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수목표들을 내용차원과 수행차원의 분류체계에 따라서 범주화하고, 각 목표유형들은 일차제시형과 이차제시형의 독특한 결합방식에 따라 미시적 교수처방을 해 주어야 한다는 메릴(Merill, M.D.)의 교수설계이론
2. 세 가지의 주요한 이론적 관점(즉, 행동주의적, 인지적, 인간주의적)에서 다루고 있는 학습과 교수에 관한 모든 지식을 통합하고 있으며, 인지적 영역만을 다루고 있고, 특히 인지적 영역 내에서도 미시적 수준(예컨대, 단일한 개념이나 원리와 같은 단일한 아이디어들을 가르치는 것과 관련된 교수의 국면)만을 다루고 있다.
3. 내용요소제시이론의 구성원리 : 수행-내용 분류체계, 제시형, 일관성
⑴ 수행-내용분류체계
① 내용의 유형을 사실, 개념, 절차, 원리 등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그 내용에 대한 기대되는 수행 수준을 기억하기, 활용하기, 발견하기의 세 가지로 교수목표를 분류한 것을 말한다.
② 하나의 목표는 개념을 기억하거나(예컨대, 정의를 암기하기), 혹은 하나의 개념을 활용하거나(예컨대, 어떤 내용에 관한 새로운 예를 분류하기), 혹은 하나의 개념을 발견하도록(예컨대, 어떤 현상을 범주화하기 위한 방법을 발견하기) 요구할 수 있다.
③ 이러한 분류는 가네(Gagné, R.)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분류와 매우 유사하다.
⑵ 제시형 : 일차제시형과 이차제시형
① 일차제시형 : 학습에 필요한 기본적이고 최소한의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말하고, 이것은 일반성과 사례, 설명식과 탐구식이라는 두 차원의 행렬표에 따라서 네 가지의 제시형태로 구성된다.
② 이차제시형 : 일차제시형의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정보의 제시방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맥락, 선수학습요소, 암기법, 의미정교화의 도움, 표상법, 피드백 등으로 구성된다.
⑶ 일관성
① 내용요소제시이론의 기본구성요소인 수행-내용분류체계와 제시형을 연결시켜 주는 것
② 여기에는 수행 차원과 일차제시형의 일관성 및 내용 차원과 일차제시형의 일관성이 포함된다.
4. 수준의 다양성 : 각각의 모형들(수행-내용 분류체계에 기초하여 처방되는 모형들)은 다양한 수준들(즉, 수업에서 제공되는 처방의 수준들)을 지니고 있다. 쉬운 목표를 위해서는 비교적 간단한 유형이 제시되는 반면, 학생들의 능력이나 경험과 관련된 비교적 어려운 목표들을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모형들의 다양한 유형이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