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고시 교육학/교육학 용어 사전1 : 한국교육사'에 해당되는 글 96건


1. 조선조 영조(英祖) 18(1742)년에 제정한 성균관의 학생 정원에 관한 규정

2. 내용

⑴ 거재(居齋)유생의 정원은 기재(寄齋) 외에 100인으로 하고, 돌아가면서 기재하되 늘 100인에 차게 하고 50점을 기준으로 함

⑵ 기정한 100인 외에는 1인이라도 초과하지 못함

⑶ 결원 보충에 인원수는 제한이 있고, 응입자가 많을 때는 방(榜 : 과거연도)으로 차례를 정하고 방차(榜次)가 같으면 연치로 차례를 정하여 허입(許入)함

⑷ 장의(掌議) 2인과 색장(色掌) 4인도 또한 정식대로 100인 이외에 따로 거재하게 함

⑸ 헌작례(獻酌禮)와 춘추 석채(釋菜)와 청재(淸齋)에 들 때는 생원․진사의 인원수는 제한이 없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규모가 큰 서당(書堂)에서의 학생의 장 비교적 규모가 큰 서당에서는 훈장(訓長) 한 명만으로는 다수의 학생을 훈도할 수가 없으므로, 학생들 가운데서 나이가 많고 학력이 우수한 자를 학생장으로 세워 접장이라 불렀다. 직접 학생과 가까이 지내며 교유(敎諭)하는 까닭에 서당 풍기에 미치는 영향이 훈장보다 큰 경우가 많았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생산기구나 유통수단을 편리하게 하고 의식(衣食) 등의 제물을 풍요롭게 하여 백성들의 일상생활에 이바지 함.

2. 이 용례는 원래《서경》(書經) 대우모(大禹謨)에 인간을 다르시는 데에 중요한 세 가지 일(三事)로 정덕(正德)․이용․후생을 말하는 가운데 나온다.

3. 이 용어는 특히 「실학」(實學)으로 지칭되는 조선후기 비판적 유학지식인들의 학문적 경향 가운데 18세기 후반의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을 중심으로 상업의 유통과 생산기구 일반의 기술혁신을 강조하는 학파를 가리킬 때 쓰이고 있다.

4. 이용후생파에는 홍대용(洪大容), 박지원(朴趾源), 박제가(朴齊家)등이 포함되며, 당시 사회현실의 개혁을 위해서는 청나라를 통해 선진적 문물제도를 수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여 북학파로 불리우기도 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이(理)와 기(氣)가 만물의 원리라고 하는 성리학(性理學)의 근본사상.

2. 중국 북송(北宋)의 대 유학자 정 이(程頤)가 처음으로 주장한 철학사상이다.

3. 이보다 앞서 주돈이(周敦頤)는 「태극도설」(太極圖說)에서, 음양(陰陽)의 2기(氣)는 태극에서 생기고, 음양으로부터 오행(五行)의 5기가 생겨, 이들이 교감(交感)․결합하여 만물이 생성하며, 태극은 그 만물 속에 존재한다고 하였다. 이것이 이기 일원론적 견해이다.

4. 그러다가 정 이에 의하여 이(理)가 기(氣)에 대립하는 개념으로 되어 이기 이원론적(理氣二元論的)인 우주론이 시작되었으며, 이 사상은 성리학의 바탕이 되었다.

5. 이 같은 생각은 남송(南宋)의 주자(朱子)에 의하여 완전히 사상적인 체계로 확립되었다.

6. 주자에 의하면, 만물은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인 근원이 되는 이(理)와 형이하적(形而下的)인 소재(素材)가 되는 기(氣)로 나뉘고, 이 이기(理氣)가 사람에 있어서는 성(性)과 정(情)으로 서로 긴장대립되어 도덕적 의식이 되며, 성리(性理)가 기정(氣情)을 자각적으로 극복함으로써 천리(天理)와 인성(人性)이 합일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7. 주자의 설은, 인간의 자각적 극기(克己)에 의하여 초월적인 질서, 곧 천리(天理)가 발현되는 것이라고 보았기에 뒷날 교학(敎學)의 지도 원리로도 크게 이바지하였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중인 계층이 학습하던 교과.

2. 경사(經史)를 다루는 정통 학문에 대하여 율․서․산학은 잡학(雜學)이라고 하여 구별하였으며, 전자가 양반 계층의 관료학인데 반하여 후자는 중인 계층의 이속학(吏屬學)이었다.

3. 율학은 법령의 집행(예:검시<檢屍>), 서학은 공문의 등초(謄抄), 산학은 계리(計理) 따위의 일을 가르치는 학문으로서 중인이 세습하였다.

