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고시 교육학/교육학 용어 사전1 : 한국교육사'에 해당되는 글 96건


1. 유학교육의 초보단계에서 배우는 초등교재

2. 송(宋)나라 때 주희(周熹)가 편찬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주희의 제자 유자징(劉子澄)이 스승의 지시에 의하여 편찬한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3. 1187(남송 효종 순희 14)년에 내편 4, 외편 2권으로 완성되었다.

4. 내용 :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범절을 비롯하여, 수양생활에 필요한 격언과 충신․효자들의 행적을 모았다.

5. 우리나라에서도 《소학》은 일찍부터 사대부 자제들의 초학용 교과서로 애용되어 왔을 뿐 아니라, 퇴계(退溪)․율곡(栗谷) 등의 학자는 《소학》의 교육적 가치를 높이 인정하였으며, 한훤당(寒喧堂) 김굉필(金宏弼)은 평생토록 《소학》을 애독하면서 스스로 소학동자(小學童子)로 자처하였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賜額書院). 고려 때의 유학자 안향(安珦)을 향사(享祀)하는 곳으로 경상북도 영풍군 순흥면 내죽리에 있다.

2. 사액서원의 시조 : 좃 중종 28(1542)년에 당시 풍기 군수(豊基郡守) 주세붕(周世鵬)이 숙수사(宿水寺)의 옛터, 백운동(白雲洞)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세웠다. 그 뒤 명종 5(1550)년에 퇴계 이황(李滉)이 군수로 부임하여, 노비․전장(田庄)․도서를 내려줄 것과 아울러 사액(賜額)하여 줄 것을 경상감사를 통해 왕에게 청한 바 소수서원이라는 액서(額書)를 내려주었다. 이것이 우리나라 사액서원의 시조가 된다. 중종 39(1544)년에 안향의 후손, 안축(安軸)․안보(安輔)를, 인조 11(1633)년에 주세붕을 추배(追配)하였다.

3. 소수서원은 대원군이 서원을 철폐할 때에도 계속 유지되었으며 고적 55호로 지정되어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신라 26대 진평왕(眞平王) 때 원광법사(圓光法師)가 귀산(貴山)과 추항(箒項)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계율

2. 내용

⑴ 충성으로 임금을 섬길 것[事君以忠]

⑵ 효도로 어버이를 섬길 것[事親以孝]

⑶ 믿음으로 벗을 사귈 것[交友以信]

⑷ 전쟁에서 물러나지 말 것[臨戰無退]

⑸ 살생은 가려서 할 것[殺生有擇]

3. 세속오계는 화랑도(花郞徒)의 도덕률인 동시에 교육내용이 되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조선조 14대 선조 8(1575)년에 홍문관 부제학으로 있던 율곡(栗谷)의 본지(本旨)에 의거하여, 성현의 말을 인용하여 설명한 책이다.

2. 13권 7책으로 된 이 책의 편차(編次) 내용은 다음과 같다. 1권 총설(總說), 2권 수기(修己) 상, 3권 수기 중, 4권 수기 하, 5권 정가(正家), 6권 위정(爲政) 상, 7권 위정 하, 별책 성현도통(聖賢道統)으로 되어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조선시대의 유학자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1568년(선조 1년) 선조에게 올린 일종의 상소문 형태인 차자(箚子). 전 1책. 목판본.

2. 퇴계는 《성학십도》를 만든 이유가 「덕을 쌓는 기초」(積德之基)를 밝히는데 있음을 강조한다. 즉 선조가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실현하여 줄 것을 기대하면서, 도(道)에 관한 학문의 요체를 도식과 함께 실었다.

3. 퇴계는 유학을 성학(聖學)이라 표현하고, 유학의 핵심을 10개의 도표와 그 해설로서 드러내었다. 도표는 태극도(太極圖), 서명도(西銘圖), 소학도(小學圖), 대학도(大學圖), 백록동규도(白鹿洞規圖),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인설도(仁設圖), 심학도(心學圖), 경재잠도(敬齋箴圖), 숙흥야매잠도(夙興夜昧箴圖) 등이다.

4. 내용 서술은 도표와 함께 반드시 앞부분에 경서(經書)와 여러 성현들의 글 가운데 적절한 내용을 인용한 뒤 저자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⑴ 10개의 도표 가운데 7개의도표는 옛 성현들이 작성한 것 중에서 가려 뽑아 이를 퇴계가 부분적으로 보완한 것이고, 나머지 3개의 도표는 퇴계 스스로가 작성한 것이다.

⑵ 퇴계 자신이 작성한 것은 소학도, 백록동규도, 숙흥야매장도 등이다.

⑶ 제 1도에서 제 5도까지는 천도(天道)에 근원하여 유학을 설명한 것이고, 제 6도부터 제 10도까지는 심성(心性)에 근원을 두고 유학을 설명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⑷ 퇴계의 성학십도를 일관하는 사상은 경(敬)이다. 그는 경(敬)의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곧 생각과 배움을 겸하고, 동(動)과 정(靜)을 일관하고, 마음과 행동을 합치시키고, 드러난 것과 숨은 것을 한 가지 되게 하는 도리라고 하여, 경(敬)이 유학자가 지녀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임을 강조하고 있다. 즉 경(敬)은 언제나 마음을 「깨어있는 상태」(惺惺)로 두게 하고, 욕심과 사념(邪念)을 없게 하여 사물의 본질을 헤아릴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원문은 『퇴계집』에 실려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인간의 성품은 본래 악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설

2. 순자(荀子)에 의하면, 사람의 성(性)은 선천적으로 악한 것이므로 배움과 수양을 통하여 선하게 바로잡아야 된다고 했다. ↔성선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인간의 타고난 성품은 본래 선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설.

