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평가도구가 측정하려고 하는 대상의 내용 그 자체를 재고 있는 충실성

2. 그 평가에서 재고 있는 것이 무엇(what)이냐 라는 개념과 관련되어 있다.

3. 예를 들면 추리력을 측정하려면 추리력을 측정해야지 기억력을 측정해서는 안 되며, 지능을 측정한다고 하면서 학력을 측정해서도 안 된다.

4. 이와 같은 타당도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그 정도를 따진다.

⑴ 안면 타당도(顔面妥當度, face validity) : 검사의 구성내용으로 보아 그 검사가 두엇을 재고 있는지를 피검사자의 주관적 인상에 따라 기술하게 하는 방법

⑵ 내용 타당도(內容妥當度, content validity) : 전문가가 그 검사와 관련된 정의 전제․가설 등을 기초로 하여 그 검사내용의 타당성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방법

⑶ 구인 타당도(構因妥當度, construct validity) : 측정대상의 속성에 따라 이론적 가설의 검증을 통하여 밝혀진 검사내용 및 득점에 관한 타당도

⑷ 예언 타당도 (豫言妥當度, predictive validity) : 검사종료 후 상당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 검사 득점과 그 검사에서 목적으로 하였던 행동특징과의 상관도를 보아 그 검사의 타당성을 문제 삼는 방법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컴퓨터화(化) 검사의 제 2세대로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전에 만들어진 문제은행으로부터 피험자의 능력수준과 일치하는 난이도 수준의 문항을 제시하고, 그 뒤 문항의 정답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난이도 수준의 새로운 문항이 제시되어 문항반응 결과에 따라 피험자의 능력이 추정되는 컴퓨터를 이용한 검사방법

2. 컴퓨터 능력 적응검사의 특징은 지필 검사나 컴퓨터 이용검사처럼 모든 피험자에게 동일문항이 제시되고 그 동일한 문항에 응답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제시된 문항의 정답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문항이 문제은행으로부터 제시된다.

3. 현재 제시된 문항의 정답여부에 의하여 다음에 제기되는 문항은 사전에 조정된 문제은행으로부터 문항 난이도 수준에 따라 제시되며, 각 피험자의 능력도 문제은행에 의하여 사전에 조정된 능력척도에 의하여 추정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4. 컴퓨터 능력 적응검사의 기본 구성요소로서 문제은행, 문항반응모형 선택, 검사 출발시 첫 번째 문항 선택 방법, 전번 문항의 정답여부에 따라 다음 문항을 제시하는 분지규칙(branching rule), 채점방법 그리고 검사종료의 기준을 든다.

5. 검사문항이 피험자에게 어렵지도 쉽지도 않을 때 피험자의 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원리에 입각하여 맞춤검사(tailored testing)란 용어가 출현하였으며, 맞춤검사에서는 다음에 제시될 문항이 현재 제시된 문항의 정답여부에 달려 있으며, 답을 맞혔을 경우는 보다 어려운 문항이, 그렇지 못하였을 경우는 보다 쉬운 문항이 제시된다.

6. 초기의 맞춤검사는 이론적으로나 실용적으로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전이 늦어지다가, 문항반응이론의 발전과 개인 컴퓨터의 일반화로 말미암아 컴퓨터 능력 적응검사라는 이름으로 독특한 새 영역을 정립하게 되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한 측정치가 갖는 정보의 수준. 수치의 정보 수준에 따라서 명명척도(命名尺度)․서열척도(序列尺度)․동간척도(同間尺度) 및 비율척도(比率尺度)의 네 가지로 분류된다.

 ① 명명척도 - 단순히 사물을 분별하기 위하여 또는 어떤 명칭의 대신으로 사용하거나 분류를 목적으로 숫자가 배정되는 경우를 말한다.

예) 축구선수의 등에 붙은 숫자나 지질학자가 수집한 각종 광석에 붙이는 숫자 등으로, 여기에서 숫자의 기능은 특정한 사물을 지칭하거나 분류유목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될 뿐이다.

 ② 서열척도 - 한 속성의 측정결과가 보다 크다든가 적다든가의 순위에 관한 정보를 줄뿐, 수의 크기가 얼마만큼 크냐를 나타내지 못하는 척도이다.

예) 학생들의 키 순서로 정한 등위, 운동대회의 순위, 학교석차 등은 보다 낮다 또는 못하다의 정보를 줄 뿐 등위의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가 바로 얼마만큼 좋으냐 또는 못하냐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③ 동간척도 - 서열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척도상의 숫자의 크기는 얼마만큼 크냐의 양의 정도를 나타낸다.

