인류가 지금까지 점차로 분화, 발전시켜 온 공적 전통으로서, 그 각각은 독특한 개념과 검증방법을 가지고 있다.

※ 허스트의 분류에 따르면, 지식의 형식에는 수학, 자연과학, 인간과학, 역사, 종교, 문학과 예술, 도덕적 지식 등이 포함된다. 지식의 형식은 대체로 말하여, 전통적으로 학교 교육과정의 핵심을 이루어 온 이론적 교과와 상응하며, 이 점에서 지식의 형식에 관한 논의는 교육의 정의 문제에 있어서나 교육의 정당화 문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허스트와 피터즈는 회람의 자유교육에 들어 있는 형이상학적 측면을 배제하고 지식의 형식의 공적 성격에 의존하여 교육의 개념을 규정한다. 허스트에 의하면, 경험은 공적 개념구조에 의하여 파악될 때 비로소 의미있는 것으로 되며, 모든 공적 개념구조는 지식의 형식 안에 표현되어 있다. 지식의 형식을 배운다는 것은 공적인 개념구조에 의하여 구조화된 경험을 가지게 된다는 뜻이며, 그것은 곧 합리적 마음을 가지게 되는 과정이다. 그리하여 교육은 지식의 형식을 가르침으로써 합리적 마음의 발달을 도모하는 일로 규정된다. 피터즈가 교육을 「삶의 형식에의 입문」으로 규정한 것도 마찬가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가 말하는 삶의 형식은 지식의 형식에 의해 규정되는 삶의 형식이며, 삶의 형식에 입문된다는 것은 우리가 분화, 발전시켜 온 공적 개념체계로서의 지식의 형식에 입문되는 것을 의미한다. 교육의 정당화 문제에 있어서도 「지식의 형식」은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지식의 형식은 허스트와 피터즈에 의하여 제안된 「선험적 정당화」 논의에서 핵심적 위치를 차지한다. 그들이 선험적 논의를 빌어, 지식의 형식의 가치는 논리적 모순을 저지르지 않고는 부정될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바로 지식의 형식이 공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데 그 근거를 두고 있다. 우리는 지식의 형식을 배우는 일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다른 활동을 하면서 살아 왔지만, 그런 활동에 대해 어떤 식으로 생각하며 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가 하는 것은 전적으로 지식의 형식에 달려 있다. 지식의 형식은 우리가 생각을 품을 수 있는 모든 것, 즉 사고의 총체를 의미하며, 그것을 벗어난 삶은 상상할 수 없다. 피터즈가 삶의 형식을 지식의 형식에 의해 규정한 점, 그리고 허스트가 지식의 형식의 정당화 사태를 가리켜 "정당화의 의미가 그 이상 적용될 수 없는 궁극적인 사태"라고 규정한 점 등은 이러한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허스트와 피터즈가 지식의 형식의 성격을 규정함에 있어서 희랍의 형이상학을 배제하려고 한 것이 과연 타당한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교과 또는 지식의 형식의 의미는 「실재」와 무관하게 규정될 수 없으며 이것을 받아들이는 한, 교육에 관한 설명에서 형이상학적 측면을 전적으로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보아야 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브루너(J. S. Bruner)의 《교육의 과정》에서 교육내용을 지칭한 용어

2. 브루너의 책에서는 「지식의 구조」가 각 학문의 「기본개념」,「일반적 원리」,「핵심적 아이디어」 등으로 설명되어 있다.

3. 그러나 이런 것들이 종래 교육에서 가르쳐 온 「주제」(主題)나 「토픽」(topic)을 나타낸다고 보는 한, 그것은 「지식의 구조」를 완전하게 설명하는 것이 아니다.

4. 각 학문을 공부하는 학자들이 하는 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관련된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 그러한 기본 개념이나 일반적 원리가 활용될 때 비로소 그것들은 「지식의 구조」가 된다.

5. 이런 뜻에서 지식의 구조는 학자들이 하는 활동으로서의 「학문」을 가리킨다고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할 것이다.

6. 또한 이런 뜻에서 지식의 구조는 반드시 교육내용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방법상의 원리도 동시에 지칭한다고 보아야 한다. ⇨ 학문, 내용과 과정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순수한 의미로는 외계(外界)에 존재하는 어떤 대상물(object)이 감각에 나타나는 것

2. 현대의 심리학과 인식론에서는 일상적인 감각적 대상이 어떤 자극에 의해서 포착되는 것을 뜻한다.

3. 지각은 대상물이 개별적으로 감각에 나타나는 것을 뜻하는 감각작용(sensation)과 구별되며, 또한 상상(想像)․추리(推理, resoning) 등의 관념적(ideational) 작용과도 구별된다.

4. 감각작용이 일종의 생리적 현상이라면 지각은 심리적 현상이다. 관념적 과정(ideational process)은 일차적으로 형식(form)에 관한 것이지만 지각의 과정은 일차적으로 감각적 내용에 관한 것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선택과정에 대한 필수과정, 분과(分科) 교육과정에 대한 통합(統合) 교육과정의 두 가지 뜻을 가진 교육과정

2. 중핵 교육과정에서의 중핵(core)이란 사물의 중심을 뜻한다. 따라서 중심학습(core course)이 있는 교육과정의 전체 계획을 말한다. 그 구성면에서 보면, 종합적인 중심과정과 분화된 종래의 교과에 의해 형성되는 주변과정이 동심원적(同心圓的)으로 결합되어 전체구조를 이루게 된다.

