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엄밀한 논리적 추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문제의 해답을 생각해 내는 추리작용

2. 직관적 사고에는 여러 층이 있다. 예컨대 피아제(J. Piaget)의 지적 발달이론에서 「조작」을 할 수 없는 단계의 아동이 하는 사고도 직관적 사고요, 오랫동안 학문을 연구한 학자들이 세밀한 논증(論證) 이전에 해답을 생각해 내는 것도 직관적 사고이다.

3. 그러므로 직관적 사고는 옳을 수도 있고 그릇될 수도 있다. 그것이 옳은 것으로 입증되기 위해서는 다시 엄밀한 논리적 추리(推理)나 경험적 검증(檢證)에 의하여 확인되어야 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사유(思惟) 혹은 추리(推理)와 대립되는 인식능력이나 작용

2. 사유가 반성(反省)과 분석(分析)을 통해 사태의 일면을 파악하는 데 반해, 직관은 순간 속에서 사태를 전체적으로 파악하나 분석처럼 명확하지 못하며, 직관하는 자에게는 명확하게 인식되었다 하더라도 그것을 타인에게 전달할 수 없다.

3. 직관은 어떤 사상(思想)에 대한 비반성적(非反省的) 공감(共感), 즉 자아(自我)와 사상의 일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경험적 직관과 본질적 직관으로 구분될 수 있다.

⑴ 경험적 직관이란 사상을 순간적으로 직감(直感)하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상대방의 표정에서 그의 감정의 상태를 짐작한다든지 타인의 첫 인상에서 장래 그와의 관계를 헤아리든지 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개인적 정신능력이나 판단에 기초하기 때문에 비합리적이다.

⑵ 본질적 직관이란 경험에 전혀 의존하지 않고 사실을 파악하는 능력으로서 기하학적 공리에 대한 인식이 여기에 속한다.

4. 직관은 사유가 단절되는 데서 발휘되는 인간의 정신능력이라 볼 수 있기 때문에 명증적(明證的)이며, 분석적 사유가 궁극적으로 의존하는 최고의 인식능력이라 할 수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하나의 명제(命題)가 지식인지 아닌지를 구별해 주는 기준

2. 그 명제가 지식으로 인정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하는 조건을 말하며, 신념조건(信念條件, belief condition)․진조건(眞條件, truth condition)․증거조건(證據條件, evidence condition)의 세 가지가 있다.

3. 우리가 "갑돌이는 P를 안다"고 말할 수 있으려면, 갑돌이는 P가 참임 [眞條件] 을 믿어야 하며 [信念條件], 갑돌이는 그것이 참임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세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지 못하는 명제는 허위 또는 거짓 신념이다. 세 조건 중 증거조건은 생략되는 수가 있지만 일반적 경우가 아니며, 학자들 중에 방법조건(方法條件, 증명하는 방법이 타당한 것이어야 함)을 추가하는 사람도 있으나, 그것은 증거조건의 일부로 간주되는 것이 보통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올바른 근거에 입각한 참 신념(信念), 즉 감각경험(感覺經驗)이나 타당한 추리(推理)를 통하여 대상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어서 의문(疑問)에 의하여 혼란되지 않는 마음의 상태. 통속적으로는 이 상태를 언어로 표현한 진술(陳述)을 뜻하기도 한다.

2. 지식은 일종의 신념이므로, 역시 단속적(斷續的)인 의식상태이며, 따라서 성향(性向)의 일종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예컨대 "지구는 둥글다"는 것을 「안다」는 것은 그것을 끊임없이 의식하고 있다는 뜻이 아니라, 의식하려고 하면 언제나 동일하게 의식할 수 있다는 뜻이다.

3. 지식에는 과학의 경우처럼 물질적 대상에 관한 지식(knowledge of things)과 논리나 수학의 경우처럼 비물질적 대상인 진리(眞理)에 관한 지식(knowledge of truths)이 있다. 물질적 대상에 관한 지식은 감각경험을 통해 직접 경험함으로써 얻기도 하고, 그렇게 얻어진 것을 전제(前提)로 추리하여 얻기도 한다. 전자를 지각적 지식(知覺的知識, knowledge by acquaintance), 후자를 서술적 지식(敍述的知識, knowledge by description)이라고 한다.

4. 직접 경험을 통하여 대상을 아는 경우를 인식(認識)이라고 하며, 추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대상을 아는 경우를 이해(理解)라고 한다. ⇨ 신념, 진술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실재(實在, reality)는 명확한 표상(表象, idea)들로써 표현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학설. 모든 지식은 순수한 이성의 기능에서부터 나온다고 믿는다.

