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고시 교육학/교육학 용어 사전1 : 한국교육사'에 해당되는 글 96건


1. 조선 초 양촌 권근(權近)이 태종에게 올린 학규(學規). 고려시대 사학(私學)의 교육적 성과를 참작해서 사학의 교원 학생을 관학(官學)으로 강제로 옮기는 일이 없도록 유념시킨 내용이다.

2. 고을 향교(鄕校) 스스로가 마련한 봉화군(奉化郡) 봉성향교(鳳城鄕校)의 향학 사목이 있다.

3. 효종 때 제주(祭酒) 송준길(宋浚吉)에 명하여 제정한 서당학규(書堂學規)를 향학지규(鄕學之規)로 부르기도 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조선시대 중엽 이후 향촌(鄕村)의 자치규약

2. 중국 송(宋)의 여씨향약(呂氏鄕約)을 본따서, 덕업상권(德業相勸)․과실상규(過失相規)․예속상교(禮俗相交)․환란상휼(患亂相恤)의 내용으로 각 지역의 풍습과 민정(民情)에 맞게 만들었다.

3. 태조 때의 풍패향 향헌(豊沛鄕鄕憲)을 비롯하여 예안 향약(禮安鄕約) 등으로, 규약․조직․운영이 발전하였으며 조선사회의 풍교(風敎)에 끼친 공적이 크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고려와 조선에 있었던 지방의 학교

2. 고려 인종 5(1127)년 3월에 지방 제주(諸州)에 학(學)을 세워 널리 도(道)를 가르치라는 조서(詔書)에 따라 후일 부․목․군․현(府牧群縣)에 설치된 국자감(國子監)을 축소한, 유현(儒賢)을 제사하는 문묘(文廟)의 동서양무(東西兩廡)와 교학(敎學)하는 명륜당(明倫堂)의 동서양재(東西兩齋)가 있었다.

3. 조선시대는 고을의 규모에 따라 학생 정원과 기본재원으로 학전(學田)이 지급되었고, 수령(守令)은 향교 생도의 독서와 일과(日課)를 매월 관찰사에 보고하였으며, 수령의 치적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향학(鄕學)의 진흥에 크게 비중을 두었다.

4. 후일 향교는 제사[祀]의 기능이 강화된 반면 교학[齋]의 기능은 약화되어 서원(書院) 발흥의 계기가 되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조선조 16대 인조 7(1629)년 조 익(趙翼)이 입안한 것으로서 학교의 신입생․결석생․장학관계․성적․설규․학과목․자격에 관하여 기존의 학교 관계의 조항을 보완하고 강조사항을 명시한 규정집

2. 서울의 사학(四學)과 지방학생인 외방사자(外方士子)의 학적부를 만들어 신입생 명단을 작성토록 했고, 신입생에게는 소학(小學)을 시험보아 「조」(粗) 이하면 입학을 불허토록 했으며, 학교에 등록되지 않는 자는 생원(生員)․진사(進士)가 되는 감시(監試)에 응시치 못하게 하고, 특히 소학을 통독시킬 것을 강조하였다.

3. 관관(館官)과 수령(守令)의 학생지도․점검․선발․인원기준․교과과정 등을 싣고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조선조 14대 선조15(1582)년 왕이 율곡 이 이(李珥)를 시켜 제정한 학교에 관계된 인사문제의 원칙과 지침. 교사의 선별․임용․승급․예우(禮遇)에 관한 5개 항목과 학생의 입학․정원․선발․거재(居齋)․대우․장학․자격에 관한 5개 항목의 규정을 포함하였다.

2. 교사채용에 있어서 태학생(太學生)을 우선적으로 채용하고 진출책을 보장하는 등 사기를 높이는 문제와 형식이나 출신을 가리지 않고 자격자를 최대한 우대하여 유치하고 승진의 길을 마련해야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3. 학생 입학은 엄정성을 기하고 신입생에게는 학교 모범(學校模範)을 준수토록 하며, 불성실한 자는 과거응시 중지 등의 조처를 취했고, 각급 학교의 기본 운영규정과 기준을 실었으며, 이는 후일 학교운영의 기본지침이 되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조선조 14대 선조15(1582)년 율곡 이 이(李珥)가 왕명을 받들어 학교사목(學校事目)과 함께 지어 바친 학교의 규범.

2. 학령(學令)의 미비한 점을 보충케 하였을 뿐 아니라, 유학(儒學)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고 밀도 높은 사상이 깃들어 있어, 여기에 간직된 사상이나 교육과정 정신은 율곡에 그치지 않고 조선시대 교육의 이상적(理想的)인 목표와 일반적인 준행의 지표가 되었다.

3. 학교모범은 모두 16조목으로 선비된 자의 몸가짐과 일해 나가는 준칙(準則)으로서, 입지(立志), 검신(檢身), 독서(讀書), 신언(愼言), 존심(存心), 사친(事親), 사군(事君), 택우(擇友), 거가(居家), 접인(接人), 응과(應科), 수의(守義), 상충(尙忠), 독경(篤慶), 거학(居學), 독법(讀法)을 싣고 있다. ⇨ 학교사목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고구려 소수림왕 2(372)년에 세운 관학(官學)으로서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먼저 세워진 유학대학.

