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크라테스가 당시의 아테네 지식인들과 대화하던 방법

2. 플라톤(Platon)의 《대화편》에서 그 실례들을 볼 수 있다. 소크라테스의 일생 목표는 사람들을 무지(無知)의 세계에서 애지(愛知)의 세계로 인도하려는 것이다.

3. 소크라테스는 반어법(反語法)을 사용하여 무지를 자각하게 하였고 산파술(産婆術)로서 무지의 자각에서 출발하여 진지(眞知)를 파악하게 하였다. 따라서 이 반어법과 산파술은 대화법의 중요 구성요소이다.

4. 그러나 반어법과 산파술은 각각 별개의 요소가 아니라 대화법 전체에 흐르는 정신에 의하여 지배된다. 즉, 반어법을 쓰는 가운데에는 이미 산파술이 작용하고 산파술을 쓰는 가운데 이미 반어법의 사용이 포함되게 마련이다.

5. 소크라테스는 사람들의 무의식적 무지에서 의식적 무지로 이끌어서 그 의식적 무지에서 참다운 진리로 이끌어가기 위하여 사람들과 대화를 한 것이다.

6. 대화의 목적은 모든 사람에게 올바른 사고를 하도록 가르쳐 주는 것이다. 오늘날의 교육에서 교육방법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교육의 세속성을 확립하려는 정신에 따라 세워진 학교

2. 서양의 경우 학교는 종교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발달하였다. 다시 말하면 종교단체가 학교를 직접 운영하면서 자신의 종교를 보급하려는 데서 학교교육 제도가 발달한 것이다. 그러나 차츰 근대국가의 발달과 더불어 교육에서 종교의 세력을 배제하고 급기야 학교교육에서 종교를 완전히 분리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3. 프랑스의 경우 1882년 법률로써 공교육(公敎育)으로부터 종교를 분리시키고 다시 1904년경에는 종교단체에서 교육을 행하는 것마저 금하게 되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원시사회에서 일정한 연령에 도달한 소년 혹은 소녀에게 그 사회의 일원으로서 필요한 규범․가치․부족(部族)의 역사․생활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 등을 가르치고 성인(成人)이 됨을 축하하기 위해 행해지던 의식(儀式)

2. 성년식은 반드시 성년이 되는 과정에서만이 아니라, 어떤 특정한 사회의 성원이 된다든가, 어떤 작업집단에 속하게 되는 과정에서도 행하여진다.

3. 성년식의 목적은 소년기에 종지부를 찍고 신체적․정신적 성숙을 축하하며, 가족의 일원임을 벗어나 사회의 일원으로서 재생시켜 교육받을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데 있다.

4. 주로 남자에게 행해졌으며, 부족단위의 큰 행사로 그 기간도 며칠씩 걸리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하나의 형식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

5. 성년식에 참여할 수 있는 연령과 의식의 절차는 부족마다 달랐으나, 대개 10세에서 18세 사이에 각 부족의 종교적 의식을 빌어 실시되었다. 교육적 입장에서 볼 때 성년식은 소년으로 하여금 가정교육의 테두리를 벗어나 여러 가지 사회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배우고 당당한 사회의 일원으로서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다.

6. 영국의 교육 철학자 피터스(R.S. Peters)는 교육을 성년식에 비유하여 설명하였다. ⇨ 피터스에 따르면 교육은 새로운 세대에서 기성(旣成) 문화체제에 입문케 하는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고려․조선조 때 있었던 유학교육의 최고학부

2. 신라시대는 국학(國學), 고려시대는 국자감(國子監) 등으로 불리었다. 조선조 시대에는 태조 7(1398)년에 숭교방(崇敎坊; 明倫洞)에 창설되었다.

3. 공자를 비롯한 성현을 제사하는 문묘(文廟)와 유학을 가르치는 명륜당(明倫堂), 그리고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서 양재(東西兩齋) 및 부속 건물의 총칭이다.

4. 문묘의 정전(正殿)인 대성전(大成殿)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의 유학자(94명)와 우리나라 유학자(18명)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5. 성균관의 관원으로는 지관사(知館事; 弘文館․藝文館大提學)을 두고 전임관원으로 대사성(大司成) 1명, 제주(祭酒) 2명, 사성(司成) 1명, 사예(司藝) 2명, 사업(司業) 1명, 직강(直講) 4명, 전적(典籍) 13명, 박사(博士) 3명, 학정(學正) 3명, 학록(學錄) 3명, 학유(學諭) 3명이 있었다.

6. 박사 이하는 정원 외에 봉상시(奉常侍)의 관원과 사학(四學)의 훈도(訓導)가 겸직하였다.

7. 성균관 유생의 정원[額]은 200명으로 생원(生員)․진사(進士)만 들어갈 수 있었으나 부족할 경우에는 사학의 생도 가운데서 보충하였다. 뒤에 경비부족으로 120명, 말기에는 100명으로 감축되었다.

