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베이컨(F. Bacon)이 인간이 올바른 지식을 획득하기 위해서 버려야 한다고 한 우상.

2. 우상 : 정확한 사고(思考)를 방해하는 일종의 편견(偏見)이라는 뜻으로 볼 수 있다.

3. 베이컨은 그의 저서 ≪노붐 오르가눔≫(Novum Organnm)에서 인간이 버려야 할 편견을 「종족(種族)의 우상」「동굴(洞窟)의 우상」「시장(市場)의 우상」「극장(劇場)의 우상」등의 우상으로 비유, 구분하였다.

㉠ 종족의 우상 - 모든 인간의 종족에게 공통된 편견을 말한다. 인간은 자신의 감각이 실재(實在)에 대한 직접적이고 진실 된 지식을 제공한다고 생각하나 실제로 우리의 판단은 우리가 믿기 원하는 것을 믿으려는 공통된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 동굴의 우상 - 각 개인의 특유한 편견으로 자신이 배운 것을 자신의 특수한 성향이나 자신이 좋아하는 이론의 입장에서 해석하려는 경향을 뜻한다.

㉢ 시장의 우상 - 사회적 단체와 언어에 의해서 생기는 편견으로, 마치 시장에서처럼 의사소통이 잘못되고 있는 경향을 말한다.

㉣ 극장의 우상 - 여러 종류의 철학의 독단에 의해서 생기는 편견으로, 철학은 연극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허구(虛構)이며, 우주를 사실 그대로 보여주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그리스어 pan(모든)과 theos(신)의 합성어로서 자연과 우주 만물을 모두 신으로 여기는 종교관.

2. 일종의 종교적 자연주의로서 쉴라이에르마헤르(F.D.E. Schleiermacher)는 범신론을 “독일의 숨겨진 종교”라고 하였고, 쇼펜하우어(A. Schopenhaure)는 “무신론의 고상한 형태”라고 했다.

3. 범심론은 주로 다음의 네 가지 형태로 드러난다.

① 신유일론(theomonism)적 범신론으로 세계의 고유한 실재를 지양하며, 신의 단독존재를 주장한다. 무주론(acosmism)이라고도 한다.

② 자연유일론(physiomonism)적 범신론으로 세계, 자연만이 존재하며, 이를 신이라 칭하고 따라서 신의 고유한 존재를 지양한다.

③ 초월적․신화적 범신론으로 만유재신론(萬有在神論, panentheism)이라고도 한다. 세계는 신 안에 있다는 이해이다.

④ 내재적․초월적 범신론으로, 신이 사물 안에 자신을 실현한다는 이해이다. 스피노자(B. Spinoza) 와 괴테(J.W.von Goethe), 독일의 관념론 등이 이러한 입장이다.

4. 전체적으로 보아서 신이 세계와 동일하다는, 즉 모든 유일한 사물들의 출현형식은 곧 영원하고 무한한 신의 자아표현 형식이라는 철학적이고 신학적인 입장을 의미하는 말이다.

5. 서구의 전통에 있어서 범신론은 유일신론의 가장 중요한 대립개념으로 이어져 왔다. → 일신론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중세 봉건사회의 정치제도. 영주와 농민관계 또는 봉건적 생산관계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말해서 봉토(封土)를 매개로 하여 맺어진 주종관계, 즉 영주(領主)와 가신(家臣) 사이의 쌍무적인 관계로서 가신제와 은대지제(恩貸地制)가 결합된 정치 제도이다.

2. 봉건제도가 가장 성했을 때는 11~13세기이며 이때 국왕은 최고의 봉주로 차례로 하급 영주까지 가는 피라밋형의 정치질서가 전면적으로 성립한 때라고 볼 수 있다.

3. 붕괴 : 농민의 반봉건투쟁이 격화함에 따라 차례로 왕권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므로 봉건제도는 실질적으로 붕괴되고 절대주의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영주와 농민의 관계는 부정되지 않고 오히려 더욱 보호되었다.

4. 동양에서는 중국 주대(周代)에 천자(天子)가 많은 제후(諸侯)에게 땅을 나누어 주어 제후가 각자의 영유지역을 통치하는 국가조직이었다.

