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고시 교육학/교육학 용어 사전3 : 교육철학'에 해당되는 글 102건


1. 좁은 의미로는 이성에 의한 분별력 혹은 이성에 의해서 획득되는 생각이나 믿음

※ 충동과 같은 생리적 요구에 의한 반응이나 감각적 경험에 의해서 획득되는 생각과는 달리 이성의 작용에 의해서 분별되고 수용되는 인식의 내용이나 특징을 합리성이라고 한다.

2. 넓은 의미로는 어떤 생각이나 주장이 정당한 근거 혹은 이유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말

⑴ 단순한 감정의 표현이나 허망한 생각이 아니라, 객관화할 수 있는 증거 혹은 이유를 수반하는 주장․판단․신념의 특징을 합리성이라고 한다.

⑵ 이러한 의미의 합리성에서는 근거 혹은 이유의 이해방식이 다양하기 때문에, 그것을 분별할 수 있는 기준 혹은 준거가 일정하지 않은 일종의 개방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참된 인식의원은 인간의 이성(理性)이라고 주장하는 인식론의 학설

2. 합리론자들은 참된 인식은 필연성과 보편타당성을 지녀야 하는데, 인간의 경험은 사실성만을 제시할 뿐 필연성이나 보편타당성을 주지 않기 때문에 참된 인식은 오직 이성에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3. 합리론은 데카르트(R. Descartes)로부터 시작되어 스피노자(B. Spinoza), 라이프니쯔(G. W. Leibniz)로 이어지며, 영국을 중심으로 한 경험론(경험론)과 대립된다. ⇨ 경험론, 인식론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학자들이 연구 활동을 한 결과를 축적해 놓은 지식체계

2. 학문은 지식체계로서의 학문과 활동으로서의 학문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규정될 수 있다.

3. 그러나 「결과」로서의 학문은 그 결과를 낳기까지의 「과정」, 즉 활동으로서의 학문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4. 학문에는 이때까지 그 분야의 학자들이 발견, 축적해 놓은 개념과 탐구방법이 있으며, 현재 학문을 하는 사람들은 그 개념과 탐구방법을 써서 각각 관련된 현상을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5. 학문중심 교육과정에서와 같이 「학문」을 교육내용으로 할 경우에는 이 두 측면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지식의 구조, 내용과 과정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같은 부류(部類)의 대상이 공통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속성의 추상화가 개념(concept)이라 할 때 이 개념의 범주에 속하면서 이 범주 내의 다른 대상과 구별되는 속성을 가진 개념

2. 예컨대, 세 변이 세 각을 이루고 있으면서 이 세 내각의 합이 180°인 도형을「삼각형」이라고 개념화한다면 이러한 속성을 같이 공유(共有)하면서도 정삼각형․직각삼각형․이등변삼각형․예각삼각형․둔각삼각형 등은 서로 다른 특성(속성)을 보이고 있다.

3. 이때 이들 각 삼각형은 삼각형의 하위개념이 된다. 또한 참새․비둘기․꿩은 「새」에 대한 하위개념이 된다. ⇨ 상위 개념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서양의 근대적 정신과 문화, 그리고 근대사회적 구조와 체제가 재구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적-사상적 경향

2. 「포스트모던」이라는 말은 1950년대의 초기에 역사학자인 토인비(A. Toynbee)가 처음으로 사용한 이래 철학, 예술, 과학, 문화, 교육, 사회적 계획 등의 부문에 걸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3. 토인비는 이 말을 사용하면서 초근대적 시대에 임하면 다양성, 다원성, 무정부상태, 비합리성, 불확정성 등의 경향을 보인다고 하였다.

4. 「포스트모더니즘」은 과학이나 언어, 예술, 그리고 사회와 문화에 대한 합리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객관적 근거, 즉 궁극적 법칙이나 논리, 또는 구조를 인간의 이성에 의해서 찾아낼 수 있다는 계몽사상적 이성 혹은 합리성에 대한 믿음을 거역하고 보편적 이론이나 사상의 거대한 체제의 해체를 주장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5.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은 하나의 사상적 체제나 사조도 아니고 그렇다고 해서 일시적으로 유행하는 지식인들 혹은 문화인들의 취향도 아니다.