예) 온도의 측정으로 온도계의 눈금의 크기는 숫자의 크기만큼의 열량을 나타낸다. 그러나 온도계의 「0」점은 열량이 없다는 것이 아닌 임의의 0점이 된다.

 ④ 비율척도 - 자연적 0점을 가진 척도가 된다. 이 척도 상에서 「0」이라는 것은 그 속성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 길이․무게 등은 그 측정치가 0일 때는 그 속성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얻어진 하나의 표집(標集)을 통하여 전집(全集)의 모수치(母數値)를 추정하는 통계적 방법

2. 이를 표집통계, 또는 귀납적 통계 방법이라고도 부른다. 기술통계(記述統計)는 주어진 집단을 요약, 기술하는 데 관심이 있는 반면에, 추리통계는 한 표집에서 얻어진 통계치(또는, 표집치)를 통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집의 전집치(또는, 모수치)를 추정하는 데 관심이 있다.

3. 예를 들어 한 표집에서 얻어진 산술평균치를 X라고 하면, 이 X를 통하여 이 표집을 대표하는 전집의 평균 μ를 표집오차를 고려하여 추정하게 된다. 이 추리통계적 방법에는 전집치가 어떤 일정한 값을 갖는다고 생각하고, 이를 가설로 설정하여 검증하는 가설 검증방법, 전집치의 값을 일정한 범위를 갖고 추정하는 신뢰구간 설정방법(信賴區間設定方法) 및 전문적․주관적인 견지에서 일정한 방법으로 표집한 표집치를 전집치로 대용하는 점추정방법(點推定方法)의 세 가지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 기술통계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1970년대에 미국에서 고등학교 졸업생이 자신의 취직을 위한 이력서조차 쓰지 못하고 있다는 산업기관으로부터의 비난과 일반시민의 관심 그리고 교육의 책임성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된,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학생의 졸업자격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2. 최소성취(minimum achievement)검사라고 하지 않고 최소능력검사라고 한 것은 시험의 목적이 기초적인 기능 및 실생활에서 적용되는 실제적인 능력에 초점을 둔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3. 또한 이러한 최소능력검사의 목적은 학교가 학생들에게 최소수준의 능력을 함양하였는가의 교육의 책무성을 따지는 목적만이 아니라 학생의 입장에서 학습권, 좀더 나아가 성취권의 권리의 주장이라는 견지에서도 그 실천의 의의를 갖고 있다.

4. 즉 학생은 학교로부터 일정한 최소수준의 성취를 보장받을 권리가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는 의미에서도 최소능력검사는 그 의의를 갖고 있다.

5. 현대에 미국의 50개의 주 중에서 48개의 주가 이러한 최소능력검사라는 견지에서 고등학교졸업 직전의 학생에게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6. 만약에 이 시험에 통과를 하지 못한 학생은 졸업장 대신에 수료증을 주게 되며 후에 다시 이 시험에 응시하도록 하고 있다.

7. 또한 성취권의 보장이라는 견지에서 고등학교 1, 2학년 때에 예비시험을 치르고 일정한 수준에 이르지 못한 학생에게는 교정학습이나 보충학습을 하도록 조치하는 경우도 있다.

8. 최소능력검사는 절대기준검사의 한 형태이지만 다른 점은 주어진 목표별로 구체적인 성취수준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총점으로 나타내고 있다는 점과 그 측정의 목표가 학력의 측정이라는 성취측정보다는 일상생활에서 실제적으로 요구되는 기초적 능력의 측정이라는 점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9. 그러나 절대기준검사와 마찬가지로 최소능력의 달성수준과 그 달성내용목표를 설정하는 데에 객관성과 일관성이 없다는 데서 많은 실천상의 애로점을 갖고 있다.

10. 이러한 최소능력검사 운동은 초등학교 또는 중학교를 졸업하는 학생에게도 적용하고자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세계 각국에서도 미국의 이러한 최소능력검사운동의 영향을 받고 이러한 유형의 시험형태가 행하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집중경향치(集中傾向値)의 하나로서 점수분포상에서 가장 빈도가 많은 점수. 흔히로 표시한다.

2. 예를 들어 12, 12 14, 14, 18, 18, 18, 18, 19, 20, 20의 경우처럼 묶지 않은 자료에서는 18이 그 빈도가 4로서 가장 많으므로 최빈치가 된다.

3. 일정한 급간으로 묶은 자료에서는 가장 빈도가 많은 급간의 중간점이 최빈치가 된다.

4. 때로는 그 분포가 낙타의 등처럼 최대의 빈도를 가진 점수가 두 개 있는 경우에는 이중최빈치(二重最頻値)라고 부르며, 이 경우에는 두 개의 최빈치의 합의 평균을 내거나 또는 두 개의 최빈치로서 나타낼 수밖에 없다.