2. 맹자(孟子)에 의하면, 인간의 성(性)은 측은(惻隱)․수오(羞惡)․사양(辭讓)․시비(是非)의 마음을 본래 가지고 있으며, 그 각각이 인(仁)․의(義)․예(禮)․지(智)의 4단(四端)이라고 하였다. ⇨성악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주자(周子)와 정자(程子) 등이 그들의 천리사상(天理思想)을 선진(先秦) 때부터 논의되기 시작한 유가(儒家)들의 성론(性論)과 노장사상(老莊思想)과 불교의 영향을 받아 이론적으로 심화시킨 철학적 체제

2. 유교의 심지(深旨)가 되는 천도(天道)와 인도(人道)가 합일되는 근거를 천명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주자학(朱子學)․정주학(程朱學)․송학(宋學)․도학(道學)이라고도 한다.

3. 성리학이라는 명칭은 주돈이(周敦頤)의 제자 정호(程顥)가 천리(天理), 정이(程頤)가 성즉리(性卽理)라고 말한 데서 기인한다. 그 후 주자가 주돈이․장횡거(長橫渠)․정명도(程明道)․정이천(程伊川)․나종언(羅從彦) 등의 학설을 계승하여 대성했다.

4. 성리학은 대체로 태극론(太極論)․이기론(理氣論)․심성론(心性論)․성경론(誠敬論)으로 구분된다. 태극론과 이기론은 자연의 존재법칙을 연구하는 우주론이고, 심성론과 성경론은 당위(當爲)를 문제삼는 실천 윤리로서 인사(人事)를 문제의 대상으로 삼는다.

5.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 안향(安珦)이 최초로 받아들였고, 정몽주(鄭夢周)․이색(李穡)․길재(吉再)를 거쳐 조선조에 이르러 크게 발달하였으며, 조선 중기에는 이황(李滉)․이이(李珥)에 이르러 그 전성시대를 이루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자신을 반성하여 참되게 실천에 임한다는 뜻으로 유학에서 수양(修養)하고 진학(進學)할 때 지켜야 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기본적 규범

2. 성의 개념은 경(敬)의 개념과 더불어 정신적 수양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유학자들이 사용하는 핵심적 용어이다.

3. 퇴계는 경을 중심으로 생각한 데 비하여 율곡은 성을 중심으로 생각하였다.

4. 주자에 의하면 성이란 이치가 나에게 있는 것을 의미하며 참되고 거짓이 없음을 뜻한다. 정호(程顥, 明道)는 맹자(孟子)가 “만물이 나에게 갖추어져 있다”고 한 말에 따라서 만물과 합일함으로써 인(仁)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사물의 이치를 깨달아 성과 경으로 간직해야 한다고 하였다. 성의에 이르지 않으면 마음과 만물은 합일되지 않고 서로 대립되는 상태에 있는 것이므로 즐거움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5. 율곡은 경은 용공지요(用功之要)이고 성은 수공지지(收攻之地)이며 경에 의해서 성에 이른다고 하였다. 경은 공부와 수양의 기본적 요건이며 그러한 노력을 통하여 거두는 바탕은 성에 의한다고 생각하여 둘은 비슷하지만 무실역행(務實力行)의 실천적 정신을 강조한 율곡은 경보다 성을 중심으로 생각하였다. ⇨경(敬)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서 국민 대중의 자제들을 위한 민간의 사설 교육기관

2. 서당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학(四學)과 향교(鄕校)에의 입학을 위한 준비기관이 었으나, 실제적으로는 지방의 청소년에게 한문(漢文)의 독해력을 이해시키고 유교에 대한 초보적 지식을 이해케 하는 데 적지 않은 역할을 하였다.

3. 설립은 기본자산(資産)이나 인가를 요하는 것이 아니었으므로 누구나 뜻있는 사람이면 훈장(訓長)한 사람과 방 한 칸으로써 마음대로 설치할 수 있었다.

4. 설립의 종류는 훈장자영(訓長自營) 서당․유지조합(有志組合) 서당․촌조합(村組合) 서당 등 네 가지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이는 모두 사설 교육기관으로 훈장․접장(接長)․생도로 조직되었는데, 훈장은 선생이며 접장은 학생의 대표를 말한다.

5. 서당의 교육내용은 강독(講讀)․제술(製述)․습자(習字)의 세 가지이었다. 강독은 처음에 천자문(千字文)으로부터 시작하여 동몽선습(童蒙先習)․통감(痛鑑)․명심보감(明心寶鑑)․경서(經書) 등으로 올라갔다.

6. 서당이 비록 사설기관이라 할지라도 국민대중의 문자교육과 국가문화에 영향을 지닌 이상 국가도 이를 장려치 않을 수 없었다.

7. 효종 10(1659)년에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에게 명하여 서당학규(書堂學規)를 제정케 하였으며, 이것이 소위 향학지규(鄕學之規)이다. 현재에도 산간벽지에는 서당이 간혹 남아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