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루소(J.J. Rousseau)의 자연주의 교육을 가장 많이 받아들여 교육실천에 옮긴 바제도우(J.B. Basedow)가 세운 학교

2. 루소는 1771년에 친교를 맺은 괴테의 알선으로 레오폴드(Leopold)의 초청을 받아 교육고문이 되어 그의 후원으로 1774년 이 학교를 세웠다.

3. 특징

⑴ 빈부의 차별이나 종파의 구별 없이 모두 박애정신으로 교육했다.

⑵ 교육을 아동의 행복을 위한 도야(陶冶)로 보고 그렇게 하기 위하여 국어과(國語科)를 비롯한 실용적인 실과교육을 중시했다.

⑶ 직관(直觀)과 유희를 중시하고 아동을 유쾌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공부를 시켰다.

⑷ 체육을 중시했다.

⑸ 체벌을 피하고 칭찬에 힘쓰며 성적에 의한 석차를 정하여 경쟁심을 고취했다.

⑹ 문법부터 시작했던 어학교수(語學敎授)를 회화부터 시작했다.

⑺ 아동문고를 많이 제공했다.

4. 1793년 창립 20년이 못되어 문을 닫았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자기 민족에 대해서 충절 혹은 애착을 두는 이데올로기 혹은 감정, 신념체계의 총화.

2. 민족성이나 민족의 문화유산과 전통을 모든 가치체계에 있어서 우위에 두는 신념체계 일반을 뜻한다.

3. 근대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형성된 국민운동으로서의 민족주의는 개인주의, 무정부주의, 사해동포주의(cosmopolitanism)등에 반대되는 개념이기도 하다.

4. 민주주의, 국제주의와 연결된 진보적인 민족주의와 전체주의, 배타주의, 쇼비니즘(chauvinism)의 특색을 지닌 민족주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대체로 국수주의의 성격을 갖고 있다.

5.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 국민국가의 형성을 내세우면서 전개된 민족주의가 전자의 경우라면, 자국의 특권과 세력을 유지하고 확장하는 것을 중시하면서 공격적이고 침략적인 성격을 나타내었던 1차 대전 후의 독일, 일본, 이탈리아 등의 민족주의는 후자에 속한다. 특히 후자의 경우는 전쟁과 식민지배의 결과를 초래하게 됨으로 해서 국제적 갈등을 일으켰던 역사적 경험을 갖고 있다.

6. 민족주의에 대한 강조는 자민족의 문화와 전통을 가치롭게 여기게 하였으며 민족교육을 중시하게 되었다. 특히 민족주의는 국민교육제도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7. 프랑스의 혁명의회에서 입안된 국민교육 제도에 관련된 여러 법안들을 19세기 민족주의의 전개와 더불어 근대사회의 여러 나라에서 실천에 옮겨졌다. 한편, 식민지배의 경험이 있는 제3세계권의 국가들은 자신들의 민족문화를 지켜내기 위해서 민족교육을 식민지배에 대한 투쟁의 방편으로 삼기도 했다.

8. 우리나라의 경우 일본 식민지배 하에서 각종 야학, 서당, 사립학교 등이 식민교육을 거부한 민족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식민지배에 항거하기 위한 「실력양성론」을 제기하고 독립정신을 고취하기도하였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유아기(幼兒期)에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발달에 민감한 시기.

2. 몬테소리(M. Montessori)의 저서 《어린이의 비밀》(Secret of the Childhood)에서 처음 사용한 말로서 민감기는 아동마다 다르나 대체로 유아기는 모든 학습의 민감기라 할 수 있다.

3. 민감기는 오래 지속되지 않으며 어떤 특정한 학습에 대한 민감기가 일어난 다음에는 그 학습을 용이하게 하는 민감기는 다시 일어나지 않는다.

4. 민감기에 일정한 능력을 얻지 못하면 그 능력의 발달기회는 영원히 지나가 버린다. 무엇에 민감한가에 따라 질서에 민감한 시기, 언어발달에 민감한 시기, 쓰기에 민감한 시기 등으로 표시한다.

5. 몬테소리는 언어의 민감기는 2세에서 7세 사이라 하였다. 동물에게 민감기가 존재하는 사실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네덜란드의 과학자 유고 드 브리스(Hugo de Vries)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학습지도 방법 중의 하나로서 교사와 학생 사이에 문답을 통해 수업을 진행하는 방법.

2. 이 방법은 교수-학습지도법 중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지닌 것 중의 하나이며, 서양 고대의 소크라테스법이나 우리나라 서당식 방법 등은 모두 이에 해당되는 것이다.

3. 특징 : 교사의 직접적인 질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자극,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학습효과를 높이는 데 있다.

4. 장점 : 강의법을 중심으로 하는 주입식 교수에서 기대하기 힘든 학생들의 자발적 사고 경험이 가능하다.

5. 비판 : 실제적으로는 틀에 박힌 문답을 반복하는 데 그쳐 이 방법에 대한 비판의 소리도 일시 높았다.

6. 최근에서 아동 중심의 문제해결 학습이나 탐구학습 등에서 교사의 질문이 학생들의 사고 촉진을 위한 중요한 길잡이가 됨으로써 문답법의 가치는 수업현장에서 재인식되고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사람의 마음은 거울과 같아서, 사람의 마음과는 독립해서 존재하는 실재(實在)를 그대로 모사(模寫, copy)하며, 이렇게 하여 모사된 것이 참된 인식이라고 주장하는 학설.

2. 근세의 경험론(經驗論)은 경험을 통해서 백지(白紙)와 같은 마음에 외계(外界)의 실재가 인상(印象) 된다고 주장하는 점에서 그것은 모사설에 속한다.