3. 중핵 교육과정의 목표

⑴ 일정한 중심에 의해 교육내용의 융합을 도모

⑵ 융합된 교육내용에 의해 개인의 인격적인 통일을 의도

⑶ 통일된 인격체로서 개인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회를 실현

4. 따라서 중핵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구성에서 교육내용의 중심통합, 개인의 인격적인 통합이라는 요구를 기본으로 생각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전에 없었던 어떤 전제를 구성하도록 요소와 부분을 함께 모으는 능력

2. 이 과정에서는 장면에 따라서 다르기는 하지만 상당한 창의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종합력에는 새로운 생각을 짜내고 조직하는 창의력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에 객관형 검사로 재기는 어렵다. 따라서 종합력을 재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하도록 문제 장면을 선정하고 제시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 종합력에는 하위구조로 의사전달 자료의 생산능력, 오퍼레이션(operation)의 계획 및 절차의 창안, 추상적 관계의 유도 등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자기의 생각이나 느낌, 아이디어를 남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말이나 문장으로 쓰거나, 그림이나 조각 도표 등으로 만들어 내는 힘도 종합력에 들어가며, 계획을 세우고 새로운 가설․이론․법칙 등을 만들어내는 힘도 이에 속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인간의 흥미․태도․감상․가치관․감정․신념 등에 관련되는 교육목표의 영역

2. 이 영역은 어떤 일에 단순히 주의를 기울이는 것에서부터 복잡하면서도 내면적으로 일관성 있는 인격․양심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 있다.

3. 블룸(B. S. Bloom) 등은 정서적 영역이 목표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⑴ 1.0 감수(感受, receiving) : 학습자가 현상과 자극을 받아들이려고 하거나 또는 그것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관심을 두는 것을 말하며 감지(感知)․자진감수(自進感受)․주의집중이 이에 속한다.

⑵ 2.0 반응(反應, responding) ; 단순히 주의를 기울이는 것 이상의 반응을 말하며 묵종반응(黙從反應)․자진반응(自進反應)․만족이 이에 속한다.

⑶ 3.0 가치화(價値化, valuing) : 통상적인 의미의 가치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 즉, 한 사물․현상, 또는 행동이 가치가 있다는 의미로 쓰이며, 가치수용(價値受容)․가치채택․확신이 이에 속한다.

⑷ 4.0 조직화(組織化, organization) : 학습자가 여러 가치를 내면화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가치가 관련되는 사태에 당면하게 될 때 여러 가치를 하나의 가치로 체계화․조직화하고 상호관계를 살피며 지배적 가치를 정하는 것을 말하며, 가치의 개념화, 가치체계의 조직이 이에 속한다.

⑸ 5.0 가치 또는 가치복합에 의한 인격화(characterization by a value or value complex) : 가치가 내면화되어 일관적으로 행동하게 하는 영역이며, 일반화된 행동태세와 인격화가 이에 속한다. ⇨ 지적 영역, 교육목표 분류학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수업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정의적 영역에서의 교육목표.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태도, 흥미, 정서, 의지 및 가치관 등의 형성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2. 그러나 인간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 자체가 매우 어렵고 따라서 별로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정의적 영역에 대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3. 그러므로 인지적 수업목표의 설정 및 달성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이나 과정 등에 대하여 시사 받을 수 있는 연구의 결과들은 상당히 많으나 정의적 수업목표의 종류나 내용, 그 목표들을 성취하기 위한 방법론을 시사 받을 만한 연구는 매우 희귀한 편이다.

4. 현재까지 정의적 영역의 교육목표 분류와 관련되어 수행된 연구 중에서 유일하게 의미 있는 연구로 공인되고 있는 것이 크라트홀(Krathwohl)의 연구이다.

5. 정의적 영역의 교육목표를 그는 정의적 영역의 종류에 따라 분류한 것이 아니라 태도, 흥미, 가치 등 정의적 특성들을 개인이 내면화하는 수준이나 정도에 따라 등급을 매기는 식으로 정의적 교육(수업) 목표를 분류하였다. 그의 분류는 우선 ① 감수(感受) ② 반응(反應) ③ 가치화(價値化) ④ 조직화(組織化) ⑤ 인격화(人格化)의 다섯 가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감수는 다시 ① 감지(感知) ② 자진감수 ③ 선택적 주의 집중의 3단계로, 반응은 ① 묵종반응 ② 자진반응 ③ 반응후의 만족의 3단계로, 가치화는 ① 가치수용 ② 가치선택 ③ 가치 신념화의 3단계로, 그리고 조직화는 ① 가치의 개념화와 ② 가치체계(가치관)의 조직 단계로, 마지막으로 인격화는 ① 일반화된 행동체계와 ② 인격화의 2단계로 분류되어 그의 분류는 모두 13개의세부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는 이들 각각의 단계가 바로 정의적 교육(또는 수업)의 목표가 된다고 보고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