5. 유의 : 서구적인 것과 동양적인 것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봉건제도라는 말을 일률적으로 사용하거나 적용하는 데는 많은 주의를 요한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특수성을 가진 여러 개체들이 공유(公有)하고 있는 특성.

2. 개채들이 공유하고 있는 특성에 의해서 여러 개체들이 하나의 집합을 성립시킨다.

3. 보편성은 한 집합을 성립시키는 원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4. 어떤 집합의 개념을 우주(宇宙)에 적용할 때, 모든 존재하는 사물이 공유(公有)하고 있는 궁극적 특성을 일컫는 것이 된다.

5. 플라톤(Platon)은, 보편성은 이데아이며 그것은 존재하는 실체라고 생각하였으나, 유명론자(唯名論者)들은 보편성이란 일반성을 나타내는 개념에 불과할 뿐 결코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특수성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실시하는 일반적이며 기초적인 교육으로 좁은 영역을 깊이 있게 다루는 전문교육 등과 대비되는 말이다.

2. 모든 국민에게 일반적이며 공통이 되는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국민들의 관심(interest)을 공유하게 하고, 상호간에 이해를 증진하는 기능을 한다.

3. 근세 이후 유럽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들은 대체로 제도적으로는 의무교육 제도의 확대, 내용적으로는 보통교육의 증시와 같은 방향으로 교육정책을 전개시켰다. ⇨의무교육, 공통 교육과정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그리스어의 디알렉티케 테크네(dialektikē technē)에서 유래한 사고의 전개방법

2. 원래 대화 또는 문답의 예술을 의미하였다.

3. 이러한 대화법은 엘레아(Elea)의 제논(Zenon)에게서 기원하였으며, 플라톤(Platon)은 이데아의 인식을 위한 학문의 방법을 변증법이라 하였다.

4. 근대에 와서 변증법을 학문의 적극적인 방법으로 받아들여 발전시킨 사람은 헤겔(G.W.F. Hegel)이다. 그에 있어서 변증법은 절대자(絶對者)의 자기운동의 형식으로서 세 개의 단계를 거치며 전개된다. 이 세 단계는 각각 즉자적(卽自的, an sich), 대자적(對自的, für sich), 즉자대자적(卽自對自的, an und für sich) 단계라고 불리어진다.

⑴ 즉자적 단계 : 직접적 긍정의 단계

⑵ 대자적 단계 : 부정의 단계

⑶ 즉자대자적 단계 : 부정의 부정(否定)의 단계제 1, 제 2의 단계를 종합 통일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통일을 지양(止揚)이라고 부르는데 이 말에는 「고양(高揚)한다」「폐기한다」「보존한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5. 헤겔의 체계는 이러하나 변증법에 의하여 일관되고 있으며, 절대적 이념(理念)의 자기발전이라는 관념론적 해석을 유물론적 입장에서 해석한 것이 마르크스(K. Marx)의 유물변증법이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반까지 독일과 스위스를 중심으로 전개된 실제적인 교육개혁 운동

2. 범애주의란 말은 이 운동의 선구자인 바제도우(J.B. Basedow, 1724-1790)가 1774년 독일 데사우(Dessau)에 세운 범애학교(Philanthropinium)에서 유래되었다.

3. 특징

⑴ 어린이들이 즐겁고 행복하게 배울 수 있는 교육방법을 중시한다. 그러므로 놀이, 여행, 견학 등을 통한 직접적인 경험, 실물과 그림에 의한 개념학습, 문법이 아닌 회화 위주의 언어교육 등을 강조한다.

⑵ 어린이들의 삶에 실제적인 도움이 되는 교육내용을 위주로 한다. 그러므로 신체단련, 모국어학습, 노작 등을 통한 기술 습득을 강조한다.

⑶ 종교의 종파나 경제적 능력에 관계없이 모든 어린이들이 학교에 다닐 수 있는 교육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교회가 아니라 국가가 학교를 관리할 것과 뜻있는 독지가들의 후원을 강조한다.

⑷ 어린이들에게 정열을 가지고 참고 인내할 줄 아는 교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교사는 특별한 능력이나 실력이 있는 사람보다 성실하고 열성을 다하는 사람을 중시한다.

