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정한 시간 동안 진행되는 수업을 짧은 순간으로 나누어 분석할 때 나타나는 비교적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상태. 이러한 일련의 사태를 종합적으로 수업이라 하는데, 이들 사태를 다른 사태와 구별하여 수업사태라 부른다.

2. 보통 수업사태에 포함되는 것

⑴ 주의를 끌어 집중하는 일

⑵ 학습자에게 수업목표를 알리는 일

⑶ 선행학습의 재생을 자극하는 일

⑷ 자극재료를 제시하는 일

⑸ 학습을 안내하는 일

⑹ 학습행동을 유도하는 일

⑺ 정확한 학습행동에 대해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하는 일

⑻ 학습한 내용의 파지(把持)와 전이(轉移)를 높이는 일

3. 이들 사태가 매 수업시간마다 일정하게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이러한 사태가 포함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복잡한 수업현상이나 수업사태를 그 특징적 사태를 중심으로 단순화시킨 형태

2. 수업모형은 수업사태의 일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3. 예컨대 인체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 실제의 인체를 보기보다는 실제의 인체 해부도를 본다거나 태양계의 구조를 이해시키기 위해서 태양계의 모형을 보이는 경우와 같이 복잡하게 전개되는 수업현상을 그 구성변인 간의 관계를 단순화시킨 모형으로 제시함으로써 이해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학자들마다 다르게 설명하는 수업이론을 수업모형의 형식으로 정리하면 그 이론의 윤곽이 보다 명료하게 특징지어진다.

4. 수업모형은 수업현상을 보는 관점에 따라 수업절차 모형, 학습조건 모형, 수업형태 모형의 세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⑴ 수업절차 모형 : 수업이 전개되는 절차 또는 단계의 특징을 중심으로 수업현상을 설명하는 것

⑵ 학습조건 모형 : 학습과제 또는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학습 조건의 차이에 따라 수업현상을 설명하는 것

⑶ 수업형태 모형 :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하는 관계 또는 모양에 따라 수업현상을 설명하는 것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학습자의 내적(內的) 및 외적(外的) 조건을 체계적으로 조정하는 과정

2. 수업은 목적성․의도성․계획성을 가진 활동이다.

3. 학교교육이라는 체계적 활동 아래 이루어지는 수업은 교육과정(敎育課程)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수업할 내용의 타당성을 교육과정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다.

4. 좋은 수업은 목표로서의 교육과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동시에 수업은 학생들로부터 학습이 일어나도록 기대하는 것이므로, 학생들이 학습한 것과 수업한 것과의 일치도를 판단해서 수업의 질을 평가할 수도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2~6명의 학생으로 구성된 소집단을 활용한 자율적 수업운영 형태. 70명의 학급을 예로 든다면, 5~6명의 학생으로 12~14개 소집단이 구성된다.

2. 교사가 전체적인 수업을 통해 문제를 제시하면, 각 소집단별로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한 수단과 해답을 찾는 토론을 전개하여 어떤 결론을 만들도록 하며, 전체토론을 통해 각 소집단의 결론을 비교․검토하는 단계를 거쳐 전체적인 최선의 결론을 찾는 방식으로 수업이 운영된다.

3. 소집단의 운영방식은 대상 학생의 특성, 대상 학습과제의 특성, 교실의 구조 등에 따라 융통성 있게 계획될 수 있다.

4. 이질적(異質的) 학급에서 다양한 배경의 학생을 한 소집단으로 구성하여 각자 이해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살리자는 것이 대체적인 경향이다. ⇨ 버즈 학습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유기체(有機體)가 단세포(單細胞)의 집합자(集合子)로부터 성인이 되기까지의 질적․양적 변화과정

⑴ 성장을 양적 변화, 발달(development)을 질적 변화로 보는 학자도 있으나 두 어휘를 서로 바꾸어 써도 크게 무리는 없다.

⑵ 예 : 신체적 성장은 신체적 발달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⑶ 경우에 따라서는 성장이라는 말이 어색할 대도 있다. 예컨대 성격발달을 성격 성장이라고 말하는 경우는 드물다.

2. 인간의 성품, 능력, 신념, 태도, 지력 등이 자연적․문화적 환경에 적응하는 힘이 향상되고 내적으로 통합을 성취하면서 재구성되는 과정. 듀이(Dewey)는 교육에 의한 인간의 성장을 경험의 재구성으로 설명한다. ⇨ 경험의 재구성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수업을 통해 학생이 학습해야 할 내용을 그 최종적인 형식으로 교사가 학생에게 제시하는 형태의 수업.

