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7세기 서양사회에서 인문주의 교육이 나타낸 암기위주의 형식적인 고전 중심적 경향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일종의 교육개혁 운동.

2. 사회적 실학주의는 실제 사회생활에서 다른 사람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갖고 행동할 수 있는 사람을 기르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상류계급의 귀족과 공적 실무가들이 그들의 자녀들에게 공적 생활에 바탕이 되는 「신사적 품격」과 「세상보는 안목」을 길러주기 위한 것이었다.

3. 이 사상의 대표자는 몽테뉴(M. Montaigne)이다. 그의 교육적 인간관은 총명하고 사물에 숙달하고 중용의 덕을 발휘할 수 있는 신사를 기르는 것이었다. 그는 모든 학문이 현실적 세계에 눈을 돌려야 함을 강조하며, 당시 고전 교재 중심의 암기식 공부를 비난하였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후에 루소(J.J. Rousseau)의 교육사상에 영향을 주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서양의 문예부흥 이후에 유행한 언어주의로부터 벗어나려는 교육운동.

2. 실학주의 교육은 모든 점에 있어서 현실적 실제생활에 관련되어야 한다는 견해에서 나온 것이다. 즉, 교육은 현실에 부합해야 하며, 언어에만 관계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3. 실학주의자들은 교육의 새로운 형태는 실제생활의 의무에 대하여 학생을 적응하도록 하는 것으로 여겼는데, 그 준비하는 방법에 따라서 인문적 실학주의, 사회적 실학주의, 감각적(또는 과학적) 실학주의로 분류된다.

⇨인문적 실학주의, 감각적 실학주의, 사회적 실학주의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페스탈로찌(J. Pestalozzi)가 추상적이고도 언어중심적인 전통적 교육 방법에 반대하면서 내세운, 직접적이고도 즉각적인 감각 경험(sensory experience)을 중시하는, 개념 형성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

2. 대상이 되는 실물(대상: object)을 사용하여 그 형태를 추론하고, 수를 세고, 이름을 붙이는 등의 직접적 경험을 통하여 학습자는 사물을 효과적으로 개념화하고 그것과 관련된 지식을 획득할 수 있다고 보는 인식론적 신념에 기초하고 있다.

3. 페스탈로찌의 낭만주의적, 자연주의적, 실재론적 교육철학을 잘 반영하고 있는 교육 방법이라 할 수 있다.

4. 이후에 진보주의의 시청각 교육 이론 및 몬테소리(M. Montessori)의 아동교육 원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18세기 유럽에서 일어났던 교육사조의 하나. 문예부흥(Renaissance) 이후 유럽을 풍미한 인문주의(humanism)보다도 훨씬 그리이스어의 습득을 강조했다.

2. 인본주의자들이 주로 라틴어에 관심을 기울여, 그리이스어는 자연히 라틴어보다는 덜 중요시되었고, 단지 그리이스어로 된 신약성서를 읽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데 불과했다.

3. 18세기에 들어와, 그리이스인들의 자유롭고 민주적인 생활양식이 이상적인 것으로 부각됨에 따라 그리이스어가 교육과정에서 강조되었다.

4. 신인본주의는 19세기 유럽의 교육 과정에 영향을 끼쳤던 것 같다

※ 예 : 19세기 독일의 유명한 교육학자인 헤르바르트(J.F. Herbart)는 그리이스 시인인 호머(Homer)의 《오딧세이》(Odyssey)를 도덕 교육의 중요한 교재로 생각했다. ⇨ 인본주의, 실학주의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문예부흥기의 인문주의의 교육이 16세기에 이르러 초기의 이상이 쇠퇴하고, 편협하고 형식화된 경향을 띠게 된 것을 경멸적으로 나타내는 말

2. 초기 인문주의교육은 고대의 자유교육의 이념을 부활시키려 하였으며, 이를 위해 고대 그리스나 로마의 문학을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3. 변질 : 수단에 불과하였던 고대의 문학이 점차 목적으로 다루어져서 인문(人文, Humanitie)이란 고대의 언어나 문학만을 의미하게 되었고, 그것도 작품의 내용이나 문학적 가치보다는 형식적인 면에만 치중하게 되었다.