3. 그러나 로크(J. Locke)등은, 사람은 반성(反省)을 통해서 마음 자체의 활동을 인식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므로, 근세의 경험론은 이 점에서 모사설에 제한을 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경험론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17~18세기에 있었던 영국의 중등학교. 교육에 대한 교회의 권력과 국왕의 통제권이 하나가 되자, 교육을 통제하는 수단으로서 나타난 것이 헨리 8세 때의 문법학교의 교과서 지정, 엘리자베드 여왕 때의 학교 순찰과 종교교육이었다

2. 근세 영국의 교육사에서 문법학교는 상층계급의 중등교육 기관으로 되어 있으나 이 무렵 문법학교는 지방 주민과의 결합이 강해서 지방 주민들은 자기들의 학교로 생각하였으며 수업료도 받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3. 1590년의 규정에 따르면, 하로우(Harrow)에도 능력만 있으면 가난한 자도 입학시켜야 한다고 했다. 이것은 능력있는 자를 각 계급에서 모아 우수한 사회인을 육성하려는 데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교육을 이해, 설명, 분석하고자 하는 교육학의 패러다임

2. 탐구주제 : 교육과 관련하여 노동, 가치, 자본, 계급, 국가, 소외, 재생산, 이데올로기 등

3. 사회질서보다는 사회변화에 초점을 두고 교육학 내의 갈등이론, 비판이론, 교육과정사회학, 대응이론 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4. 마르크스주의자들은 헤겔 과는 달리 세계는 정신에 의해서가 아니라, 인간과 그가 처한 물질적 조건 특히 경제적 생산관계에 의하여 변화한다고 본다.

5. 정신의 실재에 대한 신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의 교육은 부르주아자본가들의 이익을 영속화하기 위한 기만적 방편에 불과하므로 세계를 변화시키는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없다.

6. 정통 마르크스주의와 함께 현상학,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민족방법론, 사회비판이론 등에 영향을 받은 학자들은 교육의 수동성과 재생산 기능뿐만 아니라, 교육과 경제체제의 모순과 갈등(B. Bernstein),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과 학교의 일상생활 등을 미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이 기존체제에 순응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저항하고 거부하며, 재생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 대안적 문화를 창출함(P. Willis)으로써 생산하는 측면이 있음을 드러내고자 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마르크스(K. Marx)의 사상과 학설 또는 같은 경향의 학설을 일컫는 말

2. 그의 사상은 변증법적 유물론, 노동과 소외개념, 그리고 이를 역사현실에 적용한 사적(史的) 유물론으로 대표된다.

⑴ 변증법적 유물론은 헤겔(G.W.F. Hegel)의 변증법과 포이에르바하(L.A. Feuerbach)의 유물론을 결합하여 성립시킨 것으로, 세계의 본질을 물질에 두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실은 변증법적 발전법칙을 따른다는 내용이다.

⑵ 마르크스는 인간은 노동하는 존재이며 이 노동을 통해 자기를 실현(實現)하는 존재라하였다. 이때 노동의 개념은 관념적인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것이며, 인간은 노동을 통해 자신의 일부를 대상화(對象化)한다.

⑶ 소외(疏外) : 대상화한 존재(노동의 산물)가 인간으로부터 독립하여 오히려 적대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현상

3. 사적 유물론 : 변증법적 유물론을 역사현실에 적용한 것으로서, 인간의 의식은 사회현실의 반영에 불과하다.

⑴ 모든 학문․예술․법․정치 등의 상부구조(上部構造)는 생산력과 생산관계로 특징지어지는 생산양식(生産樣式: 下部構造)에 의해 결정된다

⑵ 역사적으로 사회에는 생산수단의 소유집단과 비(非)소유집단이 존재해 왔는데, 생산력의 발전은 이들간의 사회관계를 변화시키게 되고 생산수단의 소유와 분배를 둘러싼 계급간의 갈등이 불가피해지며, 이것이 역사진행의 동인(動因)이 된다.

4. 마르크스의 이론은 19세기에 구체화되던 자본주의의 모순들, 특히 노동자들에 대한 자본가의 극심한 착취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이것은 그의 정치활동에의 참여나 이론과 실천의 일치를 지향하는 그의 입장에서 나타난다.

5. 궁극적으로 계급 없는 사회의 실현을 목적하고 있으며, 레닌(N. Lenin)․스탈린(I.V. Stalin) 등에 의해 계승 적용되었다. 현대에 와서는 많은 이론적 한계가 노출되어 비판과 함께 수정이 가해지고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고대 그리스 시대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가 철학을 가르치던 학교. 플라톤(Platon)의 아카데미아와 더불어 당시 학문의 본산(本山)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프랑스의 후기 중등 교육기관.

2. 리세와 기술 리세(lycee technique)가 있으며 수업연한은 3년이다. 전기 중등교육 기관으로서 칼리지(college)에 접속되며, 바칼로레아(baccalaureat)시험을 거쳐 대학에 진학하게 된다. 본래 고전적인 인문교육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1902년 이래 보다 다양한 교육과정의 분화를 가져왔다. 보통 5종으로 분화되었으나 바칼로레아의 종류에 따라서 더욱 다양한 교육과정의 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3. 나폴레옹 이래 관립(官立)의 중등교육 기관을 리세라 하고, 공․사립을 코리지라 부른 때도 있었으나 1959년의 학제 개편 이후에는 전기 중등교육 기관으로서의 코리지 및 2년제의 후기 중등교육과 정으로서의 제 2기 칼리지(college desecond cycle)와 구분되는 후기 중등교육 과정으로서 점차 정착되어 가고 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