4. 이들을 관리로 등용하기 위하여, 고려와 조선조 때에 잡과(雜科)라는 과거를 실시하였다.

5. 잡과는 문과나 무과에 비해서 그 격이 낮으며, 조선조 때에는 대․소과의 구별이 없는 단일과로서초시(初試)․복시(覆試)의 2단계가 있었다.

6. 여기에 합격한 잡과 출신자는 종7품 내지 종9품의 관계(官階)를 받고 각관청의 권지(權知;試補)로 임명되었다.

7. 이들을 배출하기 위하여 경사육학(京師六學)을 두었는데 박사와 조교를 두어 교수하였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시경(詩經)․서경(書經)․주역(周易)․예기(禮記)․춘추(春秋)의 5경(五經)과 사기(史記)․한서(漢書)․후한서(後漢書)의 3사(三史)를 통칭한 것.

2. 원래는 이 오경에다가 악기(樂記)를 더하여 육경이라 불렀으나 악기는 진(秦)나라 때 없어지고 그나머지를 오경이라 한다.

3. 이 오경은 우리나라 국학(國學)의 중요한 교과서가 되었다.

4. 신라 원성왕 4(788)년에 신라 태학(太學)에서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를 둘 때 오경삼사에 대한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에도 그 이전에 전래하여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고, 그 후에도 계속하여 읽혀졌으며, 특히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유학의 진흥과 함께 사대부들의 필독서로 되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명나라의 유학자 왕수인(王守仁, 호는 陽明)에 의해 주창된 유학의 한 계통.

2. 양명학의 사상적 배경은 송(宋)의 육상산(陸象山)과 명(明)의 진백사(陣白沙)등에 의해 계승된 심학(心學)에 있다.

3. 흔히 육왕학(陸王學)이라고도 일컬어지며, 주자학의 성즉리(性卽理)설에 대항하여 심즉리(心卽理)설을 학문의 요체로 삼고 있다.

4. 왕양명의 주자학에 대한 비판의 첫 단서는 주자의 격물치지(格物致知)설에 있다.

5. 왕양명에 따르면, 주자의 격물치지란 모든 사물 즉 사사물물(事事物物)위에 나아가 이른바 정리(定理)를 구하는 것이다.

6. 주자의 성즉리 설에 의하면, 이(理)는 인식 주체의 내적인 이인 동시에 객체인 여러 사물에 동시에 내재하는 이이기도 하다.

7. 참다운 앎을 이루기 위해서는 인식 주체의 이와 인식 개체로서의 사물의 이가 서로 만나 조응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즉 앎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인식 주체가 갖고 있는 이를 자각하는 것만으로는 가능하지 않으며 외부 사물의 이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관찰이 필요한 것이다.

8. 그러나 왕양명은 주자의 이러한 격물설은 주체와 객체, 심과 물, 내와 외를 궁극적으로는 관계가 없는 무의미한 대립자로 만들 위험성이 있음을 들어 반대하였다. 또한 주자는 격물설을 해석하여 천하의 모든 사물을 하나씩 궁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인가에 대해서도 회의하였으며, 사물의 이치를 탐구함으로써 자신의 「뜻을 진실되게」할 수 있으리라는 것에 대해서도 의문을 가졌다. 9. 그는 이러한 의문을 통하여 격물치지의 의미는 심즉리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즉 주자와 같이 마음의 이와 사물의 이가 서로 응(應)하는 관계로 파악하지 않고 마음이 곧 이라 하여 상즉(相卽)하는 관계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지와 행의 관계는 주자류의 선지후행(先知後行)적인 해석을 배격하고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였다.

10. 왕양명에 의하면 인간이 앎을 이룬다는 것(致知)은 결코 외연적인 지식의 축적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에 선천적으로 자리하는 도덕적인 자각능력을 갖춘 「양지」(良知)를 최대한 발현시키는 것에있다.

11. 양명학이 우리나라에 수용되기 시작한 것은 16세기 초 남언경(南彦經)과 이요(李搖)등에 의해서이고, 주자학 일변도의 사상계에 비교적 깊이 있게 양명학이 수용된 것은 하곡(霞谷) 정제두(鄭薺斗)에 의해서이다. 그의 학문은 양명학이 지닌 인간과 사물의 일원론적인 이해 태도와 양지론(良知論)에 깊이 경도되어 있고, 주자학처럼 객관적인 사물에서 이치를 찾는 이른바 즉물궁리(卽物窮理)를 반대하고 마음속에서 삶의 이(生理)를 찾아야 할 것을 역설하였다.