4. 이리하여 교육의 목적은 생활보다 언어․문학, 특히 시세로의 문장 그 자체에 두었다.

5. 교육의 내용도 시세로의 고전연구, 시세로의 문체모방, 이를 위한 라틴어의 문법과 읽기․쓰기 등 극단적인 모방위주의 교육으로 변질되었던 것이다.

6. 비판 : 실학주의와 신인문주의 교육이 등장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시민 교육은 공민교육, 국민교육, 주민교육의 의미로 쓰여지기도 한다.

2. 급격히 변천하는 사회에 시민들로 하여금 적응할 수 있는 능력과 발전적인 민주사회를 형성하기 위하여 훌륭한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 교육이다.

3. 시민교육의 형태는 나라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공통된 점은 정규적인 학교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한 청소년, 성인들을 위하여 공민학교 형태로서 시작되었다.

4. 교육의 대상자는 청소년, 노동자, 성인으로서 사회 하위 계층의 시민을 대상으로 기초교육의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전체시민을 위한 기초 교육 과정으로 발전하였다.

5. 시민교육은 시민의 사고와 행동을 가치지향적인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교육, 시민들로 하여금 교육적인 사고의 능력을 증진시키는 교육으로서 시민의 사회화를 위한 교육이다. 역사적인 측면에서 고찰해 보면 아테네의 시민교육의 성격과 영국의 시민교육, 미국의 개인 자질 향상을 위한 교육, 프랑스의 시민적 권리 자각 교육, 독일의 이상주의적 개인도덕과 국민으로서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교육 등이 시민교육으로의 특성으로 간주된다.

6. 그리고 시민교육은 국민 계몽 교육의 측면에서도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18세기 전후의 영국, 프랑스, 독일의 계몽사상과 계몽운동은 시민교육의 근본적인 핵심을 나타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결정적인 시민교육의 실현은 의무교육제도가 시작된 시기부터 가능했다고 본다.

7. 시민교육의 내용은 건전한 미래사회 형성을 위하여 새로운 방향제시를 하는 것으로서 현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현실전환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독일에서는 시민교육을 통하여 시민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그 목적을 두기도 했다. 그리하여 시민들로 하여금 자국의 역사를 이해하고 공동체를 위하여 책임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시민들로 하여금 삶의 도움을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그에 대한 방법과 길을 스스로 찾는데 교육의 중점을 두었다.

8. 시민교육은 인간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는 교육이다. 시민들의 시야를 넓혀주어 정상적인 인간으로서의 삶의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는 교육, 국민들로 하여금 미래 삶을 인간답게 영위하기 위한 삶의 오리엔테이션을 주는 교육, 국가의 책임과 의무를 국민들에게 이해시키는 교육, 문화사조현상을 극복하는 교육, 국제적인 안목을 가지고 자주적인 삶을 영위하는 교육, 이론과 실천이 병행하는 교육, 현대사회의 위기를 극복하는 교육 등으로서 시민 교육은 여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스파르타식 훈련의 성격을 띤 교육형태

2. 민주교육․자유교육과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전제적(專制的)․강압적․군국주의적인 교육을 대표한다.

3. 고대 그리스의 스파르타 교육은 남아(男兒)가 7세에 이르면 가정을 떠나 국가의 공공교육장(agoge)에 들어가 감독관(paedonomus)에 의해 훈련을 받는다. 여기서는 용맹․인내․애국․복종, 강한 체력을 갖춘 군인양성을 목적으로, 경주․씨름․투창․투원반․검술․승마․수영과 초보적인 독(讀)․서(書)․산(算)을 학습시켰다. 방법은 맹렬한 훈련과 경쟁․처벌을 위주로 하였다.