4. 범애주의 운동은 근본적으로 루소의 《에밀》(Emile)에 나타난 자연주의적 교육사상과 18세기 독일에서 전개된 국민교육에 대한 이념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다.

5. 진보적 교육개혁운동인 범애주의는 그후 칸트(I. Kant, 1724-1804)와 페스탈로찌(J.H. Pestalozzi, 1746-1827)의 교육사상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6. 그러나 범애주의는 국가와 민족을 초월하여 인류 전체를 사랑하는 이른바 박애주의(博愛主義, philanthropism)와는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육운동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인간에게는 천부적으로 주어진 본유관념(本有觀念)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모든 관념은 후천적(後天的, a posteriori)인 경험을 통해서 이룩된다는 로크(J. Locke)의 학설

2. 인간의 마음은 문자 그대로 태어날 때 백지(白紙)와 같이 아무런 관념도 없는 것이다.

3. 우리가 알거나 혹은 생각하는 모든 사물들은 사실은 우리들의 경험을 통해서 얻어진 것이다. 우리들의 지식도 감각적 경험을 통하거나 아니면 마음에 반영된 것을 반성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4. 백지설에서는 모든 근본적인 관념은 감각의 대상이거나 혹은 반성의 대상이며, 생각된 마음의 작용 이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고 본다.

5. 백지설에 의하면 지식의 원천은 둘인데 하나는 감각(sensation)이고, 다른 하나는 반성(reflection)이다.

6. 로크는 선천적(先天的, a priori)인 인식론에 반대하여 감각적 경험에 토대한 인식론을 주장했다.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합리성의 가치를 거의 절대시해 온 서양의 전통적 주지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 나타난 정신.

2. 반주지주의적 경향의 유래를 구태여 따져본다면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20세기의 시대적 산물이다.

3. 반주지주의라는 그 이름이 주는 느낌은 지성보다는 감성(感性)에 더 높은 가치를 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반주지주의자들은 감성적 요소의 가치를 주장하는 데 있어서 합리성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결국 반주지주의는 제반 인간사(人間事) 중에서 합리성의 역할과 비합리성의 역할을 합리적으로 따져 비합리성의 역할을 부각시키는 데 역점을 두었다.

※ 이런 면에서 반주지주의는 계몽주의의 진정한 상속자라고 할 수 있다.

4. 반주지주의자는 그 밑바탕에 인간의 사고력이 인간을 보다 훌륭하게 만들 수 있다는 굳은 신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프로이드(S. Freud) 같은 사람도 합리성보다는 리비도(Libido), 에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같은 인간의 비합리적인 것들은 연구하였지만 사실상 인간의 마음의 한 측면을 보다 과학적으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하는 데 그 근본 뜻이 있었다.

5. 어떻게 보면 반주지주의 때문에 주지주의가 더욱 빛을 본다고 할 수도 있다. ⇨주지주의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1. 루터(M. Luther)와 캘빈(J. Calvin)의 종교개혁에 대한 천주교의 대항운동

2. 17세기초에 일어난 개신교(改新敎)에 대한 항거와 개신교 지역 내의 천주교화 운동을 의미한다.

3. 넓은 의미로는 천주교 자체 내의 모든 쇄신운동을 말한다.

4. 반종교개혁의 주축은 예수교단(Societas Jesu)과 프란체스코 교단의 분파인 카푸치 교단(Kapuziner)이었다.

5. 반종교개혁이라는 말은 1776년에 퓌터(J. St. Pütter)에 의하여 18세기 후반에 영주에 의한 개신교 지역의 재천주교화(再天主敎化)를 칭하는 말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6. 예수교단의 창설자 로욜라(I. Loyola)는 교황에 대한 절대순종을 교단의 서약신조의 하나로 삼고, 교회 내적 쇄신을 과제로 삼았다.

7. 1648년의 30년 전쟁의 종식으로 내적 쇄신과 외적 강화를 가져왔으며, 개신교의 신학적 정립(定立)과 내적 충실을 초래하였다. ⇨종교개혁

 

블로그 이미지

류민영

저는 이 블로그를 유아교육, 초등교육 그리고 중등교육 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 관심있는 모든 부모님들과 예비교사 분들 그리고 현직교사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