2. 설명식 수업은 오수벨(D.P. Ausubel)이 말하는 「유의미 수용학습」(有意味受容學習)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 이른바 주입식(注入式) 수업과는 구별된다.

3. 교사가 중심이 되는, 즉 교사가 권위주의적인 입장에 있고 학생이 수용적 또는 수동적 입장에 있다는 점에서는 설명식 수업과 주입식 수업은 같다.

4. 주입식 수업은 학생의 흥미․의욕․능력․선행학습 수준에 관계없이 무의미한 학습을 기계적으로 행하도록 하는 의미가 강한 데 대해 설명식 수업은 학생의 능력, 특히 선행학습 수준을 고려한 유의미한 수용학습을 자극한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5. 설명식 수업을 주입식 수업과 동일한 개념으로 보아 무조건 비효과적이라 판단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학교에서 다루어지는 학습과제에 따라서는 설명식 수업으로도 대단히 효과적인 것이 많이 있다. 사물의 이름․사실․사건과 같은 정보 그리고 이들의 체계적 조직으로서 지식 같은 것은 설명식 수업으로도 효과적으로 수업할 수 있다.

6. 설명식 수업은 선행학습이 갖추어진 학생에게 유리한데, 만일 선행학습이 되어 있지 않은 학생에 대해서는 제시할 학습과제를 잘 나타내는 선행조직자를 제공한 다음 수업을 점진적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학문적 교과의 유의미한 언어적 학습(meaningful verbal learning)을 강조하는 정보처리 인지학습 이론에 기초한 오수벨(D. Ausubel)의 교수모형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개념으로, 인지구조를 강화하고 새로운 정보의 파지를 촉진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도입되는 기본적인 정보나 자료를 지칭하는 용어

2. 유의미 학습을 위한 개념적 기반(conceptual scaffolding)으로서, 해당 학습 과제에 앞서 제시되는 것으로, 해당 학습과제보다 높은 수준의 일반성, 추상성, 포섭성(inclusiveness)을 가진다.

3. 가장 효과적인 선행조직자는 학습자에게 이미 친숙한 개념, 용어, 명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학습되어야 한 자료의 요약이나 개관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선행조직자는 학습될 새로운 정보나 자료로부터 도출된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것은 결코 아니기 때문이다.

4. 선행조직자를 제시하는 목적은, 새로운 학습을 위한 개념망(conceptual framework)을 부여하고,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현재의 정보와 새로운 학습을 연결 지으며, 학습자의 장기적인 저장기호화(encoding)를 효과적으로 촉진하는 데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기술적 교수이론(記述的敎授理論) 또는 설명적 이론고도 한다.

2. 처방적 이론과 대조가 되는 말

3. 특정 교수의 조건하에서 특정 교수의 방법이 가져오는 교수결과가 무엇인가에 관심을 갖는 교수이론.

4. 예를 들어 교수연구자에게는 조건과 방법의 변인들이 독립변인들이며 그 변인들의 매개변수들은 상호작용하여 종속변인인 결과변인의 일관성 있는 효과를 산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형식의 이론이 서술적 이론이다.

5. 서술적 이론들은 “만일 A라는 교수방법이 B라는 조건하에서 실행된다며 C라는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라는 형식의 명제를 구성한다.

6. 학습자의 내적 학습과정을 다루고 설명하는 학습이론은 서술적 이론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1968년 미국 연방정부의 폴로우 스루(Follow-Through)프로그램의 하나로 선정된 이후에 뱅크 스트리트 사범대학(Bank Street College of Education)에서 각 아동의 발달측면을 중심으로 개발한 프로그램.

2. 일명 발달적-상호작용 유아교육 프로그램이라고도 한다. → 폴로우 스루 프로그램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어떤 구체적인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그 해결방안을 생각할 때 판단이나 비판을 일단 중지하고 질(質)을 고려함이 없이 머리 속에 떠오른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얻는 방법이다. 후에 이 아이디어들을 결합시키거나 개선하도록 하여 자유연상(自由聯想)을 요구했을 때 보다 더 좋은 아이디어를 산출(産出)할 수 있다는 것이다.

2. 1953년에 오스번(A.F. Osbarn)이 제안한 방법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