6. 그것은 시대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성을 뜻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특징적으로 절대주의적 사고나 신념의 붕괴, 권위주의적 제도나 행동에의 저항, 전체주의적 체제나 지배의 거부를 의미한다.

7.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지식, 가치, 그리고 제도는 인간경험의 우연성에서 기인한 것이며 그만큼의 상대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8. 이러한 경향으로 인한 가치체계의 붕괴는 허무주의를 발생시키고 이기주의와 아노미 현상을 초래케 한다는 우려도 있다.

9. 철학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은 데카르트 이후의 근대철학에서 선험적 판단의 권위를 의미하는 이성을 신봉하고 진리와 합리성의 절대적 기반이 존재한다고 믿고 있던 근대적 사고에 대한 도전의 형태로 나타난 움직임이다.

10. 그것은 진리와 합리성은 선험적-절대적 사유의 업적이라기보다는 역사적-사회적 산물이며, 필연적이고 항구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우연적이고 임의적인 것이며, 주어져 있는 것이라기보다는 인간의 관심과 목표와 삶의 형식에 의해서 성립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상대주의적 경향의 사고이다.

11. 푸꼬(M. Foucault), 리오따르(J. Lyotard), 쿤(T. Kuhn), 파이어아벤트(P. Feyerabend), 가다머(H. Gadamer), 맥킨타이어(A. Maclntyre), 로티(R. Rorty) 등의 여러 학파적 노선의 사람들이 데카르트(R. Descartes), 칸트(I. Kant) 등의 계몽사상가들에 의해서 주장된 이성의 개념에 대하여 비판을 가하고 있다.

12. 이러한 경향의 사고는 전통적 철학의 과제, 즉 궁극적 실재(實在)에 대한 선험적 확실성, 가치판단의 절대적 기준, 모든 지식에 공통된 인식론적 기반 등의 과제는 허황된 과제라고 본다.

13. 합리성은 맹목성을 지닌 것으로 가정되는 전통, 편견, 권위 등의 개념과는 대립되는 이성 즉 데카르트 이후의 근대적 개념의 이성이 지닌 속성이 아니라, 이미 우리가 소유하고 있는 편견 혹은 선입견(전이해)에 의해서 시작되는 이해 혹은 해석의 특징이거나 문제의 해결을 위한 도구적 힘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14. 그러므로 진리는 필연적인 것일 수가 없으며 공통된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일 수도 없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사물의 특징을 설명하고자 할 때 어떤 개념적 구조나 원리에 의해서 그것을 파악하는 인식(認識)의 틀. 형태․예시(例示) 모형(模型)과 비슷한말이다. ⇨ 모형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한 명제를 출발점, 혹은 기본적인 전제로 하여, 어떤 다른 명제를 도착점, 혹은 결론으로 획득하는 과정

2. 전제와 결론을 연결짓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련(一連)의 명제군(命題群)이 규칙에 따라 연결되어 있는 것을 논증(論證, argument)이라고 하며, 이러한 논증을 전개하는 것을 논리적 추리라고 한다.

3. 좁은 의미의 추리는 이 논리적 추리를 가리키지만, 논리적 추리 이외에 통계적(統計的) 추리․유추적(類推的) 추리․인과적(因果的) 추리 등이 있다.

4. 논리적 추리에는 개별적인 특징명제들을 일반화(一般化)하는 귀납적(歸納的) 추리와, 일반화의 명제에서 특징명제를 결론으로 도출하는 연역적(演繹的) 추리가 있다.

5. 통계적 추리는 일반적으로 귀납적 추리의 일종으로 본다.

6. 「연역적 추리」는 논리적 형식에 따라 전제에서 결론을 도출하는 논증의 과정을 통칭하는 것으로도 사용되며, 좁은 의미의 논리적 추리는 이러한 의미의 연역적 추리와 같은 말로 이해되고 있다. ⇨ 논증, 연역법, 귀납법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자신의 과거나 자기의 가족관계 또는 부모나 어떤 권위자에 대한 느낌을 자유롭게 문장으로 진술하 게 하는 방법.