4. 18세에서 20세까지의 소년은 군사훈련과 함께 연소아동을 지도하게 하였으며, 20세에는 현역으로서 10년간 군복무를 한다. 30세가 되면 비로소 성인으로서 결혼이 허용되고 시민권을 획득했다.

5. 교육은 군국주의 교육이나 강인한 무인양성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민주적 교육과는 거리가 멀다. 오늘날은 지나치게 일방적․강제적․조직적인 교육을 지칭하기도 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기독교 교리에 논리적 체계와 철학적 근거를 부여하여 합리적으로 증명하려는 학파

2. 11~15세기에 걸쳐 교회나 수도원에 부속된 학교(schola)의 교사인 스콜라스티쿠스(Scholasticus)가 중심이 되어 연구하고 교수하였으므로 스콜라 학파라고 부른다.

3. 신앙과 이성의 합치점을 구하는 데 목적을 둔 이들은 기독교의 교리에 그리스 철학을 빌려 조형시켰으므로 신학의 노예(ancilla theologiae)라고도 부른다. 초기의 안셀무스(Anselmus), 전성기의 아퀴나스(T. Aquinas), 쇠퇴기의 오캄(W. Occam) 등이 그 대표자이다.

4. 이미 정해진 진리를 변증법적으로 설명하며, 개념의 분석, 연속적인 논증을 위주로 하였으므로 지식의 체계화의 논리적 사고훈련에는 공헌하였으나, 근대 과학적 방법을 등한히 한 것은 그 결점이라고 하겠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의사(意思)를 설득력 있게 표현하는 언어구사법에 관한 고대와 중세의 학문

2.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에 의하면 수사는 논리에 대응되는 한 짝이다.

3. 그리스의 소피스트들은 절대적 진리와 항구불변의 존재를 부인하고 존재하는 것은 오직 감각적 경험뿐이라고 하였다. 감각세계의 지식만을 인정할 경우, 감각의 주체인 인간이 모든 지식과 가치의 기준이 된다.

4. 모든 지식은 개인의 경험에 의존하므로 상대적일 수밖에 없다. 상대적 지식의 전달은 상대방에게 그렇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이며 그렇게 믿도록 설득하는 도리밖에 없다.

5. 수사학의 중요성은 여기에 있다. 수사는 특수한 가정(假定)을 다루고, 계속적인 연설형식을 사용하며 그의 논증은 생략추론법(省略推論法)에 의존하고, 목적은 판단자들을 설득하는 데 있다.

6. 서양 교육사에서 수사학 전통이 지니고 있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⑴ 수사학은 실재의 세계가 아닌 개연(蓋然)의 세계를 추구한다. 그러므로 철학적 전통이 이성에 의해 학문의 논리적 체계를 확립시키려는 과학적 커리큘럼의 기초가 되었다면, 수사학적 전통은 언어의 설득에 의해 인간의 미적 가치를 존중하는 인문적 커리큘럼의 기초가 되었다.

⑵ 인간중심이나 실제주의와 긴밀한 관계가 있다. 수사학자들은 인간에 관심을 집중시켰으므로 인간의 영역을 넘어선 문제는 대체로 무관심하였다. 또한 인간의 행복이 사회적 출세와 정치적 성공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현실에 참여하는 실천적 또는 행동적 생활을 높이 평가하였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중세 기독교 학교 중의 하나

2. 수도원 학교의 교육목적은 더 높은 영혼의 생활을 위하여 금욕주의적 생활을 하는 데 있다.

3. 이 학교에 들어온 수도승들은 육체의 욕망을 부정하고 현세를 부인한다.

4. 따라서 수도원 학교의 교육은 현세를 위한 준비가 아니고 내세(來世)를 위한 준비이다.

5. 교육내용은 종교적인 것이며 초등과 고등으로 구분한다.

6. 초심자에게 3R(읽기․쓰기․셈하기)과 성경을 가르치고 고등에는 7자유학과를 가르쳤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