12. 그의 학설은 그 후 이광사(李匡師), 이광려(李匡呂), 이건창(李建昌)등의 이른바 강화학파(江華學派)를 탄생시켰다. → 육왕학(陸王學)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고려 말 양촌(陽村) 권 근(權近)이 공양왕 2(1390)년에 초학자를 위해 저술한 한국 최초의 도설

2. 입학도설은 책 이름이 말하여 주듯, 당시 학문의 길에 뜻을 둔 젊은이들이 우선적으로 알아야 할 기본적 지식, 예를 들면 《대학》《중용》 또는 《천인심성합일설》(天人心性合一說) 따위를 도설로써 알기 쉽게 풀이한 것이다.

4. 그 작성요령은 주로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을 근본으로 하고, 주자의 《중용장구》(中庸章句)를 참고로 하여 그림을 만들고, 그밖에 선현들의 설을 취하여 해설을 붙인 것이다.

5. 우리나라의 유학은 도설이 많기로 유명한데, 특히 양촌의 입학도설은 오늘날 전하는 도설로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서, 그것이 후세에 나오는 도설과 학문에 끼친 영향을 대단히 크다.

6. 양촌의 도설과 사상을 직접 이어받은 것으로는 김 반(金泮)의 《속(續) 입학도설》과 권 채(權採)의 《작성도》(作聖圖) 및 《작성도론》(作聖圖論)을 들 수 있으며, 그밖에 추만(秋巒) 정지운(鄭之雲)의 《천명신구도》(天命新舊圖)와 퇴계의 《성학십도》(聖學十圖)도 전적으로 양촌의 영향을 입은 것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인재등용의 길인 과거를 통하지 않고 부조(父祖)의 국가에 대한 공에 따라 그 후예들을 관리로 채용하던 관리임용방식

2. 이러한 방법은 고려조에서 시작되어 조선조까지 계속되었다.

3. 고려조에서는 귀족의 자제들이 부조(父祖)의 공음(功蔭)으로 출세하는 음사(蔭仕)․음보(蔭補)가 있었고, 조선조에서는 공신의 자손이나 궁정(宮廷)의 친척관계 등으로 특서(特敍)하는 문음(門蔭)과 학덕이 뛰어나 재조(在朝) 고관이나 지방관 또는 지방민의 추천으로 특서하는 천거(薦擧)가 있었다.

4. 조선조에서는 음자제(蔭子弟)의 등용시험을 매년 정월에 행했고, 공신과 2품 이상인 자의 아들․손자․사위․아우․조카와 3품인 자의 아들․손자, 이조․병조․도총부(都摠部)․사헌부․사간원․홍문관․부장(部將) 및 선전관 등의 음직(蔭職)을 역임한 자의 아들로서 20세 이상인 자는 간단한 시험으로 실직(實職)에 임용하되 녹사(綠事)가 되려는 자도 또한 허가하였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구한말(舊韓末) 고종 23(1886)년 9월, 관리 양성을 목적으로 정부가 세운 최초의 신식 교육기관

2. 좌원(左院)과 우원(右院)의 2개 반을 두어, 좌원에는 젊은 문무관리 중에서, 우원에는 15세에서 20세 사이의 양반자제 중에서 골라 입학시켰다.

3. 한국 최초의 신식학칙(新式學則)이라고 할 수 있는 육영공원 설학절목(育英公院說學節目)에 의하면 수업연한은 3년으로 되어 있으나 교사들은 7년으로 잡고 처음 3년은 예과, 나머지 4년은 대학과정의 본과로 하려고 했던 것 같다.

4. 교과내용은 학습차제(學習次第)라 하고 책 읽기 [讀書]․글쓰기[習學]․외국어(外國語)․수학․자연 과학․지리․역사․정치학․국제법 경제학 등을 교수하려 했으나 그 중 일부분은 실현되지 못했다.

5. 강의는 영어로 했으며 교과서도 영어로 된 것을 채용하였다. 학생수는 1886년에는 35명, 1887년에는 20명, 1889년에는 50명이었다.

6. 교사는 미국인인 헐버트(H. B. Hulbert)․벙커(D. A. Bunker)․길모어(G. W. Gilmore) 등이 초빙되었고, 이들 중 길모어가 귀국한 뒤, 기포드(D. L. Gifford) 목사가 얼마동안 이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7. 1894년, 「영어학교」로 교명을 바꿀 때까지 육영공원은 한국교육이 근대적인 신교육으로 전환․발전하는 과정에서 교량적 역할을 한 최초의 관립학교였다. 설립 당시에는 서울 정동(貞洞)에 있다가 1891년 전동(磚洞)으로 이전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