5. 최빈치는 손쉽게 분포의 경향을 빨리 알아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표집에 따른 변화가 가장 크고 또한 어떻게 자료를 묶느냐에 따라 변화가 커서 다른 집중경향치 중에 가장 안정성이 적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 집중경향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피검사자에게 어떤 반응을 요구하느냐에 따라 표준화심리검사를 분류하는 한 방법으로 대표적 행동표현검사와 최대능력검사로 나눌 수 있는데 피검사자로 하여금 주어진 검사에서 최대능력을 나타내도록 요구하는 검사

2. 최대능력검사에는 학력검사․지능검사 또는 적성검사와 같이 인간의 지적 영역을 측정하는 검사들이 속한다.

3. 최대능력검사는 피검사자에게 최대능력을 나타내도록 요구하기 때문에 대표적 행동표현검사에서와 같이 피검사자가 의도적으로 검사결과를 왜곡시키기는 어렵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4. 또한 최대능력검사는 주어진 일정한 시간 내에 얼마만큼 문제를 해결하느냐 하는 속도검사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 대표적 행동표현검사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머레이(Murray)가 《인성의 탐구》(1938)라는 저서에서 처음 사용. 전인격평가 혹은 총인격평가 라고도 한다.

2. 그 뒤 O.S.S.총평(1948)에서 사용했던 것이 이 용어가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이며 전인격 평가와 같은 개념이다.

3. 즉 개인의 행동특성을 특별한 환경, 특별한 과업, 특별한 준거상황에 관련시켜 의사결정을 하려는 것을 말한다.

4. 따라서 총평의 분석방법은 개인이 달성해야 할 어떤 준거의 분석과 이 개인이 생활하고, 학습하고, 작업해야 할 환경의 분석에서 출발한다.

5. 총평에서는 환경이 강요하는 심리적 압력, 요구하는 역할이 무엇인지를 결정해야 하며, 그 사이에 존재하는 단계적 순서, 일관성 및 갈등을 분석 결정하는 일이 중요한 목표가 된다.

6. 그런 다음, 이 환경 속에서 생활하고 학습해야 할 개인에 관한 증거, 예컨대 취약점과 장점, 욕구, 인성특성, 능력 등을 결정하게 된다.

7. 따라서 분석의 순서로 보면 환경이 요구하는 압력이나 역할을 분석하는 과정이 먼저 오고, 다음에 개인의 특성이 이에 적합한지 어떤지를 분석, 결정하게 된다.

8. 총평의 관점은 임상에 임하는 의사의 임상적 평가방법(clinical evaluation)과 유사하며, 측정방법에 있어서는 계량적인 측정방법 이외에 전체적이며 때로는 직관적인 판단, 질적인 평가방법, 과거-현재-미래를 통합한 판단이 이용된다.

9. 총평에서 사용하는 개인에 관한 정보의 수집은 구조화된 객관식 검사형태, 비 구조화된 투사적 방법, 자기보고방법, 관찰, 면접, 장면검사, 역할연출, 자유연상법 등의 다양한 형태를 통해 이루어진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논문형 학력검사나 투사적 검사에 있어서 채점자간의 일치도 또는 평정척도에 있어서 평정자간의 일치도의 정도

2. 일련의 논문형 검사에서 두 채점자간의 신뢰도는 두 채점자가 동일한 검사에 배당한 두 점수간의 상관관계로써 추정할 수 있다.

3. 두 채점자간의 점수간의 상관을 구한 다음 이를 스피어만-브라운 예언공식에 의해서 그대로 검사의 길이가 증가된 경우, 즉 k=2인 경우에 기대되는 신뢰도 계수를 추정하면 될 것이다.

4. 또한 두 명 이상 여러 명의 채점결과의 평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채점자의 수를 K라고 하면 검사의 길이를 K배로 늘렸을 때 기대되는 신뢰도 계수를 스피어만-브라운 예언공식에 의해서 구하면 된다.

5. 그러나 여러 채점자 중 어느 한 점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채점자간의 신뢰도를 구하는 방법은 유목 내 동질성 상관계수 ρ(populatio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적용해야 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피검사자(被檢査者)에게 문제지를 나누어 주고 연필이나 펜으로 답을 쓰게 하는 방법의 검사.

2. 이 방법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나 간편하고도 경제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여러 가지 내용과 형태의 검사를 측정에 사용된 도구의 성질에 따라 나우어 보면 각종 검사는 지필검사 외에도 면접검사,동작검사,기계검사,영화검사 등으로 분류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