8. 구한말인 1895년에는 성균관 경학과(經學科)를 부설하여 근대식 유학교육을 교수하였으며, 일제시대에는 문묘 향사의 기능만이 유지되다가 경학원(經學院)이 설치되기도 하였다. 이는 명륜전문학교에서 성균관대학교로 발전되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영국의 오웬(R. Owen)이 스코틀랜드의 뉴라나크(New Lanark)의 방직공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자녀를 위해 1816년에 창설한 유아학교(幼兒學校)의 이름

2. 뉴라나크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작업과 생활상태를 개선해 주기 위해 창설된 이 성격형성학원의 주목표는 「어린이들에게 좋은 일상생활 습관을 길러주는 것」이었고, 그 외에 읽기․쓰기․산수․지리․현대사․고대사․박물학․율동․음악 등을 가르쳤다. 이 성격형성학원이 오늘날 영국 유아학교(infant school)의 기초가 되었다.

⇨유아학교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칸트(I. Kant)의 인식론에서 사용된 기본개념의 하나로서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확실성을 보장하는 종합판단을 일컬음

2. 「선험적」이란, 경험에 의존하지 않은 혹은 경험에 선행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경험적」(a posteriori)이라는 말에 대립되는 개념이다.

3. 칸트는 보편적이고 필연적인 지식은 경험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합리론(合理論, rationalism)을 수긍하였으나, 그것이 분석적 판단에 의한다는 것을 받아들이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분석적 판단은 기존의 관념이나 지식에 관한 것으로서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세계에 관한 새로운 지식을 더 이상 제공하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4. 그리하여 칸트는, 확실한 지식은 선험적 종합판단에 의한 것이거나 그것에서 논리적으로 추리된 것으로 보았다. 그는 확실한 지식의 예로서 「7+5=12」라는 수학적 명제를 들고, 그것을 종합적 판단이라고 하였다. 왜냐하면, 주부(主部)인 「7+5」는 술부(述部)인 「=12」를 개념적으로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을 선험적이라고 하였다. 왜냐하면 주부와 술부의 결합은 경험에 의존하여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순수한 직관에 의해서 인식되기 때문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1760년 영국에서 시작한 산업상의 대변혁

2. 생산체제가 수공업적 가내공업에서 공장제 기계공업으로 바뀐 것

3. 단순히 생산체제만 변화된 것이 아니라 경제기구․사회구조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프랑스의 산업혁명은 영국보다 30~50년 늦게 7월 왕정 하에서 본격적 진전을 개시하였으나 그 속도는 완만하게 제 2 제정기에야 겨우 완성기에 들어갔다. 독일의 산업혁명은 영국․프랑스보다 늦어 1830년대부터 겨우 방직업에서 기계가 도입되기 시작하여 1850년대부터는 석탄․철강․산업 및 철도로 아울러 발흥하게 되었다. 이 산업혁명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지반을 구축하게 되었다.

4. 산업혁명은 교육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새로운 문제를 가져왔다.

⑴ 빈민계층의 교육문제

⑵ 비숙련공․부녀자․소년근로자의 교육문제

⑶ 공업도시 주변의 퇴폐적 환경의 교육적 정화에 관련된 문제 등

5. 오웬(R. Owen) 등은 이들을 위한 빈민학교를 세워 교육사업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사회의 평균적 수준에 비하여 소득이 적고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교육.

2. 빈곤의 발생은 가계 중심자나 가족의 실업(失業)․저임금․질병․상해(傷害)․낭비․다자녀(多子女)등의 특수사정에 의한 때가 적지 않지만 사회적 요인도 적지 않다.

3. 이들의 교육문제는 도시 뿐만 아니라 농촌에도 많다. 어린이들은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건전하게 육성되어야 하나 빈곤한 가정의 어린이는 그렇지 못하다. 물질적인 면에서 보면 의식주의 빈약성이 현저하고, 교양․오락을 위한 시설환경이 미흡하다. 정신적 면에서 보면 부모의 저학력․저 교양으로 인한 교육의 관심도에 문제가 있고(무관심․방임 등), 어린이들은 가계보충을 위한 일에 종사하는 때가 많아 학업에 지장이 크다.

4. 청소년비행과의 관계도 문제이다. 인간성에서 욕구불만․진학단념․열등감․가정불화의 영향 등도 고려된다. 사회복지 정책이 필요한 하나의 이유라고 하겠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17~18세기 영국에서 나이 든 부인(dame)이 자신의 또는 다른 부인의 거실이나 부엌에 어린이들을 불러 모아 가르치던 학교.

2. 어린이들은 주로 초등학교 과정에 들어가기 전인 소년․소녀들이었다.

3. 부인의 자질이나 성격에 따라 가르치는 내용에 있어서 다소간 차이가 있었지만, 읽기와 예법이 주로 가르쳐졌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전통적인 유아교육(幼兒敎育)에서 나이별로 집단을 형성하는 데 반하여, 주로 한 교실에 3세부터 6~7세의 어린이를 함께 섞어 교육하는 방법.

2. 몬테소리(M. Momtessori)프로그램과 개방(open)프로그램에서 많이 사용하는 집단구성으로서, 나이 많은 아동이 나이 어린 아동에게 모델이 될 수 있으며 교사보다도 더 효율적으로 아동끼리의 상호협력을 통해 학습의 성과를 올릴 수 있고, 나이 어린 아동은 여러 학습활동에서 동기유발을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