2. 지성(知性, intellect)을 모든 판단의 기본적인 원천으로 보고 그 가치를 존중하는 사상. 고도의 추상적․개념적 조작(操作)의 능력을 인간능력 지상의 것으로 생각하고 그 가치를 존중하는 학문과 교육의 사상을 통칭하여 주지주의라고 한다. ⇨ 지성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주입적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교육

2. 이 말은 원래 중세 가톨릭 교회에서 초 개인적(超個人的)인 교의(敎義)를 누구에게나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고 주입한 데서 유래한 것이다.

3. 주입식 교육에는 두 가지 입장이 있다.

⑴ 절대주의적인 입장으로 개인을 전체의 한 부분으로 보고 비과학적이며 전체주의적인 교조(敎條)를 일방적으로 학생들에게 주입함으로써 학생의 이성의 작용을 억압하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듀이(J. Dewey)를 비롯한 진보주의자(進步主義者)들은 주입식 교육을 비교육적인 것으로 판단한다.

⑵ 면밀히 계통화된 과학과 기술의 기본을 아동에게 주입시키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입장이다. 소련의 교육학자 오고르드니코프(I. J. Ogorodnikov)․카운츠(G. S. Counts) 등의 집단주의(集團主義, collectivism)가 이러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 주입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사물의 인식이나 실천상의 원리를 주관에 기초하여 생각하는 관점

2. 주관은 인식의 주체나 실천의 당사자가 감각적․감정적․의지적 상태에 의존하여 관점을 취한 것을 뜻한다.

3. 인식론에서의 주관주의자는, 외계(外界, external world)에 대한 인식은 인식자의 감각․감정․의지 등 개인적 심리상태에 의해서 좌우되며 그것에서 추리된 결과라고 생각한다.

4. 가치론에서의 주관주의자는 도덕적-미적 가치는 주관적인 감정과 개인적 반응에 불과하며, 그 이외의 어떤 또 다른 것이 객관적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5. 말하자면, 주관주의는 인식의 내용이나 실천의 원리가 인간의 심리적 과정 밖에 별도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주관주의자들에게 있어서의 객관주의는 오직 주관적 주장들의 공통된 일치에 불과하다. 객관주의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개인의 독특한 사적(私的) 경험을 반영하는 성질

2. 타인이 확인할 수 없는 개인의 경험을 의미하기도 해서 편파적이거나 비과학적인 뜻으로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3. 주관적 경험도 여러 개인 사이에 일치를 보게 되면 문화적으로 객관성을 띠게 된다. 사회적으로 합의(合意)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진리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사회적으로는 그것이 진실인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 객관성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어떤 술어를 정의하고자 할 때, 그 술어가 포함되는 명제의 진위(眞僞)를 판별할 수 있는 조건을 지시하여 정의하는 것.

2. 조작적 정의는 성향(性向, disposition)을 나타내는 말에 적용된다. 예컨대, 소금의「용해성」(溶解性)이라는 말을 정의하고자할 때, 그 말이 적용되는 "소금은 용해성을 가진다"라는 문장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해서 조작이 가해진다면, 그것은 소금을 물 속에 넣는 일이다. 소금의 「용해성」이라는 말은 "소금을 물 속에 넣으면, 그것은 녹는다"는 뜻이다.

3. 조작적 정의는 “-한 조건하에서” 식으로 조작의 사태를 제시하고 “~한다"는 식으로 관찰 가능한 사실을 표현한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성향개념은 조작방식에 따라서 여러 개의 조작적 정의를 갖는다. ⇨ 조작주의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일반적으로 개념의 의미를 결정하는 일

2. 철학에서는 개념의 애매성(曖昧性)과 모호성(模糊性)을 제거하기 위하여 그 개념의 내포(內包)와 외연(外延)을 분명히 하는 것을 정의라 한다. 그러나 보다 엄밀하게는, 개념의 내포를 분명히 하는 것을 정의라 하고 개념의 외연을 분명히 하는 것을 구분(區分)이라 하기도 한다.

3. 정의는 약정(約定, convention)을 공식화한 것이기 때문에 약정의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개념의 일상적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사전적(辭典的) 정의, 내포와 외연의 모호성을 인위적 약속에 의하여 제거하기 위한 약정적(約定的) 정의, 이론적으로 개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이론적(理論的) 정의, 남을 설득하기 위한 설득적(說得的) 정의 등이 있다.

4. 그러나 논리학에서는 주로 내포적 정의와 외연적 정의로 구분한다. 내포적 정의는 유(類)와 종차(種差)에 의해서 종개념(種槪念)을 정의하는 것을 말하며, 외연적 정의는 그 개념의 외연에 속하는 개체들을 열거하여 정의하는 것이다. ⇨ 정의항, 피정의항, 설득적 정의, 강령적 정의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