2. 한 개인의 현재의 행동은 과거의 경험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과거에 어떤 사건이나 경험이 있었는지, 또 이에 대해서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를 아는 것은 현재의 한 개인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3. 특히 한 개인의 출생지․생년월일․교육 및 직업경력․취미 및 특기 등에 관한 과거사실에 대한 자료는 그의 미래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예언능력을 갖고 있다.

4. 이것을 특히 전기적 방법(傳記的方法)이라고 부른다.

5. 한 개인의 전기적 자료는 그의 현재의 학업성취의 가능성, 작업에서의 성공, 또는 일에 있어서 창의성 등을 예언하는 지표로 이용되는 수가 많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보수주의 혹은 전통주의에 대한 반항적 사조(思潮)나 운동

2. 교육사조로서의 진보주의는 1918년에 아동중심 교육을 주장하던 미국의 교육학자․심리학자들이 「진보주의 교육협회」(The Progressive Education Association)를 결성한 데서 본격적으로 출발한 교육운동을 뜻한다.

3. 진보주의는 루소(J. J. Rousseau)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의 영향을 입은 19세기 유럽의 「신교육운동」(The New Education Movement)과 19세기 말에 발달한 심리학과 아동에 관한 연구가 고조된 것에 관련하여 20세기의 초기에서부터 미국사회에서 전개된 교육사조이다.

4. 전통적인 귄위주의와 성인중심적 교육관에서 탈피하여, 아동의 개성․흥미․욕구․적성․자발성 등을 교육의 중요한 원리로 삼고 외부의 강제나 통제에 의한 교육을 배척하는, 이른바 아동중심 교육이 진보주의 교육운동의 동기이다.

5. 그러나 미국 사회가 1930년경에 대경제공황(大經濟恐慌)을 겪는 동안 진보주의가 사회의 비판적 여론의 대상이 되자, 사회적 문제의 해결을 위한 관심을 높이게 되었다. 그리하여 초기의 진보주의가 아동중심적 특징을 가진다면 후기의 진보주의는 사회문제 중심적 특징을 가진다. 지역사회 학교 생활중심 교육 등은 후기 운동의 두드러진 특색이다.

6. 진보주의는 전통주의적 특색을 지닌 물질주의(物質主義, essentialism)와 항존주의(恒存主義, perennialism) 등의 저항을 받았지만, 현대의 민주적 교육의 본질을 정립하는 데 미친바 공적은 높이 평가받을 만하며, 미국사회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의 교육 일반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어떤 명제가 사실에 정확하게 맞는 것, 또는 논리의 법칙에 모순되지 않는 바른 판단. 허위(虛僞, falsity)와 더불어 명제의 특징을 나타내는 말이다.

2. 진리는 참 혹은 거짓으로 분별될 수 있는 명제로서의 문장이나 기호나 표현에 관한 것이다.

3. 신념․주장․이론 등에 진리의 개념이 적용되는 것은 그것들이 명제이거나 명제의 체제이기 때문이다.

진리의 본질에 관한 전통적인 학설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⑴ 대응설(對應說, correspondence theory)로서, 한 명제가 진리라는 것은 그 명제가 표현하는 대상으로서의 사실이 있고 그 명제에 의해서 표현된 의미는 대상과 일치한다는 것을 뜻한다. "지금 비가 오고 있다"는 명제는 실지로 지금 비가 오고 있다면 진리라는 것이다.

⑵ 정합설(整合說, coherence theory)로서 진리는 체계적인 정합을 뜻한다는 것이다. 전체적 구조 속에서 하나의 요소로서의 한 명제는, 다른 모든 명제와 논리적으로 의미 있게, 일관성 있게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뜻하는 정합을 만족시킬 때 진리라는 것이다.

⑶ 실용설(實用說, pragmatism)로서, 한 명제가 진리라는 것은 그것에 관심을 둔 사람의 의도를 결과적으로 만족시키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4. 그 명제가 본래의 기대대로 기능을 한다는 것은 그것이 진리임을 입증하는 것이라는 생각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