2. 우리나라 교육사에서 학교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사로서 《삼국사기》에 고구려 소수림왕 2년 6월에 왕은 "태학을 설립하고 자제를 교육하였다"라고 하였으며, 이로써 우리나라의 관학의 설립은 서기 372년에 기원한다.

3. 비록 고구려가 그 건국의 오래됨에 비하여 학교의 설립은 늦었다고 하겠으나, 이 태학은 중국에서 일어난 고대 왕조의 학교를 제외하고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설립된 학교였다.

4. 그런데 아쉬운 점은 태학의 이념과 학제, 그리고 교육내용 등에 관한 기록이 없다는 것이다.

5. 다만 고구려가 국초부터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문자를 사용하고 책을 편찬하며 율령(律令)을 반포한 일련의 역사적 사실로 미루어 보아 그 교과내용을 당시의 중국에서처럼 오경(五經)과 삼사(三史)로 하였으리라고 본다. 경당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중국 양(梁)나라의 주흥사(周興嗣)가 지은 사언고시(四言古詩)로 된 책.

2. 1구 4자로 250구, 총 천(千)자로 구성되었다.

3. 천지현황(天地玄黃)으로부터 시작하여 언재호야(焉哉乎也)로 끝난다.

4. 이 책이 우리나라에 전해진 정확한 연대는 미상이나, 백제의 왕인에 의해 일본에 전해졌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5.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초학 아동을 위한 문자학습용 입문서로서 자리하였다.

6. 따라서 이 책에 「天 하텬」과 같이 새김과 음을 달아 읽게 되었다.

7.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읽힌 책은 명필 한석봉(韓石峯)의 글씨로 1583년에 간행된 《석봉천자문》이다. 그 밖에 《주해천자문》(註解千字文) 등 여러 이본이 있어 국어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8. 천자문은 아동에게 단순히 글자를 깨우쳐 주는 의미 이외에도, 아동들의 의식과 사유태도를 결정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9. 천자문이 중국인의 저술이므로 우리의 현실과 맞지 않음을 비판하여 새롭게 편찬된 아동용 문자학습서가 곧 《유합》(類合), 《훈몽자회》(訓蒙字會), 《아학편》(兒學編)등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고려 예종 대에 세워진 유학 및 무예의 고등교육기관

2. 예종 4(1109)년 7월에 관학을 진흥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3. 칠재의 구성은 전공과목에 따라서 여택(麗澤; 주역전공), 대빙(待聘, 상서전공), 경덕(經德; 모시전공), 구인(求仁; 주례전공), 복응(服膺; 대례전공), 양정(養正, 춘추전공), 강예(講藝; 무학 전공) 등 7개의 재로 되어 있었는데, 크게 유학과 무학으로 구분하기도 하였다.

4. 당시 관료들은 칠재의 설치에 반대하는 의견이 많아서 실제 교육이 시작된 것은 예종 14(1119)년에 유학 60명, 무학 17명을 배치하면서부터였다.

5. 이 중에서 무학은 문신들의 반대로 인종 11(1133)년에 폐지되었다.

6. 이후의 운영상황은 명확하지 않지만, 고려 말까지 각 재의 명칭이 보이는 것을 보아 계속 존속하였던 것은 분명한 듯하다.

7. 칠재의 성격에 대해서는 송나라의 삼사법의 영향을 받아 국학에 설치된 상급교육기관이라는 설과 국자감의 조직을 개편한 것이라는 설이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1969학년도부터 서울에서 시작하여 1970학년도에는 10개 도시에서, 1971학년도에는 전국적으로 실시된 무시험 추첨에 의한 중학교 진학제도.

2. 모든 중학교 진학희망자를 소정의 학군내(學群內)에서 추첨․배정하는 제도로서,

① 과열 입시경쟁과 과외수업의 해소,

② 초등학교 교육의 정상화,

③ 성장기에 있는 아동의 건강 증진,

④ 1980년대에 기대되는 9년제 의무교육의 실시를 위한 조치로 실시되었다.

3. 이 제도는 중등교육의 기회확충을 촉진시키는 소기의 목표를 크게 거두었다. 그러나 그 기본전제인 ① 학교 간 질적 평준화, ② 모든 진학희망자를 위한 수용능력 확충, ③ 능력차 학생지도 계획, ④ 서류 전형 또는 추첨 과정에 대한 사회 공신력 확보 등이 미흡했다.

4. 초등학교 교육에 미친 문제 : ① 학생들의 학습의욕 상실로 인한 학력저하 초래,

② 교사의 수업열의 부족,

③ 학교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불신 등 여러 가지 문제가 파생되었다. 5. 중학교교육에서도 이질적 학습 집단으로 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와 평준화(平準化)의 문제가 크게 부각되고 사립학교의 자주성과 종교교육이 침해된다는 비판론도 없지 않았다.

6. 이 무시험제도로 입시제도의 폐단을 막은 것은 득이었으나 민주주의의 기본원칙인 선택의 자유를 잃은 것은 손실이라 지적되기도 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